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왜 우세한 무기체계와 압도적인 군수지원에도 불구하고 한국전쟁을
‘비긴 전쟁’으로 마무리할 수밖에 없었는가.
김일성, 탱크, 피난, UN군, 인천 상륙, 공중폭격, 고지전, 전사, 포로, 휴전…….
이 책은 6.25전쟁의 파편들 중 아직은 미지의 영역으로 남겨놓은 가장 중요한 퍼즐 조각인 전쟁 수행과정의 실재(實在)에 관한 군사전략적 접근의 연구에서 출발한 문제의식이 담겨 있다.무엇보다 ‘미국은 왜, 한국전쟁을 비긴 전쟁으로 마무리할 수밖에 없었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한국전쟁을 재조명해보아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첫째, 한국전쟁은 최소 20개국이 참전한 국제전이었고, 미국은 전쟁 전반의 흐름을 주도하고 마무리한 주역이었기 때문이다. 미국은 즉각 참전을 결정했고, 트루먼 대통령은 UN의 집행대리인으로서 UN군을 편성하고 전쟁을 지도했다. 그리고 미 제8군사령관의 진출 통제선 ‘캔자스’는 지난한 전투와 교섭을 거쳐 오늘의 휴전선이 되었다.
둘째, 미 행정부의 전쟁정책과 UN군사령부를 겸했던 극동군사령부의 군사작전 수행을 이해함으로써 6,25전쟁 전반에 대한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NLL이 군사분계선인가, 미군이 일방적으로 그은 통제선인가에 대한 논란은 휴전 협정문의 자구적 해석만으로 논쟁을 잠재울 수 없으며, UN군의 한국전쟁 수행과정을 총체적으로 들여다볼 때 그 진실을 쉽게 판명할 수 있을 것이다.셋째, 지나간 역사의 교훈을 되새겨 미래의 안보위협에 대비해야하기 때문이다. 우리 안보의 근간인 ‘한?미동맹’은 한국전쟁 수행과정에서 태동되었으며, 당시 미군의 한반도 전개, 육?해?공 합동작전, 연합작전 체계 등은 현재의 군사작전 구상과 계획발전의 모델이 되기에도 충분한 근거를 제공한다.
클라우제비츠(Clausewitz)는 일찍이 전쟁의 삼위일체성을 ‘정치가, 군대, 국민’이라고 갈파했지만, 민주주의 국가에서 국가안보의 근간은 국민이다. 왜냐하면 국민의 뜻을 살펴 정치가가 정책을 결정하고, 군은 그 정책의 범주 내에서 군대를 양성하고 전쟁의 수행방법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최근 계속되는 군의 사고와 방위산업 비리 등으로 말미암아 군에 대한 염려와 비판 수위가 높아가고 있다. 물론 군 스스로도 문제 해결을 노력 위해 노력해야 하지만, 군을 변화시켜나가는 근본적인 주체는 국민이어야 한다. 국민이 전쟁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군의 모습을 요구할 때 군대는 건강한 모습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을 것이며, 고가의 무기체계 구입이나 양병(養兵)을 위한 국방비 집행 또한 국민적 관심과 평가로 말미암아 투명성과 효용성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Contents
프롤로그
서론 미국이 한국전쟁을 주도했다:
1부 즉각 개입
1. 북한군의 남침과 미국의 대응
1950년 미국의 안보정책과 전략
극동군사령부 미국의 개입 과정
UN군의 편성
2. 북한군 공격과 미군 전개 간의 시간 싸움
1950년 7월: 지연전
1950년 8월: 낙동강 선 방어
1950년 9월: 공세이전의 전기 마련
2부 맥아더의 전쟁
1. 전략적 포위
인천상륙작전
미 제8군의 첫 번째 공세: 낙동강선 → 38도선
2. 통일을 향한 진격
미국의 전쟁정책과 38도선
미 제8군의 두 번째 공세: 38도선 돌파
3. 예기치 않았던 중국군의 개입
UN군의 종전 분위기
중국군의 첫 번째 공세
극동군사령부의 정보적 오판
4. 맥아더 장군의 완승 의지
중국군 제9병단의 참전
UN군의 크리스마스 공세
3부 중국군과의 새로운 전쟁
1. UN군 크리스마스 공세의 좌절
중국군의 두 번째 공세
UN군의 총 철수
흔들린 미국의 전쟁정책
2. 중국군의 한계
공산군의 ‘정월공세’
군사적 상황의 변화
공산군의 ‘2월 공세’
UN군의 공세이전
3. 휴전정책의 모색
맥아더 장군의 해임
공산군의 ‘4월 공세’
NSC 48/5
공산군 ‘5월 공세’
캔자스-와이오밍 선
4부 지리한 교섭과 소모전
1. 쉽게 끝나지 않은 전쟁
휴전교섭의 시작
UN군의 1951년 하계 공세
UN군의 1951년 추계 공세
군사분계선 협상의 타결
후방의 게릴라 토벌
2. 교섭의 난항과 ‘항공력’
의제 3항: 정전과 휴전 실현을 위한 세부협정
의제 4항: 포로 송환
UN군 측의 일괄타결안
정치적 압력수단으로서 항공력의 한계
3. 공산군의 공세와 교섭의 중단
공산군의 1952년 추계 공세
무기 휴회
4. 미완성의 휴전
회담의 재개
공산군의 최후공세와 휴전의 성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