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이 사는 모습 2

$9.20
SKU
978898571403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1995/04/01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85714037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Contents
제5장 청장년기
1. 대학생활
1) 입학절차와 응시자격 26
2) 신입생 입학 모임과 학부·학과 배정 34
3) 기숙사생활과 학생수칙 36
4) 대학 내 정치조직과 과외활동 39
5) 의무노동과 장학제도 41
6) 군사훈련과 졸업자격 44
7) 졸업과 직장배치 50
2. 해외 유학생활
1) 대학생의 해외 유학과 그 추이 54
2) 유학생의 선발과 출국 절차 57
3) 해외 유학생의 현지생활 59
3. 직장생활
1) 인력관리 기구와 직장 배치 체계 62
가. 고등중학교 졸업자의 경우 62
나. 전문학교 졸업자의 경우 63
다. 대학교 졸업자의 경우 63
라. 제대군인의 경우 66
2) 농장과 기업소의 관리체계 67
가. 농업부문 68
나. 공장·기업소 69
3) 북한의 노동정책과 노동규율 71
4) 북한의 인민경제계획과 그 성과 72
5) 직장 내 정치조직과 그 역할 75
가. 조선직업총동맹 76
나. 조선민주여성동맹 77
다. 농업근로자동맹 79
6) 정치조직과 사회주의 경쟁운동 81
7) 직장 내 민병조직과 그 특성 83
가. 붉은청년근위대 84
나. 교도대 84
다. 노동적위대 85
라. 인민경비대 87
8) 직장인의 일과와 인민반생활 88
가. 직장인의 일상생활 89
나. 인민반 활동의 실상 95
9) 직장인들의 임금과 소득 101
가. 동일직급 급수별 임금 101
나. 각 직종별 평균 임금 102
다. 농장원의 수입과 공과금 102
4. 외교관과 공관원들의 외국생활
1) 북한 수교국과 재외 공관 현황 107
2) 외교부의 편제와 주요기구 108
3) 외교관의 양성과 해외 파견 절차 108
4) 집체적 조직생활과 감시망 110
5) 당·정 기관의 공관원 파견 현황 111
6) 안전원과 보위원의 동향보고 113
7) 외교관과 공관원들의 주요업무 114
8) 외교관의 대우와 사기 115
5. 북한 외항선원들의 선상생활
1) 대외항로와 외항선박 현황 120
2) 선원양성과 선상 내 정치조직 123
3) 외항선원들의 일과와 과외사업 125
4) 외항선원들의 대우와 문화비 129
6. 임업노동자의 시베리아 파견생활
1) 북·소 임업협정내용과 그 추이 133
가. 파견 인력 규모와 원목 공동생산 목표 133
2) 벌목공의 선발과 출국 절차 139
가.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시베리아 벌목장 139
나. 선발절차와 구비서류 144
다. 김만철 씨의 증언과 두만강초대소 147
라. 장기홍 씨의 증언과 북-러 국경지대 148
3) 재고 임업대표부의 구성과 사업소 현황 151
가. 노동안전교양과 작업장 배치 151
나. 임업대표부의 구성과 사업소 현황 152
4) 재소 임업노동자의 노동환경과 대우 154
가. 숙소와 생활환경 154
나. 벌목장의 작업환경과 재해현황 158
다. 외화벌이 사업과 충성의 선물 159
라. 탈출자의 체포와 깁스대열 162
마. 벌목공의 대우와 월수입 163
5) 북한 개방화와 시베리아 벌목공의 역할 167
가. 인간의 본능과 벌목공들의 체험 167
나. 변화하는 북한 주민들의 국제화 인식 169
제6장 장년기
1. 가정생활
1) 이성과의 만남과 교제 172
2) 미인의 조건과 남성의 여성관 173
3) 결혼식·예물·피로연 181
4) 신방·신접살림·신혼생활 191
5) 출산·가족계획·입양 195
6) 혼전 혼외 출산·양육·이혼·재혼 198
가. 혼전 혼외 출산 198
나. 사생아의 양육 199
다. 이혼 199
라. 재혼 202
2. 의식주 생활
1) 의생활 203
가. 주민복장규정과 가림복의 변천과정 203
나. 섬유생산 실적과 수준 207
다. 의류공업체계와 배정량 209
2) 식생활 211
가. 계층별 식량배급 주기와 기준 211
나. 식량배급절차와 양권 217
다. 1일 배급량과 잡곡 혼합비율 221
라. 부식배급절차와 배급량 222
마. 먹거리의 개발과 대체식품 224
바. 술·담배의 구입과 공급체계 226
사. 북한의 식량난을 어떻게 볼 것인가? 234
a. 연도별 곡물생산량과 도입량 236
b. 연도별 곡물 절대부족량 237
c. 식량난의 원인과 해결방안 239
d. 북의 식량난이 남에 미칠 영향 242
e. 민족통합을 위한 인도적 조치와 소고 243
3) 주생활 250
가. 주택건설 현황과 가구 증가수 250
나. 계층별 주택 공급기준과 배정절차 251
다. 주택의 외부형식과 내부구조 256
라. 가정집기와 취사용 연료 261
3. 가정경제와 소비생활
1) 경제체제와 소득기반 264
가. 경제체제의 두 유형 265
나. 사회주의 계획경제체제의 구축과 영향 266
다. 경제관리체계의 원칙 268
라. 국가적 소유와 개인적 소유의 영역 269
2) 국민소득과 개인소득 270
가. 북한이 발표한 1인당 국민소득 270
나. 통일원이 발표한 1인당 국민소득 272
다. 외국 전문기관이 발표한 북한의 GNP 272
3) 가정경제화 생활구조 273
가. 가정의 수입원과 소득의 규모 273
나. 계층별 기본 생활비와 지출현황 278
다. 노동자·사무원들의 임금과 소득규모 288
a. 임금적용에 관한 규정과 직종별 수준 280
b. 사회주의 분배관리와 노동보수계획 282
c. 임금노동자의 일상생활과 만족도 286
라. 농장원들의 결산분배방식과 소득 규모 288
마. 가격관리체계와 물가 292
4) 생필품의 유통체계와 공급망 295
가. 도매소와 국영상점 295
나. 8·3 인민소비품과 직매점 298
5) 장마당과 소비생활 303
가. 장마당의 설립목적과 역할 303
나. 장마당의 새로운 개념과 시장기능 305
다. 민족통합을 위한 장마당에 대한 소고 312
6) 북의 화폐와 환율 312
가. 일반화폐와 특수화폐 313
나. 화폐개혁의 추이와 내용 317
다. 북한 원화의 환율과 환전소 319
제7장 노년기
1. 인생의 황혼과 인간생활의 마감
1) 회갑·명절·제례 322
가. 회갑 322
나. 명절 323
다. 제례 325
2) 사회보장제도와 노후생활 328
3) 사회통합제도와 노년의 회의 331
2. 상업관리소의 마지막 특배
1) 사망진단서와 장례보조금 333
2) 주검·장례·무덤 334
3) 자살자와 정치범의 무덤 336
4) 사망신고절차와 공민증·당증 반납 338
5) 우리식 사회주의와 마지막 송가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