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자들뿐만 아니라 많은 시민들에게도 지난 2012년 말의 대통령선거는 오래도록 기억될 만한 변곡점이었다. 어떤 이들에게는 오래도록 소망하던 경제민주화와 복지정책 이슈가 마침내 정책경쟁의 중심을 차지하게 된 역사적 계기일 것이다. 또한 어떤 이들에게는 기성 정당정치의 문제들에 대한 도전이 미완성으로 끝나고만 사건이었을 수도 있다.
이 책에서 “분석적으로 풀어 설명하기(analytic narration)”라는 방식을 통해서 지난 대선을 돌아보려는 동기는 이러하다. 무엇보다 우리 정치학자들은 그동안 시도해 온 엄밀한 실증적 방법과 개념에 입각한 과학적 선거분석을 통해서 정밀함과 과학성을 얻는 대신에 독자와의 소통가능성은 취약해졌다. 18대 대선은 온 시민들의 관심사였지만, 시민들이 편하게 읽을 만한 전문적 분석은 흔치 않다. 이 조그만 책이 시민 독자들과 학문 공동체의 벌어진 간격을 조금이나마 좁힐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Contents
서문 (장훈)
제1부 선거구조와 쟁점
제1장 한국선거의 핵심 쟁점과 사건: 이념, 탄핵, 안보이슈 (전용주)
Ⅰ. 서론
Ⅱ. 쟁점의 성격과 정당, 그리고 선거
Ⅲ. 2002년 제16대 대통령선거와 쟁점
Ⅳ.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선거와 쟁점
Ⅴ. 나오는 말
제2장 선거의제(agenda)의 진화를 통해 본 한국 선거정치: 제17대 대선부터 제18대 대선까지 (장승진)
Ⅰ. 서론
Ⅱ. 2007년 제17대 대통령선거
Ⅲ. 2008년 제18대 총선
Ⅳ. 2012년 제19대 총선
Ⅴ. 나가면서
제2부 선거제도와 행위자
제3장 민주화 이후 선거환경의 변화와 선거행위자들의 대응: 선거법의 변화와 그 영향을 중심으로 (유성진)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논의: 선거환경의 변화 그리고 정치제도와 행위자
Ⅲ. 민주화 이후 선거환경의 변화 1: 1987~1997
Ⅳ. 민주화 이후 선거환경의 변화 2: 2000년 선거법 개정과 2004년 정치관계법 개정 그리고 그 이후
Ⅴ. 나오며: 선거에서의 ‘자유’와 ‘공정’의 조화를 위해
제4장 여론조사: 한국정치의 보약인가? 독약인가? (우정엽)
Ⅰ. 서론
Ⅱ. 한국의 선거와 여론조사 활용
Ⅲ. 여론조사와 후보 결정
Ⅳ. 여론조사의 문제점
Ⅴ. 여론조사에 대한 법적 규제 및 선거행위자들의 대응
Ⅵ. 결론
제5장 SNS 선거운동의 허와 실 (윤종빈)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관련 공직선거법 내용
Ⅲ. 경험적 사례 분석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