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민족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 4

생산적 다문화사회 구현을 위한 정책의 질적 도약 기반 구축 총괄보고서
$18.36
SKU
978898491368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6/3 - Fri 06/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9 - Fri 05/3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0/12/31
Pages/Weight/Size 188*254*20mm
ISBN 9788984913684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Description
한국사회는 이주민 가운데에서도 한국인과 가족관계를 맺고 있는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문화적 다양성, 다문화사회에 대한 관심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특수성이 보인다.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집중되어 있는 결혼이민자와 그 자녀를 중심으로 문화적 다양성이 개인적 역량, 사회적 자원으로 발전되어 관련자 개인은 물론이고 사회 전반에 긍정적 방향으로 구현될 수 있는 가능성 파악 ⇒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의 접근 방안 모색 ⇒ 생산적 다양성을 구현하기 위한 실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생산적 다문화사회’의 기반을 확립하기 위해 기획된 책이다.
Contents
제1부 협동연구 개요
Ⅰ. 협동연구 배경 및 목적
1. 다문화사회의 전개와 문화 다양성 관리의 필요성
가. 이주와 문화적 지형의 변화
나. 이주의 추세와 전망
다. 문화 다양성 관리의 필요성
2. 생산적 다문화사회의 개념과 실천적 움직임
가. 문화 다양성의 가치
나. 생산적 다문화사회의 개념과 목표
다. 생산적 다문화사회 구현을 위한 현실적 시도
3. 다문화가족의 언어?문화적 특수성에 관한 국내 정책의 접근
가.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성장
나. 다문화가족에 대한 결핍론적 시각의 한계
다. 다문화가족의 언어?문화적 특수성에 대한 전향적 접근의 가능성
4. 협동연구의 목적

Ⅱ. 협동연구의 구성
1. 다문화가족의 언어?문화적 역량에 관한 국내 연구 현황
가. 언어?문화적 역량의 획득?발전 가능성
나. 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가능성
2. 협동연구 구성
3. 총괄과제 추진방법
가. 문헌연구
나. 협동연구 특별위원회 및 관련부처 관계자 회의
다. 연구진 워크숍
라. 다문화사회 정책포럼
마. 협동연구 세미나 개최
4. 세부과제별 개요
5. 총괄과제 보고서의 구성

제2부 세부과제 주요결과 종합분석
Ⅲ. 다문화가족의 언어?문화적 역량 현황과 발전 가능성

1. 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동성 경험을 통해 본 적극적 역량 발전 가능성
가. 언어?문화적 차이에 대한 부정적 경험
나. 동화 지향과 출신문화?언어의 의도적 회피
다. 언어?문화세계의 철저한 분리와 한국사회에 적합한 방향으로 역량 조정 기회 부재
라. 주류사회 중심의 선택적 수용과 미래지향적 발전가능성의 제약
2. 다문화가족 자녀의 언어?문화적 역량
가. 언어?문화적 차이에 대한 부정적 태도
나. 소수언어에 대한 제한적?소극적 역량
다. 글로벌 상호문화지향(global interculturalism)의 영향
3. 언어?문화적 역량 발전의 주요 장애요인
가. 언어?문화적 역량에 대한 개인적 태도
나. 언어?문화 사용을 둘러싼 가족생활환경
다. 언어?문화적 역량의 제한된 실용성
라. 한국어?한국문화 지배적인 환경
마. 언어 지위 및 젠더요인에 따른 장애요인 비교
4. 긍정적 발전 가능성
가. 긍정적 변화의 계기
나. 자녀의 이중언어 역량 발전을 위한 실천의 단면

Ⅳ.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활동 현황
1. 사회활동
가. 개인적인 활동
나. 자조모임 등 집단 활동
다. 성과와 한계
2. 사회활동성 취업
가. 사회활동성 취업의 특성
나. 사회활동성 취업자의 경험
3. 경제활동
가. 비시장부문 일자리
나. 민간부문
4.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의 과제

Ⅴ. 다문화가족의 언어?문화적 역량 구현을 위한 정책 지원현황과 과제
1. 자녀의 언어?문화적 역량 발전을 위한 정책 지원 현황
가. 학교를 통한 교육
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교육
다. 민간단체 등의 교육
라. 사례를 통해 본 교육 프로그램의 성격
2. 자녀의 언어?문화적 역량 발전을 위한 정책 지원의 성과와 과제
가. 교육 참여 경험
나. 교육 참여의 성과
다. 정책 지원의 과제
3.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지원 정책 현황
가. 여성결혼이민자 지원 정책 동향
나. 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지원 사례
4.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지원 사업의 성과와 과제
가. 지원 사업의 성과
나. 지원 사업의 과제

Ⅵ. 해외 정책지원 사례
1. 일본
가. 개괄적 현황
나. 자녀 대상 모어교육 지원 배경
다. 지자체의 모어교육 지원 사례
라.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본 교육지원의 성격
마. 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사례
2. 대만
가. 개괄적 현황
나. 자녀대상 모어교육 지원 배경
다.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본 교육 지원의 성격
라.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지원 사례
3. 캐나다
가. 개괄적 현황
나. 이민자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지원 사례
4. 해외 사례의 시사점
가. 자녀의 언어?문화적 역량 발전을 위한 지원
나. 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지원

제3부 결론 및 정책제언
Ⅶ. 결론 및 정책제언

1. 생산적 다문화사회의 지향점과 다문화가족의 언어?문화적 역량의 중요성
2. 다문화가족의 언어?문화적 역량 구현 가능성
가. 부정적 측면
나. 긍정적 변화 가능성
다. 언어?문화의 성격에 따른 역량 구현 가능성의 ?이
3. 정책제언
가. 다문화가족의 문화적 특수성을 인정하는 일관된 정책 기조 확립
나. 다양성이 존중되는 가족?사회 환경 촉진
다. 다문화사회의 구체적 현실에 적합한 언어?문화자원 개발 방향 설정
라. 결혼이민자 자녀의 언어?문화적 역량 발전을 위한 정책기반 강화
마. 결혼이민자의 언어?문화적 역량 기반 활동 활성화

참고문헌
Author
김이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