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 경제지 유예지 3

교양·기예·백과사전
$37.95
SKU
979119600464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12/12 - Wed 12/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Wed 12/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5/31
Pages/Weight/Size 158*230*30mm
ISBN 9791196004644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일생을 바쳐 남긴 풍석 서유구의 저술, 『임원경제지』

『임원경제지』는 조선 후기 실학자 풍석 서유구 선생이 우리의 전통문화와 생활지식을 16분야로 나누어 집대성한 백과사전이다. 서유구는 관념에 치우친 유학자들의 학문적 태도에서 벗어나 사람살이의 기본인 ‘건실하게 먹고 입고 사는 문제’를 풀고자 민중의 생활상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조선 · 중국 · 일본의 서적들을 풍부하게 참조하여 이 거작을 저술하였다.

『임원경제지』는 총 16개의 분야로 이루어져 있는데, 곡식 농사에 관한 기록인 『본리지(本利志)』, 식용 식물과 약용 식물에 관한 기록인 『관휴지(灌休志)』, 화훼농사에 관한 기록인 『예원지(藝苑志)』, 과실과 나무에 관련된 기록인 『만학지(晩學志)』, 옷감 재료의 생산과 그 만드는 법에 관한 기록인 『전공지(展功志)』, 여러 가지 자연현상을 보고 기상을 예측하는 방법을 기록한 『위선지(魏鮮志)』, 목축 · 사냥 · 어로에 관련된 기록인 『전어지(佃漁志)』, 솥과 도마로 대표되는 음식의 조리법과 재료의 효능에 관한 기록인 『정조지(鼎俎志)』, 쓰는 물건을 넉넉하게 한다는 뜻으로 건축과 일용품에 관한 기록인 『섬용지(贍用志)』, 몸을 양생하는 일과 관련된 기록인 『보양지(保養志)』, 어진 마음으로 사람을 구제하는 일에 관한 기록이라는 뜻으로 의학에 관한 내용을 적은 『인제지(仁濟志)』, 향촌의 의례에 관한 기록인 『향례지(鄕禮志)』, 교양 지식에 관한 기록인 『유예지(遊藝志)』, 문화생활에 관한 기록인 『이운지(怡雲志)』, 좋은 집터를 살피는 일에 관한 기록인 『상택지(相宅志)』, 경제와 상업 활동에 관한 『예규지(倪圭志)』가 그것이다.

학자들 사이에서 ‘조선의 브리태니커’라 불릴 정도로 체계적이고 치밀하게 구성되어 있는 『임원경제지』는 그 학술적 · 문화적 가치를 높이 평가받아 왔으며 건축·일용품 백과사전인『섬용지』에 이어 조선시대 선비들이 갖추어야 할 덕목인 육예를 기본으로 한 교양백과사전인『유예지』가 두 번째로 출판되었다.
Contents
방중악보
1. 현금자보

1) 손가락을 변통하여 소리 내는 기법
2) 거문고의 두 음 또는 세 음으로 내는 구음
3) 지법의 부호
4) 거문고 구음의 변화
5) 거문고의 자출성
6) 4가지 청의 구별
7) 거문고 현의 이름
8) 거문고 소리의 연관 관계
9) 거문고 구음의 모형
10) 거문고 도식
11)우중대엽 5장
12) 우초엽 5장
13) 우이엽 5장
14) 우삽엽 1장
15) 계중대엽 5장
16) 계초엽 5장
17) 계이엽
18) 계삼엽초장
19) 농엽 5장
20) 우락 5장
21) 계락 초장
22) 편삭대엽 5장
23) 평우조 5장
24) 평계조 5장
25) 삼중대엽 5장
26) 후정화 5장
27) 염불타령
28) 육자염불
29) 타령
30) 군악유입타령
31) 우조타령
32) 군악타령
33) 삼현회입
34) 삼현회입우조별지
35) 삼현회입 2장두
36) 삼현회입 4장말
37) 영산회상
38) 세령산
39) 영산회상이층제지
40) 영산회상삼층제지
41) 보허사
42) 대현환입

2. 당금자보
1) 당금자보
2) 자호
3) 수세
4) 자보
5) 각 5음을 중심 음으로 한 악곡의 자보
6) 옛날 금 그림
7) 현재 금 그림

3. 양금자보
1) 양금자보
2) 양금도
3) 조현
4) 영산회상
5) 가곡
6) 시조

4. 생황자보
1) 생황자보
2) 생황 안공도
3) 계면대엽
4) 농악
5) 낙시조

《유예지》 참고문헌 서목
색인
Author
서유구,임원경제연구소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이며 본관은 대구이다. 대제학 보만재 서명응의 손자이며, 이조판서 서호수의 아들이다. 영조1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초계문신으로 발탁된 후 좌부승지, 성균관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을 거쳐 사헌부대사헌, 예문관대제학,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가 늦은 나이에 전라도관찰사, 수원부 유수를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경화세족 가문에서 태어나 다양한 학문을 깊이 있게 연구했으며,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가학을 이어 특히 농학(農學)에 큰 업적을 남겼다. 가문의 개방적인 학문 기풍과 방대한 장서의 열람, 뛰어난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방면에 식견과 경험을 쌓았다. 젊은 시절 정조의 치세 때에는 규장각에서 많은 편찬 사업에 참여했고, 방폐기간 동안의 여러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로 성장했다.
서유구가 지은 16개의 주제를 지(志)로 하여, 113권으로 구성된《임원경제지》는 농업, 목축, 어업, 양잠, 상업 등의 생산 전반과 의학, 음식, 주거, 선비가 알아야 할 일상 실용지식 등의 생활 전반을 담은 방대한 양의 생활 백과전서이다.

그 밖의 저술로는 정조의 명으로 조선에서 출판한 도서의 목판을 조사한《누판고》와, 전라도관찰사로 재직할 때는 기민을 구제하기 위해 고구마 재배법을 기록한 《종저보》를 간행하였다. 이 밖에도 개인 문집으로 《풍석고협집》, 《금화지비집》, 《번계시고》, 《금화경독기》와 전라도관찰사와 수원유수시절의 업무일지인 《완영일록》과 《화영일록》이 전한다.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이며 본관은 대구이다. 대제학 보만재 서명응의 손자이며, 이조판서 서호수의 아들이다. 영조1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초계문신으로 발탁된 후 좌부승지, 성균관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을 거쳐 사헌부대사헌, 예문관대제학,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가 늦은 나이에 전라도관찰사, 수원부 유수를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경화세족 가문에서 태어나 다양한 학문을 깊이 있게 연구했으며,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가학을 이어 특히 농학(農學)에 큰 업적을 남겼다. 가문의 개방적인 학문 기풍과 방대한 장서의 열람, 뛰어난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방면에 식견과 경험을 쌓았다. 젊은 시절 정조의 치세 때에는 규장각에서 많은 편찬 사업에 참여했고, 방폐기간 동안의 여러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로 성장했다.
서유구가 지은 16개의 주제를 지(志)로 하여, 113권으로 구성된《임원경제지》는 농업, 목축, 어업, 양잠, 상업 등의 생산 전반과 의학, 음식, 주거, 선비가 알아야 할 일상 실용지식 등의 생활 전반을 담은 방대한 양의 생활 백과전서이다.

그 밖의 저술로는 정조의 명으로 조선에서 출판한 도서의 목판을 조사한《누판고》와, 전라도관찰사로 재직할 때는 기민을 구제하기 위해 고구마 재배법을 기록한 《종저보》를 간행하였다. 이 밖에도 개인 문집으로 《풍석고협집》, 《금화지비집》, 《번계시고》, 《금화경독기》와 전라도관찰사와 수원유수시절의 업무일지인 《완영일록》과 《화영일록》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