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가어 3

$14.95
SKU
978894970588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13 - Thu 12/1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Thu 12/1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12/12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49705880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공자와 중국을 보다 깊이 이해한다
공자 언행 및 제자들과 주고받은 대화와 논의


『공자가어』는 진한 이래의 여러 전적에서 공자에 관한 일화 등을 모은 책이다. 유가의 발흥을 꾀하기 위해 위나라 왕숙이 정리하여 엮은 이 책은 이미 송나라 시대에 공자를 이해하고 그 당시의 시대 상황과 문물제도 등을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로서 인정받았다. 이 책은 이미 송대에 공자를 이해하고 그 당시의 시대 상황과 문물제도 등을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로서 인정받았다. 현재에도 이 책은 중국을 이해하고 동양을 이해하며 동양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책의 내용은 주로 고대 혼인, 상례, 제례, 교체, 묘조, 오제등 여러 제도는 물론이고 상고사와 공자의 언행, 공자의 가계와 탄생, 그리고 공자의 죽음과 제자들의 심상, 공자와 당시의 군주, 위정자들과의 대화, 제자와의 토론 문답, 강학과 교육, 심지어 공문 제자들의 명단, 음악, 형벌, 주나라 관람, 관혼상제 등 다양하다. 한문 초학자라도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을 만큼 내용이 명확하고 문장도 쉽워 한자에 관심이 많이 독자들이라면 원문도 함께 읽을만 하다.
Contents
046공자가어3/3

卷八

33. 관송冠頌 (총 2장)
218(33-1) 隱公旣卽位 주 은공의 관례
219(33-2) 懿子曰諸侯之冠 제후의 관례
34. 묘제廟制 (총 2장)
220(34-1) 衛將軍文子將立三軍之廟於其家 각 신분과 작위에 따른 사당
221(34-2) 子羔問曰 조와 종

35. 변악해辨樂解 (총 3장)
222(35-1) 孔子學琴於師襄子 공자의 음악 수업
223(35-2) 子路鼓琴孔子聞之 공자의 거문고 소리
224(35-3) 周賓牟賈侍坐於孔子 무라는 음악

36. 문옥問玉 (총 4장)
225(36-1) 子貢問於孔子曰 군자가 옥을 중히 여기는 까닭
226(36-2) 孔子曰入其國 육경과 정치 교화
227(36-3) 天有四時 삼대의 덕
228(36-4) 子張問聖人之所以敎 성인의 가르치는 방법

37. 굴절해屈節解 (총 4장)
229(37-1) 子路問於孔子曰 장부가 세상에 살면서
230(37-2) 孔子在衛 자공의 외교술
231(37-3) 孔子弟子有宓子賤者 복자천이 선보 땅의 재가 되어
232(37-4) 孔子之舊曰原壤 어머니 상을 당한 원양

卷九

38. 칠십이제자해七十二弟子解 (총 1장)
233(38-1) 顔回魯人字子淵 공자의 72 제자들에 대한 약전

39. 본성해本姓解 (총 3장)
234(39-1) 孔子之先宋之後也 공자의 가계와 족보
235(39-2) 孔父生子木金父 숙량흘과 안징재
236(39-3) 齊太史子與適魯 소왕 공자

40. 종기해終記解 (총 3장)
237(40-1) 孔子蚤晨作 공자의 죽음에 대한 예감과 서거
238(40-2) 哀公曰 애공의 뇌문
239(40-3) 旣卒門人疑所以服夫子者 공자의 장례와 제자들

41. 정론해正論解 (총 27장)
240(41-1) 孔子在齊 관직의 법을 지킨 우인
241(41-2) 齊國書伐魯 선생님으로부터 배운 것입니다
242(41-3) 南容說仲孫何忌旣除喪 허물을 고칠 줄 아는 것이 군자
243(41-4) 衛孫文子得罪於獻公 연릉계자의 충고
244(41-5) 孔子覽晉志 동호와 같은 사관
245(41-6) 鄭伐陳 자산의 판단
246(41-7) 楚靈王汰侈 극기복례가 곧 인이다
247(41-8) 叔孫穆子避難奔齊 덕행을 실천하기만 하면
248(41-9) 晉邢侯與雍子爭田 숙향의 판결
249(41-10) 鄭有鄕校 정나라 향교
250(41-11) 晉平公會諸侯于平丘 각 나라의 분담금
251(41-12) 鄭子産有疾 정나라 자산의 통치술
252(41-13) 孔子適齊過泰山之側 가혹한 정치는 범보다 무섭다
253(41-14) 晉魏獻子爲政 쌓은 공로를 허물어뜨리지 마라
254(41-15) 趙簡子賦晉國一鼓鐘 종정에 새긴 형법
255(41-16) 楚昭王有疾 자신의 영토에서만 지낼 수 있는 제사
256(41-17) 衛孔文子使太叔疾出其妻 새는 나무를 가려서 앉을 수 있으나
257(41-18) 齊陳恒弑其君簡公 진항이 임금을 시해하자
258(41-19) 子張問曰 천자가 죽으면
259(41-20) 衛孫桓子侵齊 정치의 대절
260(41-21) 公父文伯之母紡績不解 공보문백의 어머니
261(41-22) 樊遲問於孔子曰 나라에 도가 없으면 물러나라
262(41-23) 季康子欲以一井田出法賦焉 토지 등록과 백성의 힘
263(41-24) 子游問於孔子曰 수레로 물을 건네준 자산
264(41-25) 哀公問於孔子曰 노인을 공경하는 이유
265(41-26) 哀公問之於孔子曰 쓸데없는 금기 사항
266(41-27) 孔子適季孫 취하는 것과 빌리는 것

卷十

42. 곡례자공문曲禮子貢問 (총 31장)
267(42-1) 子貢問於孔子曰 천자를 조견하는 법
268(42-2) 孔子在宋 재물을 중히 여기다니
269(42-3) 孔子在齊 흉년에 임금이 삼가야 할 일
270(42-4) 孔子適季氏 병을 질문하는 예
271(42-5) 孔子爲大司寇 멀리서 온 이들에게 하는 예
272(42-6) 子貢問曰管仲失於奢 관중과 안자의 차이
273(42-7) 求曰昔文仲知魯國之政 부당한 제사
274(42-8) 子路問於孔子曰 장무중이 형벌을 받지 않은 이유
275(42-9) 晉將伐宋 사성자한
276(42-10) 楚伐吳 차마 사람을 죽이지 못하는 마음씨
277(42-11) 孔子在衛 상사는 질박한 풍속을 따르면 그만
278(42-12) 宣公八年六月辛巳 종묘에 두 번 제사를 지낼 수 없다
279(42-13) 季桓子喪 최의를 입지 아니하고
280(42-14) 人以同母異父之昆弟死 한 어미의 씨 다른 두 아들
281(42-15) 齊師侵魯 어린 애의 장례법
282(42-16) 魯昭公夫人吳孟子卒 주인이 복장을 갖추지 않았으니
283(42-17) 公父穆伯之喪 공보문백의 장례
284(42-18) 南宮之妻 남궁도의 아내
285(42-19) 子張有父之喪 부모의 삼년상
286(42-20) 孔子在衛 모범이 될 만한 상제
287(42-21) 卞人有母死 예는 계속 이을 수 있는 것이어야
288(42-22) 孟獻子 맹헌자의 담례
289(42-23) 魯人有朝祥而暮歌者 대상을 치르고 노래를 부르니
290(42-24) 子路問於孔子曰 재물에 맞게 치러야 할 장례
291(42-25) 吳延陵季子聘于上國 연릉계자의 아들 장례
292(42-26) 子游問喪之具 장례에 쓰이는 물품들
293(42-27) 伯高死於衛 백고의 죽음
294(42-28) 子路有之喪 자로 누이의 죽음
295(42-29) 伯魚之喪母也 공자 아들의 어머니 상
296(42-30) 衛公使其大夫求婚於季氏 혈친을 혈친으로 여겨
297(42-31) 有若問於孔子曰 종친이란

43. 곡례자하문曲禮子夏問 (총 27장)
298(43-1) 子夏問於孔子曰居父母之仇如之何 부모의 원수
299(43-2) 子夏問 삼년상을 치르곤 뒤의 전쟁
300(43-3) 子夏問於孔子曰記云 주공이 섭정할 때의 예법
301(43-4) 子夏問於孔子曰居君之母與妻之喪如之何 임금이 상을 당했을 때의 예법
302(43-5) 子夏問於夫子曰 소공
303(43-6) 子夏問於孔子曰客至 객을 맞았으면 장례까지 책임을 져야 한다
304(43-7) 孔子食於季氏 예는 억지로 맞추는 것이 아니다
305(43-8) 子夏問曰 관중 죽음의 상복
306(43-9) 子夏問居父母喪 부모의 초상
307(43-10) 子夏問於孔子曰殷人旣定而弔於壙 은나라와 주나라 때의 서로 달랐던 조문 방법
308(43-11) 子貢問曰聞諸晏子 소련과 대련의 상주노릇
309(43-12) 子游問曰 세자 보모의 초상
310(43-13) 孔子適衛 친구의 초상
311(43-14) 子路問於孔子曰 선생님도 모르시는 예법
312(43-15) 叔孫武叔之母死 소렴을 한 다음
313(43-16) 齊晏桓子卒 안평중의 부친상
314(43-17) 季平子卒 계평자가 죽었을 때
315(43-18) 孔子之弟子琴張 조문해서는 안 될 초상
316(43-19) 人子革卒 예에 어긋나는 곡
317(43-20) 公父文伯卒 공보문백의 처첩
318(43-21) 子路與子羔仕於衛 자로의 죽음에 젓갈을 엎어버린 공자
319(43-22) 季桓子死 나는 동서남북 떠도는 자
320(43-23) 孔子有母之喪 어머니의 상을 당한 공자
321(43-24) 顔回死 안회가 죽다
322(43-25) 原思言於曾子曰 명기란 귀신의 그릇
323(43-26) 子貢問於孔子曰 위패
324(43-27) 孔子之守狗死 공자 집에 기르던 개의 죽음

44. 곡례공서적문曲禮公西赤問 (총 10장)
325(44-1) 公西赤問於孔子曰 죄를 지었던 대부의 죽음
326(44-2) 公儀仲子嫡子死而立其弟 아들이 죽으면 손자를 세운다
327(44-3) 孔子之母旣喪 공자 부모의 합장
328(44-4) 子游問於孔子曰 장례에 쓰이는 허수아비
329(44-5) 顔淵之喪 안연이 죽고 나서
330(44-6) 孔子嘗奉薦而進 장례에 너무 지쳐
331(44-7) 衛莊公之反國 역제
332(44-8) 季桓子將祭齊三日 제사에 삼가야 할 일들
333(44-9) 公父文伯之母 남녀의 분별
334(44-10) 季康子朝服以縞 조복의 예법

○ 부록
Ⅰ. 序跋 및 傳類
1. 『孔子家語』序 ― 王肅
2. 『孔子家語』後序 ― 黃魯曾
3. 『孔子家語』序 ― 張周
4. 「四庫全書總目」 『孔子家語』 提要
5. 『孔子家語』後序
6. 『孔子家語』序 ― 何孟春
7. 王肅傳 ― 『三國志』 魏志(13) 王朗傳(附)
8. 『史記』 孔子世家 ― 司馬遷
Author
왕숙,임동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