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연명집 2

陶淵明集
$14.95
SKU
978894970646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12/12 - Wed 12/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Wed 12/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0/12/12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49706467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도연명집』2권이다. 천지를 버리고 꿈속 세계를 거니는 듯한 전원시로 널리 알려진 시인 도연명의 시가 담겨 있다. 지금도 도시 생활에 지치고 경쟁의 고달픔을 참지 못하는 이들은 쉽게 ‘귀거래’를 들먹거리지만 용기를 내어 모든 것을 떨치고 떠나는 이는 그리 많지도 않고 또 현실적으로도 그렇게 하기는 쉽지가 않다. 그러나 우리는 그의 작품 속에서나마 대리 귀거래하는 것도 도시인으로서 또다른 낙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 역주자 서문
○ 일러두기
○ 해제


099 도연명집1/2

卷一 시사언詩四言

001. '停雲'(幷序) 멈추어 선 구름
002. '時運'(幷序) 사시의 운행
003. '榮木'(幷序) 무궁화
004. '贈長沙公'(幷序) 장사공에게 드림
005. '酬丁柴桑' 정시상에게 화답함
006. '答龐參軍'(幷序) 방참군에게 답함
007. '勸農' 농사를 권함
008. '命子' 아들에게 명함
009. '歸鳥' 돌아오는 새

卷二 시오언詩五言

010. '形影神'(幷序) 육신과 그림자, 그리고 정신
010-1 '形贈影' 육신이 그림자에게
010-2 '影答形' 그림자가 육신에게 답함
010-3 '神釋' 정신의 해석
011. '九日閑居'(幷序) 9월 9일의 한가로운 삶
012. '歸園田居'(五首) 전원으로 돌아와 살며
013. '遊斜川'(幷序) 사천에서 노닐다
014. '示周續之祖企謝景夷三郞' 주속지, 조기, 사경이 세 사람에게 보여줌
015. '乞食' 구걸
016. '諸人共遊周家墓柏下' 여럿이 주씨 집 묘지 잣나무 아래서 노닐며
017. '怨詩楚調示龐主簿鄧治中' 원시 초조를 방주부와 등치중에게 보여 주며
018. '答龐參軍'(幷序) 방참군에게 답함
019. '五月旦作和戴主簿' 오월 초하루 글을 써서 대주부에게 화답함
020. '連雨獨飮' 연이은 비에 홀로 술 마시며
021. '移居'(二首) 이사
022. '和劉柴桑' 유시상에게 화답함
023. '酬劉柴桑' 유시상에게 수답함
024. '和郭主簿'(二首) 곽주부에게 화답함
025. '於王撫軍座送客' 왕무군의 연회에서 손님을 보냄
026. '與殷晉安別'(幷序) 은진안과 작별하며
027. '贈羊長史'(幷序) 양장사에게 드림
028. '歲暮和張常侍' 세모에 장상시에게 화답함
029. '和胡西曹示顧賊曹' 호서조에게 화답하는 시를 고적조에게 보여줌
030. '悲從弟仲德' 종제 중덕의 죽음을 슬퍼함

卷三 시오언詩五言

031. '庚子歲五月中從都還阻風於規林'(二首) 경자년 오월 서울에서 돌아오는 길 규림에서 바람이 불어 길이 막히다
032. '始作鎭軍參軍經曲阿作' 처음으로 진군장군의 참군이 되어 곡아를 지나며 지음
033. '辛丑歲七月赴假還江陵夜行塗口' 신축년 7월 휴가를 얻어 강릉으로 돌아오던 길에 도구를 지나면서
034. '癸卯歲始春懷古田舍'(二首) 계묘년 봄이 시작되어 전원 집에서 옛일을 회상하며
035. '癸卯歲十二月中作與從弟敬遠' 계묘년 12월에 시를 지어 종제 경원에게 주다
036. '乙巳歲三月爲建威參軍使都經錢溪' 을사년 3월 건위장군의 참군이 되어 서울로 사신 가는 길에 전계를 지나다
037. '還舊居' 옛 집을 둘러보며
038. '戊申歲六月中遇火' 무신년 6월 화재를 만나다
039. '己酉歲九月九日' 기유년 9월 9일
040. '庚戌歲九月證於西田穫早稻' 경술 9월 서쪽 밭에서 올벼를 수확함
041. '丙辰歲八月中於下田舍穫' 병진년 8월 무논의 농막에서 추수를 하며
042. '飮酒'(二十首, 幷序) 음주
043. '止酒' 술 마시기를 그치다
044. '述酒' 술이란 이런 것
045. '責子' 이 못난 아들들아
046. '有會而作'(幷序) 느낌이 있어 지어 보노라
047. '日' 섣달 사제(祭) 지내는 날

卷四 시오언詩五言

048. '擬古'(九首) 고시를 본떠서
049. '雜詩'(十二首)
050. '詠貧士'(七首) 가난한 선비를 노래함
051. '詠二疎' 소씨 두 분을 노래함
052. '詠三良' 세 어진 분을 노래함
053. '詠荊軻' 형가를 노래함
054. '讀山海經'(十三首) 산해경을 읽으며
055. '挽歌詩'(三首) 만가시
056. 聯句 서로 이어 구절을 짓다

卷五 부賦사辭

057. '感士不遇賦'(幷序) 선비의 불우함에 대한 느낌을 부로 지음
058. '閑情賦'(幷序) 정감의 한계를 부로 지음
059. '歸去來辭'(幷序) 귀거래사


100 도연명집2/2

卷六 기記전傳술述찬贊

060. '桃花源記'(幷詩) 도화원기
061. '晉故征西大將軍長史孟府君傳'(幷贊) 진나라 정서대장군 환온의 장사 벼슬을 지낸 외조부 맹부군의 전기
062. '五柳先生傳'(幷贊) 오류선생전
063. '讀史述九章' 사기를 읽으며 9편의 글을 짓다
063-1. 夷齊 백이와 숙제
063-2. 箕子 기자
063-3. 管鮑 관중과 포숙
063-4. 程杵 정영과 공손저구
063-5. 七十二弟子 공자의 72제자
063-6. 屈賈 굴원과 가의
063-7. 韓非 한비
063-8. 魯二儒 노나라의 두 선비
063-9. 張長公 장장공
064. '扇上贊' 부채에 그려진 인물들에 대한 찬
065. '尙長禽慶贊' 상장과 금경을 찬함

卷七 소疏제문祭文

066. '與子儼等疏' 아들 엄 등에게 주는 글
067. '祭程氏妹文' 정씨 집안에 시집간 누이동생의 제문
068. '祭從弟敬遠文' 종제 경원의 제문
069. '自祭文' 내 죽은 다음의 나에 대한 제문

卷八 오효전五孝傳

070. '天子孝傳贊' 천자로서 효를 다한 분들에 대퇇 전기와 찬
070-1 우순(虞舜)
070-2 하우(夏禹)
070-3 은고종(殷高宗)
070-4 주문왕(周文王)
070-5 찬(贊)
071. '諸侯孝傳贊' 제후로서 효를 다한 분들에 대한 전기와 찬
071-1 주공단(周公旦)
071-2 노효공(魯孝公)
071-3 하간혜왕(河間惠王)
071-4 찬(贊)
072. '卿大夫孝傳贊' 경대부로서 효를 다한 분들에 대한 전기와 찬
072-1 공자(孔子)
072-2 맹장자(孟莊子)
072-3 영고숙(潁考叔)
072-4 찬(贊)
073. '士孝傳贊' 사로서 효를 다한 분들에 대한 전기와 찬
073-1 고시(高柴)
073-2 악정자춘(樂正子春)
073-3 공분(孔奮)
073-4 황향(黃香)
073-5 찬(贊)
074. '庶人孝傳贊' 서인으로서 효를 다한 분들에 대한 전기와 찬
074-1 강혁(江革)
074-2 염범(廉範)
074-3 여욱(汝郁)
074-4 은도(殷陶)
074-5 찬(贊)

卷九

075. '集聖賢輔錄'(上) 一名≪四八目≫
075-1 수인사좌(燧人四佐)
075-2 복희육좌(伏羲六佐)
075-3 황제칠보(黃帝七輔)
075-4 소호사숙(少昊四叔)
075-5 희화사자(羲和四子)
075-6 팔백(八伯)
075-7 사흉(四凶)
075-8 고양씨(高陽氏)의 팔개(八凱)
075-9 고신씨재자팔인(高辛氏才子八人)
075-10 구관(九官)
075-11 순칠우(舜七友)
075-12 순오신(舜五臣)
075-13 팔사(八師)
075-14 삼후(三后)
075-15 은삼인(殷三仁)
075-16 이로(二老)
075-17 문왕사우(文王四友)
075-18 주팔사(周八師)
075-19 태사십자(太十子)
075-20 주십란(周十亂)
075-21 오왕(五王)
075-22 진문공종망오인(晉文公從亡五人)
075-23 삼량(三良)
075-24 정칠목(鄭七穆)
075-25 삼환(三桓)
075-26 진경육족(晉卿六族)
075-27 작자칠인(作者七人)
075-28 공문사과(孔門四科)
075-29 공자사우(孔子四友)
075-30 공자육시(孔子六侍)
075-31 제위왕사신(齊威王四臣)
075-32 전국사호(戰國四豪)
075-33 고조삼걸(高祖三傑)
075-34 상산사호(商山四皓)
075-35 이소(二疏)
075-36 오룡(五龍)
075-37 이공(二)
075-38 이당(二唐)
075-39 오후(五侯)
075-40 사자(四子)
075-41 이중(二仲)
075-42 하북이십팔장(河北二十八將)
075-43 하서오수(河西五守)
075-44 삼달(三達)
075-45 팔사(八使)
075-46 위씨삼군(韋氏三君)
075-47 양씨사공(楊氏四公)
075-48 원씨사세오공(袁氏四世五公)
075-49 오처사(五處士)
075-50 여남육효렴(汝南六孝廉)
075-51 삼군(三君)
075-52 팔준(八俊)
075-53 팔고(八顧)
075-54 팔급(八及)
075-55 팔주(八廚)
075-56 진씨삼군(陳氏三君)

卷十

076. '集聖賢輔錄'(下) 一名≪四八目≫
076-1 이십사현(二十四賢)
076-2 양주삼명(凉州三明)
076-3 위삼의(韋三義)
076-4 순씨팔룡(荀氏八龍)
076-5 공사오룡(公沙五龍)
076-6 제북오룡(濟北五龍)
076-7 경조삼휴(京兆三休)
076-8 위문제사우(魏文帝四友)
076-9 죽림칠현(竹林七賢)
076-10 오팔절(吳八絶)
076-11 진중조팔달(晉中朝八達)
076-12 하동팔배(河東八裴)낭야팔왕(琅邪八王)
076-13 태원왕(太原王)경조두(京兆杜)
076-14 실명자(失名者)
077. 八儒三墨 팔유삼묵
077-1 팔유(八儒)
077-2 삼묵(三墨)

○ 附記
1. '種苗在東'
2. '問來使'
3. '四時'

○ 부록Ⅰ
도연명 관련 서발 전기 등
1. '陶淵明傳彙訂' ………… 陶淵明集校箋
2. '陶淵明集序' ………… 南朝 梁, 蕭統
3. '陶淵明傳' …………… 南朝 梁, 蕭統
4. '陶徵士' …………… 南朝 宋, 顔延之
5. '蓮士高賢傳' ………… 佚名
6. ≪宋書≫ 隱逸傳 陶潛 ………… 南朝 梁, 沈約
7. ≪南史≫ 隱逸傳 陶潛 ………… 唐, 李延壽
8. ≪晉書≫ 隱逸傳 陶潛 ………… 唐, 房玄齡
9. ≪詩品≫ 陶淵明 ……………… 南朝 梁, 鍾嶸
10. ≪陶淵明集校箋≫(楊勇) 饒序…………饒宗
11. ≪陶淵明集校箋≫(楊勇) 柳序…………柳存仁
12. ≪陶淵明集校箋≫(楊勇) 車序…………車柱環
13. ≪陶淵明集校箋≫(楊勇) 自序…………楊勇

○ 부록Ⅱ
陶潛 ≪搜神後記≫
Author
도연명,임동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