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민족성지 태화관은 어떻게 여대가 됐나

여성공간의 상징 태화여자관 101주년
$21.60
SKU
979115795645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5/25
Pages/Weight/Size 152*224*30mm
ISBN 9791157956456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3·1운동 발상지 태화관에서 탄생한 태화여자관 101주년 기념도서
태화관에서 탄생한 태화여학교가 성신여대로 발전한 전과정 추적

올해도 격동의 근대사를 상징하는 여러 사건들이 한 세기를 기념했다. 2019년 한민족 전반에게 ‘근대’를 깨우친 3·1운동이 100주년이 맞은 이래로, 2022년 3·1운동의 수장으로 지목됐던 천도교 지도자 손병희 순국 100주기가 도래했다. 손병희의 사위 방정환이 제정한 어린이날이 100년이 됐다. 돈암동을 배경으로 활동한 한국의 대표적 조각가 권진규를 비롯 김수환 추기경, 소설가 선우휘와 손창섭, 시인 김춘수, 건축가 김중업 등이 탄생 100년을 맞이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통해 획득한 여성참정권은 ‘남녀동권’이 제도적으로 인정받은 일대 개혁이었고, 여학교/여학생의 등장은 여성에게 공적교육이 작용한 첫 번째 사건이었다.

최근 세계적 주목을 받은 애플TV+ 드라마 ‘파친코’는 이 시기 한국여성의 삶을 치밀하게 그려내고 있다. 여주인공 선자의 서툰 젓가락질이 논란을 불러일으킬 만큼 대개의 여성들에게는 밥상에 제대로 앉아 젓가락을 사용하는 법조차 가르치지 않는 시대였다. 남성의 부속물처럼 여겨지던 여성이 하나의 인격으로 재탄생하며 스스로 삶을 개척하게 된 데는 여성에게 행해진 최초의 제도권 교육과 그 여파가 절대적이었다. 신간 ‘3·1 민족성지 태화관은 어떻게 여대가 됐나 ; 여성공간의 상징 태화여자관 101주년’은 한 여자대학의 묻혀버린 근원을 파헤치며 한국 여성교육의 역사를 전반적으로 훑어 내는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고 있어 눈길을 끈다.

3·1운동 발상지 태화관에서 탄생한 태화여자관이 101주년을 맞은 2022년, 작가는 3·1운동이 한국여성의 삶과 여성사에 미친 혁명적 영향력을 상징하는 공간으로서 태화관을 조명하며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여기서 탄생한 태화여학교가 국내 굴지의 여자대학인 성신여대로 발전한 사실을 재발굴하였다.

‘여성사가 여성이 받아야 할 권위를 되찾아준다고 확신’했던 ‘한국 최초 민간신문사 여기자 최은희’를 기리며 시작하는 이 책은 후배 여기자가 부르는 송가이기도 하다. 최은희로 시작, 김마리아, 이각경, 이숙종, 정종명, 한윤명, 이금전, 한신광, 유영준, 서대인, 앤 월리스 서 등 희미해지거나 아예 잊힌 수많은 여성인물들을 호명하며 여권을 이끌어온 진보적 여성상의 계보를 그려낸다. 동시에 주제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대 여성들의 삶을 들여다볼 수 있는 신문보도상의 에피소드와 사진들도 꼼꼼히 펼쳐놓아 대중서로 읽기에도 무리가 없다.
Contents
[들어가며] 배제된 3·1운동의 여성사적 의미

1장 여자대학이 된 민족성지 태화관

01. 고증 부족한 3·1운동 100주년 기념
민족의 심장에 일제 상징 박아 넣은 서울시 | ‘그때그때 달라요’ 역사관, 재귀적 좌파 이벤트 | ▶“3·1운동 기생 사진은 본래 여학생 사진”

02. 여성해방 상징하는 3·1운동 공간
외신들도 주목한 소녀들의 항쟁 | 태화관서 시작된 천지개벽, 여성참정권 획득 | ▶최초의 여성들, 잊힌 여성들의 비극

03. 3·1정신 이어받아 탄생한 성신여대
1886년 추정되는 태화의 뿌리 ‘성경학교’ | 하나의 조상, 여러 갈래로 뻗은 여성교육 | 여자대학들의 설립과 전통, 학원분규 | ▶첫 번째 ‘근대 여성전문직’ 전도부인

04. 확장되는 역사, 보이지 않는 전쟁
역사 확장성 놓고 기억투쟁하는 대학들 | 성신여대의 잃어버린 15년 ‘태화’

2장 3·1독립정신의 장소성 계승한 ‘적자’

01. 선구여성의 일터, 여성운동의 요람
민족성지 태화관의 여성해방 상징성 | 구여성도 신여성으로, 교사가 되다 | 모자보건의 시작, 여의사·간호사·산파 | ▶여자성인교육 선도, 태화여자관

02. 한양 중심석 있던 북촌의 갑제
권문세가들의 갑제에서 순화궁터로 | 조선왕실의 명당에서 친일파 소유로

03. 3·1독립선언식 전후의 태화정
독립운동 건축가 재건축, 재개발로 사라져 | ▶한국 최초의 여성전용 도서관

04. 3·1정신 간직한 천도교 중앙총부
천도교기념관에서 개교한 성신 | 성신이 거쳤던 역사적 장소들 | 태화의 기독교정신과 성신의 건학이념

3장 서울여학생운동으로 발화한 성평등교육

01. 각성한 여학생들의 자발적 향학열
맹휴의 시대, 자주성 외친 여학생들 | 교육받은 여성의 임무, 농촌계몽운동 | ▶태화여학교 재학생들의 면면 | ▶학생들의 신망받은 장귀련 교사

02. 양성평등 여성교육·여권신장에 솔선
여선교사들의 페미니즘 사상과 한계

03. 태화여학교생 8명, 독립운동가 서훈
만세운동 태화여학교생 경·검 신문조서 | 6·10만세운동에 고초 겪은 태화여학교 | ▶광주학생운동 ‘여학도 투쟁기’ | ▶한 집안 이중포상의 문제

04. 태화 승계 성신의 혁신·여성연대
태화와 성신의 공통점과 차이점 | 여학교·여자대학은 왜 존재하는가 | ▶여자팀 감독은 여자선수 출신으로 | ▶성신여학교 출신의 성평등 공헌

4장 여성계에 기여한 태화·성신의 인물들

01. 한국 땅에 헌신한 여성 선교사들
한국 관련 소설과 저작 남긴 와그너 | 격동의 한국근현대사에 휘말린 여선교사

02. 가정법 개정 앞장선 여권운동가 이숙종
이숙종의 성장환경, 미술가로서의 면모 | 언론에 비친 이숙종의 페미니즘과 부일 | ▶서울시내 사립여학교 교장 모임, 구인회

03. ‘여권통문’ 발굴, 박용옥 성신여대 교수
한국여성의 자생적 근대화 조명 | 식민사학 벗어난 주체적 여성사관

04. 북유럽 설립 국립의료원간호대 승계
태화, NMC, 성신으로 이어진 간호 역사 | 4·19혁명 총상 학생들의 치료 거점 | ▶언론에 비친 간호대학

[나오면서] 한 세기라는 시간, 그리고 한 개인의 염원
Author
김태은
언론인 출신 작가. 일간신문 국내최초 인터넷이슈팀장을 맡아 온라인 취재영역을 개척했고, 뉴스통신사에서는 문화전문기자로 일했다. ‘김에리’라는 필명으로 문화평론가로 활동하며 TV 미디어비평 프로그램 등에 출연했다. ‘여성에게 국가는 없다’ 등의 책을 출간했다.
언론인 출신 작가. 일간신문 국내최초 인터넷이슈팀장을 맡아 온라인 취재영역을 개척했고, 뉴스통신사에서는 문화전문기자로 일했다. ‘김에리’라는 필명으로 문화평론가로 활동하며 TV 미디어비평 프로그램 등에 출연했다. ‘여성에게 국가는 없다’ 등의 책을 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