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7

$30.19
SKU
979116707003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3/15
Pages/Weight/Size 152*224*20mm
ISBN 9791167070036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는, 문학, 미술, 음악, 공연, 영화, 미학 등에서 사용되는 보편적, ‘한반도 특수적’ 개념들이, 자생적 근대와 번역된 근대가 충돌하던 시점에서부터 해방공간을 거쳐 분단의 길로 가는, 역사를 탐색하는 작업이다. 문화예술 분야에서 개념의 수입과 수용 그리고 전통적 개념의 (재)발견이 해방공간의 백가쟁명을 거쳐 분단 이후 남북한에서 각기 다른 고유의 의미를 획득하면서 변용되는 과정에 대한 서술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총서 7~8권은 일상어를 주목한다. 문화 예술 분야(영화, 미술, 음악, 문학, 문화예술 전반)에서 생산, 수용, 텍스트의 영역에서 활발하게 활용되는 일상어를 선정하였다. 무엇보다 식민지 시대에 한(조선)반도로 전파되어 변용된 문화 예술 분야 중에서 전쟁과 분단을 경유하여 그 의미의 변화가 포착되는 단어를 우선적으로 선정하였으며, 생산(자)과 수용(주체, 공간, 태도), 텍스트의 특질을 지시하는 26개의 일상어를 선별하였다.

7권에서는 ‘가요’ ‘감독’ ‘검열’ ‘계몽’ ‘관전’ ‘교양’ ‘낭만적’ ‘대중문화/군중문화’ ‘독자’ ‘드라마’ ‘명곡’ ‘명작’ ‘문학의 밤’ 등의 일상어를 다룬다.
Contents
가요
1. 20세기 이전 가(歌), 가곡(歌曲), 가요(歌謠)
2. 20세기 전반기 한반도와 분단 이후 남한에서의 가요(歌謠)
3. 북한에서의 가요

감독
1. 영화에서 ‘감독’의 의미와 위상
2. 일제시기의 ‘영화인’과 ‘감독’ 개념
3. 해방 후 남한에서의 ‘감독’의 역할과 위상의 변화
4. 해방 후 북한에서의 ‘감독’의 역할과 위상

검열
1. 검열, 참을 수 없는 권력의 유혹
2. 남한의 ‘검열’: 금서와 불온서적, 미풍양속과 심의
3. 북한의 ‘검열’: 정치교양 사업을 위한 필수 과정
4. ‘검열’, 남북의 정치 지형으로 이끄는 N극과 S극

계몽
1. 계몽 개념의 문제성
2. 계몽 개념의 탄생과 수입 그리고 변용
3. 남북한의 계몽 개념
4. 계몽 개념의 비약

관전
1. 일제강점기의 관전: 조선미술전람회(1922~1944)
2. 국전과 민전: 대한민국미술전람회(1949~1981)
3. 북한의 국가미술전람회

교양
1. 근대 ‘빌둥(Bildung)’의 번역어 ‘도야(陶冶)’와 ‘교양(敎養)’
2. 문화자본으로서의 명사 ‘교양’
3. 공산주의적 인간개조의 동사 ‘교양’
4. 필수적 조건의 동사와 선택적 조건의 명사

낭만적
1. 낭만적, 근대인의 감정과 정신
2. 남한, ‘낭만적’ 세대의 감수성: 소녀, 청년, 중년
3. 북한, 랑만적인 혁명의 마음과 신념
4. 낭만적, 낭만/낭만성/낭만주의의 다른 관점들

대중문화/군중문화
1. ‘대중’과 ‘인민’을 둘러싼 쟁탈전
2. 남한의 ‘대중문화’: 문화에서 산업으로
3. 북한의 ‘군중문화’: 문화를 통한 ‘인민’ 만들기
4. 대중과 인민의 분기점, 시장과 계획

독자
1. 한반도 이남 ‘도서’의 사회사와 한반도의 ‘독서’ 사회학
2. 체제 선전의 피계몽자, 북한 독자
3. 독서시장 소비자, 남한 독자
4. 또 다른 문학 주체로 진화하는 남북 독자의 미래

드라마
1. 대중문화의 중심: 텔레비전(텔레비죤) 드라마(문예물)
2. 텔레비전 드라마의 전개
3. 텔레비전 드라마와 텔레비전 문예물의 개념 변화
4. 같으면서도 다른 텔레비전 드라마와 텔레비전 문예물

명곡
1. 한자어 명(名)의 쓰임과 명곡(名曲)
2. 명곡 개념의 수입과 남한의 명곡
3. 북한에서의 명곡

명작
1. 문화예술 등급의 시대
2. 남한의 ‘명작’: 가장 대중적이지 않으면서, 가장 대중적인 기준
3. 북한의 ‘명작’: 지도자의 권리, 인민의 의무
4. ‘명작’, 만날 수 없는 대척점의 이름

문학의 밤
1. 해방 전 그들만의 살롱
2. 남한의 ‘문학의 밤’: 교양에서 운동, 놀이로
3. 북한의 ‘문학의 밤’: 선진 섭취와 문화적 고양을 거쳐 정치선전의 장으로
4. ‘문학의 밤’, 남북한 밤의 연대기들
Author
구갑우,김성경,김성수,배인교,이우영,이지순,이하나,전영선,천현식,최유준,홍지석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 유럽연합의 공공정책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토야마대학 외래교수, 릿교대학 방문연구원을 역임했고 현재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로는 『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 『국제관계학 비판』, “한반도 안보 딜레마와 북한의 ‘경제·핵 조건부 병진노선’의 길”, “한반도 평화체제의 역사적, 이론적 쟁점들”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 유럽연합의 공공정책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토야마대학 외래교수, 릿교대학 방문연구원을 역임했고 현재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로는 『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 『국제관계학 비판』, “한반도 안보 딜레마와 북한의 ‘경제·핵 조건부 병진노선’의 길”, “한반도 평화체제의 역사적, 이론적 쟁점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