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견지 을지 2

$34.56
SKU
978898411824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7/10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84118249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이견지』는 송대 명문 사대부 집안에서 태어나 고위관료를 지낸 홍매가 도성을 비롯해 여러 지역에 재직하며 보고 들은 민간의 이야기를 수집하여 기록한 것이다. 이야기의 내용은 매우 다양한데 정치와 행정, 전쟁과 군사, 법률과 사법, 상업과 교통, 문학과 교육, 과거응시와 당락, 음식과 술, 혼인과 애정, 질병과 의약, 죽음과 저승, 점복占卜과 민간신앙 및 불교와 도교 등 당시 사람들의 삶을 총체적으로 보여 주는 여러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견지』는 기전체 및 편년체 사료나 사대부 문집 등의 여타 송대 사료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당시 사람들의 일상과 감정 그리고 사유 세계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성과 사랑, 욕망과 질투, 원망과 한, 기복적 사유와 사후세계에 대한 상상 등 송대 사람들의 생생한 삶의 모습이 이야기의 형태로 가감 없이 반영되어 있기에 그 사료적 가치는 매우 크다.
Contents
해 제 5

범 례 11

권11
01 옥화시랑玉華侍郞 23
02 영평감의 누각永平樓 31
03 당신도 집의 뱀唐氏蛇 32
04 공고의 사는 방법鞏固治生 33
05 유연경이 치른 장례劉氏葬 35
06 미곡상 장씨네米張家 38
07 용금문의 흰쥐湧金門白鼠 42
08 수염이 난 비구니 김씨金尼生鬚 45
09 양산의 용陽山龍 48
10 우선루遇仙樓 50
11 흰 원숭이白?? 55
12 천의산天衣山 57

권12
01 진주의 괴승眞州異僧 61
02 장혜중이 호랑이에게 한 부탁章惠仲告虎 67
03 대산관의 노인大散關老人 70
04 조경부의 토기 인형肇慶土偶 73
05 한신의 머리韓信首級 75
06 강남동로 전운사 부속 관사江東漕屬舍 76
07 왕향의 나쁜 점괘王?惡讖 78
08 진창시秦昌時 81
09 성도부의 면도사成都?工 85
10 무이산의 도인武夷道人 89
11 용천현 장씨네 아들龍泉張氏子 95

권13
01 유총劉子文 99
02 구화산의 천신九華天仙 102
03 부처에게 눈을 태워 공양한 승려 법혜法慧燃目 110
04 조개 안의 관음상蚌中觀音 113
05 우이군의 도인??道人 115
06 소뿔에 치받힌 기녀牛觸倡 117
07 엄주의 거지嚴州乞兒 119
08 소고기 먹는 것을 경계하는 시食牛詩 121
09 바닷가 섬의 큰 대나무海島大竹 123
10 숭산의 세 가지 기이한 일嵩山三異 126
11 황벽사의 용黃蘖龍 129
12 경로의 시慶老詩 131
13 장산의 뱀蔣山蛇 134

권14
01 죽순의 독筍毒 139
02 도롱이를 입고 다니는 유씨劉蓑衣 142
03 절동제점형옥사 관사에 내리친 천둥浙東憲司雷 145
04 상주 해시의 장원常州解元 147
05 시주보다 나은 이재민 구제振濟勝佛事 148
06 왕준명王俊明 150
07 남선사의 종을 지키는 신南禪鍾神 153
08 홍수중洪粹中 156
09 어피판 마을의 나병 귀신魚陂?鬼 159
10 전사의 예적금강법술全師穢跡 161
11 결죽촌의 도깨비結竹村鬼 164
12 신감현 역사에 쓰인 사新?驛中詞 166
13 청헌 조정지趙?憲 168
14 대명부 창고의 귀신大名倉鬼 171
15 군대장 형씨邢大將 172

권15
01 염색공 동씨董染工 177
02 임천의 무당臨川巫 179
03 상유현의 도인上猶道人 182
04 만능 염색 가게諸般染鋪 185
05 조선광趙善廣 187
06 선주에서 꿈에 나온 원혼宣城寃夢 189
07 첩 마씨의 원통함馬妾寃 192
08 물난리水? 195
09 도성의 주점京師酒肆 197
10 진관 계씨桂眞官 200
11 대고산의 용大孤山龍 202
12 황보자목皇甫自牧 205
13 정사회程師回 207
14 서시의 건망증徐?病忘 210

권16
01 노파 유씨의 딸劉姑女 215
02 운계의 왕씨 부인雲溪王氏婦 217
03 바다 가운데의 붉은 깃발海中紅旗 219
04 삼산진의 미려三山尾閭 222
05 동영의 ??상걸집??董穎霜傑集 223
06 공봉관 유씨의 개劉供奉犬 227
07 추평역의 귀신鄒平驛鬼 229
08 금향현에 분 큰 바람金?大風 232
09 한세충 저택의 귀신韓府鬼 233
10 귀신이 맷돌 속으로 들어가다鬼入磨齊 236
11 장무간張撫幹 238
12 조영족趙令族 241
13 하촌 관련 사건何村公案 244
14 요씨의 첩姚氏妾 247

권17
01 적집이 아들을 얻다翟楫得子 251
02 장팔숙張八叔 253
03 왕흔의 환생王?託生 255
04 합조산의 큰 귀신閤?大鬼 257
05 선주의 맹랑중宣州孟?中 259
06 사람을 따르는 비둘기馴鳩 264
07 구탁을 유혹한 여자 귀신女鬼惑仇鐸 266
08 장성헌張成憲 272
09 불빛으로 변한 귀신鬼化火光 275
10 창랑정滄浪亭 277
11 주선 임씨林酒仙 280
12 증산의 나한蒸山羅漢 282
13 심십구沈十九 284
14 십팔파十八婆 286
15 전서의 환생錢瑞反魂 288

권18
01 도인 장담張淡道人 293
02 태학의 은太學白金 297
03 천녕사의 행자天寧行者 299
04 조불타趙不他 301
05 여소하呂少霞 304
06 공도의 전생?濤前身 306
07 초화사의 귀신超化寺鬼 308
08 가릉강변의 절嘉陵江邊寺 310
09 조소가趙小哥 313
10 휴녕현의 사냥꾼 가족休寧獵戶 318
11 위기와 진자모의 서로 다른 꿈魏陳二夢 321
12 도인 장씨의 시張山人詩 324
13 청동신군?童神君 326

권19
01 가성지賈成之 333
02 마식원馬識遠 338
03 광록시光祿寺 343
04 꽃의 정령 진노秦奴花精 345
05 양전이 겪은 두 가지 기이한 일楊?二怪 347
06 오조수吳祖壽 350
07 여산의 승려 귀신廬山僧鬼 353
08 이상공묘二相公廟 355
09 망선암望仙巖 358
10 마망아 모자馬望兒母子 361
11 심전이 본 명계의 옥리沈傳見冥吏 364
12 뱀독을 치료하는 약療蛇毒藥 366
13 귀신을 놓아준 한씨韓氏放鬼 369

권20
01 은기술자 동씨童銀匠 373
02 천보석이 움직이다天寶石移 375
03 대리시승 조고祖寺丞 378
04 꿈에서 얻은 토끼 두 마리夢得二? 382
05 용세청의 꿈龍世?夢 384
06 명계의 옥졸이 된 서삼徐三爲冥卒 387
07 신소궁의 상인神?宮商人 391
08 성황신의 문객城隍門客 395
09 노주 관사의 귀신潞府鬼 398
10 왕조덕王祖德 404
11 촉주의 여자蜀州女子 408
12 금기 음식?食忌 411

색 인 415
Author
홍매,유원준,최해별
(洪邁, 1123~1202)남송, 요주, 파양의 사대부 가문에서 태어났다. 자는 경려(景廬), 호는 용재(容齋)이다. 송(宋) 고종 15년(1145년), 박학굉사과(博學宏詞科) 진사(進士)에 급제한 이래 벼슬이 중서사인(中書舍人), 직학사원(直學士院), 동수국사(同修國史), 한림학사(翰林學士), 단 명전학사(端明殿學士)를 거쳐 재상에 이르렀다. 고종 ? 효종 ? 광종 ? 영종 등 4대에 걸쳐 봉사했으며, 달관의 경지에 이른 학식을 바탕으로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문집으로는 《야처유고野處類稿》 《지괴필기志怪筆記》가 있고 소설집으로 《이견지夷堅志》가 있으며 편찬집으로 《만수당인절구萬首唐人絶句》, 필기집으로 《용재수필容齋隋筆》 등이 있다.
(洪邁, 1123~1202)남송, 요주, 파양의 사대부 가문에서 태어났다. 자는 경려(景廬), 호는 용재(容齋)이다. 송(宋) 고종 15년(1145년), 박학굉사과(博學宏詞科) 진사(進士)에 급제한 이래 벼슬이 중서사인(中書舍人), 직학사원(直學士院), 동수국사(同修國史), 한림학사(翰林學士), 단 명전학사(端明殿學士)를 거쳐 재상에 이르렀다. 고종 ? 효종 ? 광종 ? 영종 등 4대에 걸쳐 봉사했으며, 달관의 경지에 이른 학식을 바탕으로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문집으로는 《야처유고野處類稿》 《지괴필기志怪筆記》가 있고 소설집으로 《이견지夷堅志》가 있으며 편찬집으로 《만수당인절구萬首唐人絶句》, 필기집으로 《용재수필容齋隋筆》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