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소셜 미디어와 한국의 미디어 정치

$26.00
SKU
9788975857454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06/22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75857454
Description
최근 각국의 선거에서 SNS가 중요한 선거운동 수단으로 그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향후 선거환경을 크게 변화시킬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소셜 미디어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해서는 낙관론 못지않게 비관론과 회의론이 만만치 않게 제기되고 있다. 특히 아직 경험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SNS의 정치적 효용성에 대한 낙관적인 기대감이 일부 사례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 전반에 지나치게 만연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SNS 선거 캠페인의 경험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낙관적인 정치적 파급효과에 대한 기대를 배격하고, 제도적 장치의 보완을 통해 유권자 특성에 부합하는 SNS 선거운동의 가능성을 모색하여 SNS가 한국의 정치발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사이버 선거캠페인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더불어 소셜 미디어와 한국정치의 발전이라는 함수관계를 살펴보았다. 즉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정치에 무관심한 젊은 세대의 정치참여를 활성화하여 한국의 정치발전에 도움을 줄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Contents
서문 4


1부 민주주의와 한국의 선거 15

1장 한국 선거의 특성 16
1. 선거제도의 변화
2. 한국 선거의 특성

2장 한국 정치문화의 특성 29
1. 한국 정치문화의 특성 및 변화
2. 한국정치의 인맥주의

3장 한국의 선거와 세대이론의 적용 42

4장 선거공영제의 도입과 한국의 선거 52
1. 선거공영제의 의의
2. 선거공영제 정착을 위한 미디어정치의 필요성


2부 미디어정치의 유형과 특성 61

5장 정치 마케팅과 선거 캠페인 62
1. 정치 마케팅의 등장과 미국적 선거 캠페인
2. 정치 마케팅의 개념과 모델

6장 미디어정치의 의미와 기능 71
1. 선거 환경의 변화와 미디어 정치의 도입
2. 미디어정치의 한계

7장 후보자 이미지 82
1. 후보자 이미지의 개념과 특성
2. 후보자 이미지의 구성요소
3. 텔레비전 정치광고와 후보자 이미지
4. 후보자 이미지에 대한 정치광고의 효과분석

8장 텔레비전 토론 115
1. 정치토론의 역사와 진정한 의미의 토론
2. 텔레비전 토론의 효과
3. 텔레비전 토론의 한계

9장 정치광고 127
1. 정치광고의 개념과 유형
2. 정치광고의 기능
3. 이슈광고와 이미지광고
4. 부정적 정치광고
5. 정치광고와 비디오 스타일
6. 정치광고의 변천사
7. 한국 유권자들의 정치광고에 대한 인식

10장 언론의 선거보도 227
1. 선거 보도의 특성 및 문제점
2. 제18대 대선의 선거보도 현황
3. 선거보도의 바람직한 방향

11장 인터넷과 선거 캠페인 238
1. 인터넷과 전자민주주의
2. 인터넷 선거 캠페인의 가능성
3. 한국 선거에서의 인터넷 활용 사례


3부 소셜 미디어 시대의 선거 캠페인 249

12장 새로운 웹 환경과 소셜 미디어의 등장 250

13장 소셜 미디어의 개념과 유형 254
1. 소셜 미디어의 개념과 특성
2. 소셜 미디어의 유형 분류

14장 소셜 미디어와 한국의 선거 270
1. 소셜 미디어의 등장과 선거 캠페인의 변화
2. 정치와 관련된 소셜 미디어의 가능성
3. 정치와 관련된 소셜 미디어의 문제점
4. 소셜 미디어의 국내 선거활용 사례


15장 소셜 미디어와 사이버 공론장의 활성화 가능성 304

16장 소셜 미디어와 N세대 유권자 312

17장 소셜 미디어와 정치참여 319
1. SNS와 정치참여 확대
2. 정치참여, 정치 관심도 및 정치 효능감
3. SNS의 정치참여 가능성에 대한 유권자 인식

18장 소셜 미디어와 규제인식 348
1. SNS 규제에 대한 논의
2. SNS 규제에 대한 유권자 인식
3. 선거관련 SNS 규제의 바람직한 방향

4부 SNS 선거 캠페인의 한계와 바람직한 발전방향 377

[참고문헌] 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