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의 문학적 재인식

$31.05
SKU
979115905497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2/10
Pages/Weight/Size 160*230*25mm
ISBN 9791159054976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이 책은 3·1운동을 통해 우리의 어떤 것들이 바뀌었는지를 문학사를 통해 다양하게 접근하고 해석한 것이다. 2019년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한국문학 연구자들이 운동의 성과를 한국 근대문학사의 관점에서 연구한 결과물을 모아 책으로 엮었다. 3·1운동의 영향으로 창간된 잡지부터 시와 소설, 해방 직후에 재조명된 민족운동으로서 3·1운동 등에 이르기까지 어떤 영향을 미쳤는는가를 다각도로 살펴본다. 특히 권말에 실린 체코의 한국학 연구자 즈덴카 크뢰슬로바(Zdenka Kloslova, 1935~)의 글은 3·1운동이 체코에서 당시 어떻게 보도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글이어서 이채롭다.
Contents
제1부

『창조』 다시 읽기
-3·1운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김영민 15
1. 『창조』의 창간과 3·1운동 15
2. 『창조』와 ‘인생을 위한 예술’ 22
3. 「생명의 봄」과 예술의 정체성 32
4. 마무리 47

‘청춘(靑春)’이 끝난 자리, 계몽과 개조의 사이에서
-잡지 『삼광』을 중심으로 / 이종호 50
1. 3·1운동의 전야, 『청춘』과 『무정』을 읽은 사람들 50
2. ‘『삼광』 동인’의 춘원·육당에 대한 비판적 인식 61
3. 계몽의 언어에서 개조와 해방의 언어로 72
4. 반(反)식민과 사이비 근대 비판-결론을 대신하여 80

제2부

구미 근대 비판으로서의 「표본실의 청개구리」-제1차 세계대전, 3·1운동 그리고 한국 현대문학 / 김재용 87
1. 지구적 맥락에서 본 3·1운동 전후의 조선사회와 문학 87
2. 비서구 식민지에서 본 제1차 세계대전과 강화회의 89
3. 구미 근대의 비판으로서의 「표본실의 청개구리」 92
4. 구미 근대 이후를 찾아서 97

‘죽음의 집’의 기억-염상섭의 「표본실의 청개구리」 다시 읽기 / 한수영 100
1. 폭력의 경험으로서의 3·1운동과 소설 재해석의 시좌 100
2. 신념이냐 광기냐-고문의 ‘기록/증언’의 가능성과 불가능성 113
3. 살아남은 자의 부끄러움-조소(嘲笑)와 자괴(自愧)의 간극 123
4. ‘그날’ 이후의 김창억, 그리고 가족들 129
5. ‘나’는 누구인가 138
6. 폭력의 경험, 그 후에 남은 것들-맺음말을 대신하여 146

3·1운동의 문학적 기념비로서 「표본실의 청개구리」 / 이현식 149
1. 「표본실의 청개구리」, 한국 최초의 자연주의 소설인가? 149
2. 문예사조로 문학사를 설명한다는 것의 의미 151
3. 3·1운동의 이념-사회진화론에 맞서는 세계평화주의 155
4. 「표본실의 청개구리」, 3·1운동의 세계관을 그리다 160
5. 3·1운동의 문학적 기념비, 「표본실의 청개구리」 166

제3부

3·1운동 이후의 시사적 맥락 / 유성호 171
1. 본격적인 근대문학의 개화 171
2. 근대전환기의 시적 주체 173
3. 넓은 편폭을 지닌 동인지의 세계 176
4. 당대 현실에 대한 시적 반영과 전개 190

3·1 기념시가의 수용 방식과 상징성
-1920~1930년대 해외 한인 매체를 대상으로 / 김신정 197
1. 서론 197
2. 3·1 기념시가의 수용 방식 205
3. 3·1 문학표상과 의미 216
4. 결론 229

제4부

3·1운동 형상화를 통해 본 해방 직후 좌파의 현실인식 / 양문규 235
1. 머리말 235
2. 김남천의 [삼일운동(三一運動)] 239
3. 함세덕의 [기미년 삼월 일일(己未年 三月 一日)] 245
4. 맺음말 257

해방기 시에 새겨진 3·1운동의 기억 / 이경수 260
1.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 260
2. 해방기의 인정투쟁과 3·1운동의 의미 263
3. 해방기 시가 기억하는 3·1운동 268
4. 기억과 역사 283

‘유관순’을 호명하는 몇몇 시선과 목소리 / 최현식 287
1. 명명과 인정투쟁, ‘유관순’이라는 기호의 탄생 287
2. ‘유관순 이야기’의 기원과 문화정치학적 배경 301
3. 유관순, ‘사실’ 혹은 ‘발명’의 존재론 307
4. ‘유관순 이야기’의 규약 혹은 동일성 협약의 몇몇 장면 318
5. ‘국정(國定)’ 교과서에 호명된 유관순의 빛과 그림자 347
6. 유관순이라는 기호가 말하는 것-결론을 대신하여 365

부록
러시아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의 신문 『체코슬로바키아 데니크(체코슬로바키아 일보)』를 통해 본 한국 뉴스(1919∼1920) / 즈덴카 크뢰슬로바, 양문규 역 377
역자 해제 377
1919년 3월 1일 379
문화정치 개혁 385
한국에 대한 기사를 쓴 『CSD』 언론인, 스타니슬라브 코바르즈 387
Author
문학과사상연구회
연세대학교 인문예술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전북대학교 국문과 조교수와 미국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방문교수, 일본 릿교대학 교환 연구교수를 지낸 바 있다. 연세대학교 학술상과 한국백상출판문화상 저작상을 수상하였다.

그동안 지은 책으로 『한국문학비평논쟁사』(한길사, 1992), 『한국근대소설사』(솔, 1997), 『한국근대문학비평사』(소명출판, 1999), 『한국현대문학비평사』(소명출판, 2000),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정』(소명출판, 2005), 『한국의 근대신문과 근대소설』 1-대한매일신보(소명출판, 2006), 『한국의 근대신문과 근대소설』 2-한성신보(소명출판, 2008), 『문학제도 및 민족어의 형성과 한국 근대문학(1890∼1945)』(소명출판, 2012), 『한국의 근대신문과 근대소설』 3-만세보(소명출판, 2014) 등이 있다.
연세대학교 인문예술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전북대학교 국문과 조교수와 미국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방문교수, 일본 릿교대학 교환 연구교수를 지낸 바 있다. 연세대학교 학술상과 한국백상출판문화상 저작상을 수상하였다.

그동안 지은 책으로 『한국문학비평논쟁사』(한길사, 1992), 『한국근대소설사』(솔, 1997), 『한국근대문학비평사』(소명출판, 1999), 『한국현대문학비평사』(소명출판, 2000),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정』(소명출판, 2005), 『한국의 근대신문과 근대소설』 1-대한매일신보(소명출판, 2006), 『한국의 근대신문과 근대소설』 2-한성신보(소명출판, 2008), 『문학제도 및 민족어의 형성과 한국 근대문학(1890∼1945)』(소명출판, 2012), 『한국의 근대신문과 근대소설』 3-만세보(소명출판, 2014)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