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64卦 384爻의 본질

$25.30
SKU
979118682813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2/20
Pages/Weight/Size 152*224*16mm
ISBN 9791186828137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주역』이라는 책을 대할 때 우리가 갖게 되는 첫 번째 의문은 이 책의 성격이 어떤 것인가 하는 것이다. 공자가 만년에 가죽 끈이 세 번 끊어지도록 천착했다는 유교의 경전인가, 아니면 인간사의 길흉화복을 점치는 점술서인가 하는 문제다. 『주역』의 부록 내지 해설서라고 할 수 있는 소위 ‘공자십익(孔子十翼)’을 떼어내고, 『주역』의 원문만을 놓고 판단한다면 누구나 이 책이 일종의 점복서라는 점에 쉽게 수긍할 수 있다. 우리가 살면서 처하게 되는 각양각색의 유리하거나 불리한 상황들이 제시되고, 그 사태의 결말이 예언되며, 그 사이에 점을 친 자가 행해야 할 일종의 처세가 제안되는 것이 『주역』 본문의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주역』이라는 점술서는 어떻게 사서삼경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유교의 대표 경전이 되었을까? 미신과 주술을 경멸하던 공자는 왜 『주역』이라는 점술서에 그렇게 깊이 천착했을까? 이 책의 저자에 따르면 『주역』은 단순한 점술서가 아니라 인간과 인간 공동체가 맞닥뜨릴 수밖에 없는 각종 근심걱정을 근본적이며 체계적으로 해소하려는 열망이 집대성된 책이기 때문이다. 개인과 공동체의 안녕과 발전을 가로막는 모든 요소들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에 대비하기 위한 방책을 고민한 결과로써 완성된 책이 『주역』이라는 얘기다. 저자는 이를 ‘우환 의식’으로 설명한다.
Contents
머리말 | ‘우환(憂患)-삶의 걱정 근심’을 해소하려는 열망, 「주역」

「주역상경(周易上經)」
1. 건(乾) 하늘의 특성을 지닌 삶
2. 곤(坤) 땅의 특성을 지닌 삶
3. 준(屯) 처음 시작
4. 몽(蒙) 어리석음
5. 수(需): 기다림
6. 송(訟): 다툼
7. 사(師): 군사 동원
8. 비(比): 친밀한 교제
9. 소축(小畜): 조금 쌓음
10. 리(履): 밟는 일
11. 태(泰): 편안함
12. 비(否): 막힘
13. 동인(同人): 어울림
14. 대유(大有): 큰 소유
15. 겸(謙): 겸손
16. 예(豫): 예비함
17. 수(隨): 때에 따름
18. 고(蠱): 망가짐
19. 임(臨): 달라붙음
20. 관(觀); 자세하게 봄
21. 서합(): 씹어서 합함
22. 비(賁): 아름답게 꾸밈
23. 박(剝): 갉아 먹음
24. 복(復): 되돌아옴
25. 무망(无妄): 순응함
26. 대축(大畜): 크게 쌓음
27. 이()괘: 기르고 가꿈
28. 대과(大過): 너무 지나침
29. 감(坎 ): 거듭된 시련
30. 리(離): 붙어서 걸림

「주역하경(周易下經)」
31. 함(咸): 남녀의 교감
32. 항(恒): 한결같은 지속
33. 둔(遯): 물러남
34. 대장(大壯): 크게 자라남
35. 진(晉): 나아감
36. 명이(明夷): 어두움
37. 가인(家人): 집안사람
38. 규(): 불화와 반목
39. 건(蹇): 막혀 어려움
40. 해(解): 흩어져 풀림
41. 손(損): 덜어냄
42. 익(益): 보태줌
43. 쾌(): 결단력
44. 구(): 모여서 만남
45. 췌(萃): 무성한 모임
46. 승(升): 올라감
47. 곤(困): 곤경에 처함
48. 정(井): 맑은 샘
49. 혁(革): 새롭게 함
50. 정(鼎): 익혀 나감
51. 진(震): 떨쳐 일어남
52. 간(艮): 머무름
53. 점(漸): 순서를 밟아감
54. 귀매(歸妹): 결혼의 의미
55. 풍(): 풍성함
56. 여(旅): 고달픈 나그네
57. 손(巽): 공손함
58. 태(兌): 기뻐함
59. 환(渙): 흐트러짐
60. 절(節): 절제와 절도
61. 중부(中孚): 진정한 믿음
62. 소과(小過): 조금 지나침
63. 기제(旣濟): 이미 이루어짐
64. 미제(未濟): 아직 이루어지지 않음

참고문헌
Author
신창호
고려대학교에서 교육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동서양철학 및 한국철학,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서양 교육철학을 연구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 전통 사상을 비롯하여 동서양 고전의 현대 교육학적 독해 및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후학들에게는 교육학 및 한국 전통교육 사상을 강의하면서,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 한중철학회 회장,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등 동양학 및 한국학, 교육학 관련 학회에서 활동하며, 한국전통교육의 현대적 의미를 성찰하고 재조명하는 데 관심을 쏟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사서의 수기론’, ‘중용의 교육사상’, ‘인간 왜 가르치고 배우는가’, ‘공자평전’, ‘노자평전’, ‘공부 그 삶의 여정’, ‘관자’, ‘함양과 체찰’ ‘주역절중’ 등의 저역서가 있고 ‘유교의 학습철학’, ‘유교의 자아실현관과 삶의 맥락’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고려대학교에서 교육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동서양철학 및 한국철학,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서양 교육철학을 연구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 전통 사상을 비롯하여 동서양 고전의 현대 교육학적 독해 및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후학들에게는 교육학 및 한국 전통교육 사상을 강의하면서,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 한중철학회 회장,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등 동양학 및 한국학, 교육학 관련 학회에서 활동하며, 한국전통교육의 현대적 의미를 성찰하고 재조명하는 데 관심을 쏟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사서의 수기론’, ‘중용의 교육사상’, ‘인간 왜 가르치고 배우는가’, ‘공자평전’, ‘노자평전’, ‘공부 그 삶의 여정’, ‘관자’, ‘함양과 체찰’ ‘주역절중’ 등의 저역서가 있고 ‘유교의 학습철학’, ‘유교의 자아실현관과 삶의 맥락’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