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3차년도 연구내용 및 방법
가. 주요 연구내용과 국가선정 기준
나. 주요 연구추진 방법
3. 3차년도 연구의 특징 및 한계
Ⅱ. 미얀마·베트남 여성정책 현황 및 수요조사
1. 미얀마 여성정책 현황
가. 미얀마 여성정책 담당 국가기구 및 관련 조직
나. 미얀마 주요 여성 정책 및 여성지위 현황
다. 미얀마 원조체계와 젠더 프로젝트 현황
라. 시사점
2. 베트남 여성정책 현황
가. 베트남 여성정책담당 국가기구 및 관련 조직
나. 베트남 주요 여성정책과 여성지위 현황
다. 베트남 원조 체계와 젠더 프로젝트 현황
라. 시사점
3. 미얀마·베트남의 여성정책에 대한 수요조사 결과
가. 조사개요
나. 조사 결과
4. 아태지역 4개국 여성정책 수요조사 결과 비교 분석
가. 4개국 여성정책의 수요와 특징
나. 소결
Ⅲ. 2013 KWDI SSAGE 워크샵 운영과 특징
1. 워크샵 개요와 운영방식
가. 워크샵의 개요
나. 참가자 선발
다. 워크샵의 구성
라. 워크샵의 특징
2. 주제별 사전 정책이슈 페이퍼 및 사업제안서
가. 개요
나. 사전 정책이슈 페이퍼 및 사업제안서 내용
다. 현지의 주제별 이슈와 참가자들의 사업제안서 특징
3. 워크샵 평가 및 모니터링
가. 전체 워크샵 평가
나. 과목별 평가
다. 사전 자기평가 및 향후 모니터링 계획
4. SSAGE 워크샵 연계 국제 컨퍼런스 개최: 제5차 개발과 젠더에 관한 아태개발협력포럼
5. 소결
Ⅳ. 사업의 중간 성과평가
1. 성과 평가의 목적과 방법
가. 목적
나. 방법
2. 설문 결과
가. 응답자 특성
나. 워크샵 직후 만족도
다. 워크샵 전-후 인식과 태도변화
라. 조직 차원 변화
마. 국가변화
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기여할 점
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홈페이지 방문
3. 지표별 결과
가. 지표 1: 양성평등과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의 변화
나. 지표 2: 네트워크 강화
다. 지표 3: 여성정책 이슈화 및 관련 활동 증가
라. 평가의 의의와 한계
Ⅴ. 여성정책 지식공유 기반 구축과 향후 과제
1. 협력대상국의 특징과 정책수요
가. 협력대상국의 정치기회구조와 여성정책 여건
나. 협력대상국의 정책수요
2. 여성정책 지식공유의 기반 구축 : 연구사업 논리모델 개발
3. 한국 ODA 성 주류화를 위한 정책 제언
가. 컨설팅을 통한 개도국 여성대상 사업 발굴
나. 개도국과의 네트워크 축적과 활용
· 참고문헌
· 부 록
부록 1 기초현황 수요조사 설문지
부록 2 미얀마 여성관련 기관
부록 3 베트남 여성관련 기관
부록 4 워크샵 참가 신청서 1. Application Form
부록 5 워크샵 참가 신청서 2. Policy Paper
부록 6 2013 KWDI SSAGE 워크샵 프로그램 세부내용
부록 7 워크샵 평가지
부록 8 중간 성과평가 설문지
부록 9 캄보디아 여성 보건현황
부록 10 인도네시아 여성 보건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