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에 등장한 세계화라는 용어는 여전히 지속적인 화두이지만 이미 이 단어 자체가 과거를 규정하는 상황이 되었다. 세계화로 인한 부작용, 미중경쟁, 글로벌 금융위기, 미국 우선주의, 브렉시트 등과 같은 사건들이 발생하며 전 세계는 불확실한 속성을 지니게 되었다. 이 책은 불확실성의 모습을 띠고 있는 지금을 세계화 3.0으로 규정하며, 새로운 세계화가 과거와 어떠한 차이가 있고,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살펴보고 있다.
세계화 3.0은 국가나 제도가 아닌 개인이 중심에 있기 때문에 국내정치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세계화 3.0이 국내정치와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지, 민주주의라는 체제가 이 상호작용에 어떻게 작동하는지 분석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화는 국경의 의미가 퇴색되고 주권 국가의 의미가 약화한다고 주장했으나 오히려 세계화 3.0 시대에서는 세계화와 민주주의가 충돌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미국, 중국, 유럽, 일본, 한국, 베트남 등의 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이러한 다양한 논의를 통해 이 책은 세계화 3.0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Contents
간략목차
1장 서론: 세계화 3.0과 국내정치 / 이승주
제1부 미중경쟁과 세계화의 국내정치적 기원
2장 세계화와 미국의 중상주의 통상정책/ 김치욱
3장 세계화/경제통합과 국내정치의 연계: 중국 사례 / 이왕휘
제2부 세계화와 국내정치의 상호작용: 수렴과 분화
4장 세계화와 유럽연합: 정치적 변화와 정책적 지속성 / 조홍식
5장 세계화와 일본의 통상정책: 다각적 양면-연계론으로 분석한 CPTPP과 RCEP의 정책 수렴 / 박창건
6장 세계화와 경제적 불확실성의 정치경제: 한국 사례 / 이승주
7장 베트남의 세계화 전략과 경제개혁의 정치 / 김용균
세부목차
서문
1장 서론: 세계화 3.0과 국내정치
1. 21세기 세계화와 국내정치
2. 책의 구성
1부 미중경쟁과 세계화의 국내정치적 기원
2장 세계화와 미국의 중상주의 통상정책
1. 서론
2. 미국의 세계화 현황
3. 세계화의 국내정치
4. 중상주의 통상정책
5. 결론
3장 세계화/경제통합과 국내정치의 연계: 중국 사례
1. 서론
2. 개혁개방 이후 경제성장과 불평등 심화
3.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싱가포르, 광동 및 충칭모델
4. 세계화 2.0: 중진국/중간소득 함정의 극복
5. 세계화로부터 후퇴: 무역전쟁과 코로나19 위기 이후 쌍순환
6. 결론
2부 세계화와 국내정치의 상호작용: 수렴과 분화
4장 세계화와 유럽연합: 정치적 변화와 정책적 지속성
1. 세계화와 유럽연합
2. 21세기 세계화의 충격
3. 정치적 변화: 반(反)유럽 포퓰리즘의 부상
4. 정책적 지속성: 자유무역, 다자주의, 그리고 통합의 가속화
5. 통합과 해체의 상호작용
5장 세계화와 일본의 통상정책: 다각적 양면-연계론으로 분석한 CPTPP과 RCEP의 정책 수렴
1. 서론
2. 다각적 양면-연계론적 접근
3. 중층적 지역통상 레짐
4. 일본 지역통상정책의 정치적 함의
5. 결론
6장 세계화와 경제적 불확실성의 정치경제: 한국 사례
1. 서론
2. 세계화와 경제적 불확실성의 정치경제: 이론적 검토
3. 한국의 세계화와 경제적 불확실성
4. 금융 세계화의 정치경제: FDI를 중심으로
5. 결론
7장 베트남의 세계화 전략과 경제개혁의 정치
1. 서론
2. 베트남 경제구조의 특징
3. 세계화와 지방성 거버넌스
4. 세계화와 국영부문 개혁 정책
5. 세계화와 민간부문의 발전
6. 결론
저자 소개
도해목차
표
3.1 중국의 경제성장: 1952∼2018년
3.2 글로벌 연계지수: 국가별 순위
도표
2.1 미국의 세계화-국내정치 연계구조
2.2 세계와 미국의 경제세계화
2.3 미국의 무역·금융 세계화
2.4 세계화의 국제적 분배효과
2.5 세계화의 국내적 분배효과
2.6 미국인의 국제리더십 인식
2.7 미국인의 자유무역 및 중국 인식
2.8 미국의 보상·대의 정치
3.1 중국의 무역의존도 (%)
3.2 중국의 소득분배: 1978~2015년
3.3 중국의 자산분배: 1995~2015년
3.4 명목 및 구매력 1인당 GDP: 1990~2018년
3.5 중국 경제성장 동력: 시기 구분
3.6 쌍순환: 국제대순환에서 국내대순환으로
3.7 쌍순환: 국내 산업구조의 재편
3.8 쌍순환: 글로벌 공급망의 재구성
3.9 쌍순환: 지역공급망 재편
4.1 유럽연합 역외 무역 규모 및 추세
4.2 유럽연합 역외 해외직접투자 누적액과 매년 투자액
5.1 일본의 중층적 지역통상 레짐들
6.1 무역 개방도(2017년)
6.2 주요국의 무역 의존도 변화 추이(1953~2017년)
6.3 OECD 국가의 D1/D9 분위수 배율(2013년)
6.4 상위 1% 소득집중도 국제 비교(1917~2014년)
6.5 OECD 회원국의 사회지출(2019년) 1
6.6 OECD 회원국들의 자영업자 비중(2019년)
6.7 주요국 자영업 비율의 변화(1989~2019년)
6.8 기업 생태계 현황 비교(2015년 기준)
6.9 주요국 기업 생존율(2015년 기준)
Author
이승주,김용균,김치욱,박창건,이왕휘,조홍식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前 싱가포르국립대학교 교수,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EAI 무역·기술·변환센터 소장, 외교부 경제안보외교 자문위원회 위원장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前 싱가포르국립대학교 교수,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EAI 무역·기술·변환센터 소장, 외교부 경제안보외교 자문위원회 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