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위 윤보선은 우리나라 제4대 대통령이자 정치가로서, 한국 현대사의 주요 시기마다 일정한 역할을 담당했던 인물이다. 그가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던 1950년대는 대한민국이 한국전쟁을 치르고 민주화와 산업화를 막 시작하려던 때이다. 윤보선은 8·15광복 이후 한국민주당에서 정치 활동을 시작했으나, 이승만 정부의 독재 정치가 노골화되자 1954년 총선에 야당인 민주당 후보로 나섰다. 그는 제3대 국회의원을 시작으로 1960년 4·19혁명이 일어나기 전까지 제4대, 제5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4·19혁명으로 이승만의 자유당 정권이 붕괴하자, 그는 내각책임제 정부의 제4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1961년 5·16군사쿠데타 발발로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기 전까지 짧은 시간 동안 민주화와 산업화를 위해 애썼지만, 그 역할과 효과는 크지 않았다.
이 책은 윤보선과 관련한 한국 자유주의 경제 담론, 1954년 개헌 투표, 1956년 정·부통령 선거, 주요 정당들의 선거 홍보 전략, 부통령 후보들의 선거운동 과정, 제3대 대통령 후보들의 리더십 비교, 조봉암과 진보당, 반공외교의 형성 과정 등을 중심으로 1950년대 한국정치 현상을 검토하였다. 뿐만 아니라 당시 시대적 상황의 연장선에서 발생했던 1960년 4·19혁명의 정치사적 의의를 새롭게 조명하였다. 이 책은 한국의 민주화와 산업화가 본격화한 1960년대 윤보선의 활동과 정치역사적 의미를 조명한『윤보선과 1960년대 한국정치』(2015)와 연장선에서 발간된 것이다. 1950~1960년대 격동의 한국사를 장식했던 윤보선과 한국 정치를 조망한 두 책을 통해 한 정치인의 공과는 물론 당시의 한국정치 문제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Contents
1950년대 한국 자유주의 경제 담론과 윤보선-민주당 신·구파 계열의 비교를 중심으로 _ 윤상현
1. 머리말
2. 통제경제 속의 자유경제론
3. 자유경제 속의 계획성-중앙경제위원회와 계획기구
4. 현실인식과 산업구조의 재편
5. 맺음말
1954년 개헌과 1956년 정·부통령 선거 이후의 개헌 논쟁 _ 서희경
1. 머리말
2. 1954년 개헌의 특징
3. 1956년 이후 개헌 논쟁-제도의 역설과 내각제로의 역류
4. 맺음말
1956년 정·부통령 선거에서 주요 정당과 후보의 선거 전략 및 정치 광고 _ 남인용
1. 머리말
2. 선거 상황 개요
3. 각 정당의 선거 공약과 선거 전략
4. 각 정당의 정치 광고
5. 맺음말
1956년 제4대 부통령 선거 과정 분석-장면과 이기붕을 중심으로 _ 허동현
1. 머리말
2. 5·15선거 이전 장면과 이기붕의 경력
3. 제4대 부통령 선거 과정에 보이는 승인과 패인
4. 맺음말
제3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살펴본 이승만, 신익희, 조봉암의 리더십 평가 _ 이택선
1. 머리말
2. 기존 연구의 검토 및 연구 방법
3. 이론적 틀
4. 이승만, 신익희, 조봉암의 리더십
5. 맺음말
1956년 대통령 선거에서 조봉암의 약진 요인 분석 _ 강우진
1. 머리말
2. 집합자료로 살펴본 1956년 정부통령 선거 결과-시도별
3. 조봉암 과반 득표 지역에 대한 분석-시군구 단위
4. 맺음말
대한민국 외교조직의 창설과 윤보선의 활동 _ 양준석
1. 머리말
2. 정치외교지도자들의 인식
3. 대한민국 수립 직후 외교조직의 탄생
4. 윤보선의 대외활동
5. 맺음말
제2공화국 민주당 정권의 성립과 붕괴-한미관계, 국가시민사회관계, 그리고 민군관계를 중심으로 _ 정일준
1. 머리말-미국의 대한정책과 민주당 정권
2. 선행 연구 검토-제2공화국의 권력장
3. 민주당 정권과 한미관계-부인된 군개혁, 부과된 경제개혁
4. 민주당 정권과 국가-시민사회관계-질서와 경제제일주의
5. 민주당 정권의 붕괴 과정-미국무부와 국방부의 입장차
6. 민주당 정권 붕괴 요인-미국의 지지 약화, 시민사회의 탈동원, 민군관계의 역전
7. 맺음말-한미관계와 한국 민주주의
Author
윤상현,서희경,남인용,허동현,이택선,강우진,양준석,정일준
한국근현대 사상사 전공, 경남대학교 역사학과 조교수. 『4월혁명의 주체들』, 「동아시아의 국가주의-기원과 비교」 등의 논저가 있다.
한국근현대 사상사 전공, 경남대학교 역사학과 조교수. 『4월혁명의 주체들』, 「동아시아의 국가주의-기원과 비교」 등의 논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