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교육 주체의 소통과 참여로 실현하는 학교자치,
패러다임 전환이 만들어낼 미래 학교의 모습을 만난다!
‘분권’과 ‘자치’는 이제 시대적 가치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결정과 집행 과정에 주민이 직접 참여하여 스스로 자신의 삶을 바꾸면서, 주민 주권을 실현하는 다양한 국정 전략이 제시되고 있다. 교육 부문에서도 교육자치와 학교자치가 뜨거운 감자인데, 학교와 공교육은 가장 공익적이고 민주적인 삶의 공간이기 때문이다. 시?도 교육청의 기본 계획과 부서 조직은 물론, 각종 토론회나 포럼 등에서 학교자치와 관련한 활발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또한 미래교육의 효과적 실현을 위한 실행 방안으로 학교자치가 주목받고 있다. 미래사회 생태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 교육, 역량 교육으로 변화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교육 계획과 운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학교자치는 국가 주도의 획일적 교육정책과 교육과정이 아닌 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조건, 교사들이 가진 역량, 학교가 놓인 지역적 특성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교육활동을 펼치기 위한 전제 조건이며, 거스를 수 없는 거대한 흐름이 되고 있다.
이 책은 교육 분권과 자치 시대에 교육자치와 학교자치로 나아가는 흐름과 배경, 학교자치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한 정책과 제도, 교육 주체가 갖추어야 할 자치 역량, 교육행정기관의 역할에 대해서 함께 이야기한다. 단순한 권한 이양을 넘어서, 이상으로서의 자치와 현실로서의 자치를 짚어 주면서 성찰과 반성의 지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
Contents
프롤로그_ 학교자치는 성찰과 회복, 실천의 과정이다
1부 왜 지금, 학교자치인가?
교육자치와 지방자치 그리고 학교자치
모든 이를 위한, 모든 학생을 위한 학교자치
학교자치 시대의 학교 체제에 대한 전망
2부 학교자치를 위한 제도, 무엇이 문제인가?
학교자치를 향한 교육지원청의 제도적 개혁 필요성과 대안
교사 교육과정 등장과 교육과정 자치력 탄생
교원 지방직화의 도입 필요성, 쟁점과 과제
고교학점제로 실현하는 학교자치
3부 학교의 주인은 누구인가?
학생 시민이 만들어 가는 학교자치
학부모와 학교자치
에필로그_ 저자와의 일문일답
부록_ 전라북도 학교자치 조례
전라북도 학교자치 조례 시행규칙
광주광역시 학교자치에 관한 조례
Author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한국교원대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조교수(교육혁신 전공)로 근무하고 있다.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장으로 활동하면서 현장 선생님들과 활발하게 교류하며 연구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정책기획관 장학사와 교육부 장관 정책보좌관 교육연구사,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위원, 시도교육감협의회 정책위원을 역임했다. 깨끗한미디어를위한교사운동 대표, 좋은교사운동 정책위원장과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 부소장으로도 활동한 바 있다. 교육과 연구와 운동이 통합된 삶을 지향한다.
한국교원대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조교수(교육혁신 전공)로 근무하고 있다.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장으로 활동하면서 현장 선생님들과 활발하게 교류하며 연구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정책기획관 장학사와 교육부 장관 정책보좌관 교육연구사,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위원, 시도교육감협의회 정책위원을 역임했다. 깨끗한미디어를위한교사운동 대표, 좋은교사운동 정책위원장과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 부소장으로도 활동한 바 있다. 교육과 연구와 운동이 통합된 삶을 지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