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시대 산업지형 트랜드변화

비대면/바이오/스마트화/위험대응
$437.00
SKU
979115862145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13 - Thu 12/1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Thu 12/1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6/25
Pages/Weight/Size 210*297*35mm
ISBN 9791158621452
Categories 경제 경영 > 마케팅/세일즈
Description
2020년 다보스포럼은 세계를 위협하는 상위 1~5위 요인이 모두 기후변화와 관련된 이슈이며, 경제적 측면에서 기후변화는 2050년까지 전세계 GDP의 8분의 1 수준의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했다. 즉, 우리나라는 당면한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코로나19로 촉발된 경제?사회구조 변화에 제도개선, 경제생태계 구축 등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발표에 따르면 코로나19로 한국 사회가 큰 영향을 받을 환경변화 흐름은 4가지이다. ▶비대면·원격사회로의 전환, ▶바이오 시장의 확대, ▶자국중심주의 강화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산업 스마트화 가속, ▶위험대응 일상화 및 회복력 중시 사회로의 전환이다. 이미 나타나기 시작된 변화 흐름은 코로나 이후 지속강화하면서 관련 시장과 기술 수요를 만들어낼 전망이다.

향후, 의료 시스템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는 헬스케어 영역을 변화하게 할 것이며, 교육영역에서는 온라인 교육이 일상화되고 관련 시장의 콘텐츠 수요 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대중교통을 기피하고 개인 맞춤형/친환경 이동수단을 선호하는 변화가 교통영역에서 나타날 것이며, 빅데이터?IoT?블록체인을 바탕으로 하는 물류플랫폼의 혁신과 온라인 구매로 인한 배송서비스 수요중가는 물류영역을 더욱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제조영역에서는 ICT 기술을 접목하여 생산성 제고 노력을 확대할 것으로 보이며,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물리적 공간에서 이뤄지는 문화산업은 이미 큰 타격받고 있다. 감염병으로 인한 의료폐기물의 안전한 처리를 위한 운반로봇, 첨단과학기술을 융합한 환경기술 스마트화, 재택근무·화상회의 등을 통한 민간기업의 비대면 업무형태는 앞으로 일상화 될 것이며 이로 인한 정보보안 강화 수요는 더욱 높아지게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에 R&D정보센터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화·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현상에 대해 보다 선제적이고 종합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코로나19시대 산업지형 트랜드변화 -비대면/바이오/스마트화/위험대응』을 펴냈다. 이 책은 산업분야별로 분류 총 7장으로 구성되었으며, 보안·문화, 제조, 물류, 교통, 교육, 헬스케어산업 유망기술과 적용사례를 다루었다.
Contents
제 1장 포스트 코로나시대 주요이슈 및 주요기술 예측

1.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미래전망 및 유망기술
1)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미래예측
(1) 연구 배경
(2) 추진 방법 및 절차
2) 주요 환경변화
(1) 코로나 이후의 글로벌 환경변화
가. 비대면 사회로의 전환 및 관련 규제 완화
나. 의료시스템의 변화
다. 위험 및 감시가 일상화되는 뉴노멀 사회
라. 세계 경제 질서의 변화
(2) 국내 환경변화
가. 정부역할
나. 라이프 스타일
다. 의료
라. 산업
(3) 주요 환경변화의 관련 미래이슈 파악
3) 영역별 미래모습
(1) 포스트코로나 시대 주요 영역별 미래모습 전망
4) 유망기술
(1) 헬스케어
(2) 교육
(3) 교통
(4) 물류
(5) 제조
(6) 환경
(7) 문화
(8) 정보보안
2. 포스트 코로나19, 뉴노멀 시대의 산업전략
1) 코로나19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1.2% 역성장하는 한국 경제
(2) 코로나19로 인한 무역 감소
(3) 인적교류 위축으로 인한 관광부문 막대한 손실
2) K-방역을 통한 한국경제 도약의 기회
(1) 전세계 방역 표준모델로 한국의 국가브랜드 상승 기회
(2) 투명성과 신뢰성 기반, 한국의 글로벌 첨단기지로서의 가능성 제고
(3) 코로나19로 성장하는 산업
3) 코로나19 이후 산업 패러다임 변화
(1) 코로나19 이후 뉴노멀시대의 도래
(2) 코로나19 이후 뉴노멀시대 신산업의 부상
4) 디지털 경제화와 글로벌 첨단거점화 추진
(1) 급속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에 대비한 지원체계 구축
(2) 경기도, 글로벌 첨단기업의 거점화 전략

제 2장 정보보안과 위험대응 유망기술 동향

1. 클라우드 기반 영상회의 서비스 주요동향
1) 영상회의 서비스 도입 가속화
2) 기업 개발동향
(1) 시스코
(2) 마이크로소프트
(3) 줌(Zoom)
(4) 알서포트
(5) 구루미
(6) 기타
3) 클라우드 기반 원격근무(Remote Work) 솔루션
(1) 클라우드컴퓨팅이 가능하게 하는 원격근무
(2) 원격근무의 솔루션 분류
(3) 메신저/문서공유 솔루션
가. 해외 : 슬랙(Slack)
나. 국내 솔루션
(4) 프로젝트 공정/사안 관리 솔루션
가. 트렐로(Trello)
나. 플로우
4) 클라우드 웹 화상회의 시장 현황
(1) 글로벌 시장(Worldwide Market Share)
가. 전통적인 비디오 화상회의 시장의 둔화
나. 다크호스 클라우드 화상회의의 급부상
(2) 국내 시장(Domestic Market Share)
2. 양자컴퓨팅/양자암호통신 보안기술동향
1) 양자컴퓨터 주요동향
(1) 양자의 특성과 양자컴퓨터의 개념
(2) 양자컴퓨터 시장 동향
(3) 양자컴퓨터 기술개발 이슈와 동향
(4) 국내외 양자컴퓨터 정책 동향
가. 주요국 양자컴퓨터 정책 동향
나. 국내 양자컴퓨터 정책 동향 및 기술개발 전략
2) 양자정보통신 기술 주요동향
(1) 양자정보통신기술 개요
가. 양자정보통신기술
나. 양자통신
(2) 각국의 정책 동향
가. 해외 정책 동향
나. 국내 정책 동향
(3) 국내외 연구 동향
가. 해외 기술개발 동향
나. 국내 기술개발 동향
(4) 산업계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5) 양자암호통신 테스트베드 및 표준화 동향
가. 개요
나. 해외 양자암호통신 테스트베드 동향
A) SECOQC (SEcure COmmunication based on Quantum Cryptography)
B) 도쿄 QKD 네트워크
다. 국내 양자암호통신 테스트베드 동향
라. 해외 양자암호통신 표준화 동향
A) 유럽전기통신표준화협회(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 ETSI)
B) ITU-T
마. 국내 양자암호통신 표준화 동향
바. 양자암호기술의 보안인증과 관련된 표준화 동향
(6) 양자정보통신 분야의 향후 해결과제 및 전망
가. 양자통신 분야의 향후 전망
나. 양자컴퓨팅 분야의 향후 해결과제 및 전망
3. 비식별/동형암호 정보보안 기술동향
1) 의료데이터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비식별화 기술동향
(1) 개인정보 비식별화 조치 기술의 필요성
(2) 국내의 개인정보 비식별화 기술 및 솔루션 프로그램 동향
(3) 해외의 개인정보 비식별화 기술 및 솔루션 프로그램 동향
(4) 국내와 해외의 비식별화 기술 및 솔루션 프로그램 동향 비교
(5) 결론 및 시사점
2) 개인정보 비식별 기술 동향
(1)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대상과 개인정보 재식별
가.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대상
나. 개인정보 재식별(Re-identification)
(2)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표준화
가.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A) 일반적 기법
B) 프라이버시 보호 모델
C) 데이터 결합
나. ISO/IEC 20889
(3)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기술 동향
가. 비정형 데이터 비식별 기술
A) 텍스트 데이터 비식별 기술
B) 영상 데이터 비식별 기술
C) 음성 데이터 비식별 기술
나. 암호화 도구
A) 동형 암호화(Homomorphic Encryption)
B) 형태 보존 암호화(Format-Preserving Encryption)
C) 순서 보존 암호화(Order-Preserving Encryption)
다. 향상된 프라이버시 보호 모델
A) 차분 프라이버시 모델
B) 익명처리 모델
3) 차분 프라이버시(Differential Privacy) 신기술
(1) 차분 프라이버시의 개념과 장단점
(2) 차분 프라이버시 모델의 응용 사례
4) 동형 암호(Homomorphic encryption) 4세대 암호기술
(1) 동형 암호 유래
(2) 동형 암호 개념
(3) 동형 암호 종류와 장단점
(4) 근사계산과 동형암호
(5) 동형 암호의 응용 사례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6) 동형기계학습
가. 동형기계학습의 개념과 필요성
나. 동형기계학습 알고리즘
A) 1단계 : 동형암호 공개키/비밀키 설정
B) 2단계 : 암호화
C) 3단계 : 데이터베이스 병합
D) 4단계 : 예측/분류 모형 도출
E) 5단계 : 암호화된 모델 복호화
F) 6단계 : 암호화된 데이터의 상의 예측
다. 동형기계학습의 관련연구와 전망
5) 함수암호기술
4. 딥페이크(Deepfake) 발전과 대응기술 동향
1) 딥페이크 기술 발전동향
(1) 개념
(2) 기술동향
(3) 딥페이크 기술의 가능성
(4) 딥페이크 기술의 폐해
2) 딥페이크 대응현황
(1) 대응기술 개발현황
(2) 해외의 법제도적 대응 분석
가. 미국
나. EU
3) 시사점
5. 생체인식 및 위변조 검출 기술동향
1) 지문 인식 및 위변조 검출관련 기술동향
(1) 모바일 기기를 위한 지문인식 기술
(2) 지문 위변조 검출 기술
(3) 전망과 결론
2) 얼굴 위변조 검출 관련 기술동향
(1) 얼굴 위변조 공격
(2) 얼굴 위변조 검출 방법 동향
가. 하드웨어 기반 얼굴 위변조 검출 방법
나. 소프트웨어 기반 얼굴 위변조 검출 방법
(3) 전망과 결론
3) 동공 검출 기법 연구동향
(1) 최신 연구동향
(2) 이질적인 CNN 기반 모델
(3) 결론

제 3장 제조분야 유망기술 동향
-디지털트윈, 인간증강, 협동로봇-

1.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동향
1) 디지털 트윈의 기술 및 산업응용
(1) 개요
(2) 디지털 트윈의 핵심기술 - 모델링 시뮬레이션(M&S)
(3) 디지털 트윈의 산업 응용
2) 디지털 트윈 기술발전의 주요이슈
(1) M&S 및 디지털 트윈 연관 이슈
(2) 디지털 트윈 운영환경 및 개발지원 도구
(3) 디지털 모델링 방법의 발전 필요성
3) 국내외 동향 및 전망
(1) 세계의 디지털 트윈 시장 전망
(2) 디지털 트윈 기술시장 동향
(3) 디지털 트윈 플랫폼/도구
가. GE
나. Ansys
다. Simens
라. 다쏘시스템
4) 시사점 및 정책제언
(1) 디지털 트윈 기술/응용 관련 시사점
(2) R&D 관련 정책제언
5) 스마트제조를 위한 디지털트윈 표준화 동향
(1) 스마트제조와 디지털 트윈
(2) 스마트제조를 위한 디지털 트윈 표준화
가. ISO 23247-1, 개요 및 원칙
나. ISO 23247-2, 참조 구조
다. ISO 23247-3, 제조 자원의 디지털 표현
라. ISO 23247-4, 정보 교환
마. ISO 23247의 적용한 예
6) Tool Chains for Digtal Twin & IIoT
(1) 디지털 트윈과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2) 디지털 트윈 설계 툴 체인(Tool Chain)
(3) Cameo System Modeler
(4) MapleSoft
(5) FogHorn Real time Big Data Analytics
(6) Vortex Visualization Tool
(7) B&R Automation Studio
(8) Internet of Simulation
(9) 결론
2. 인간증강기술 관련 세부분야별 주요동향
1) 바이오-인공지능(AI)-로봇(인간증강) 선도적 융합기술 개발
(1) [휴먼플러스융합연구개발챌린지] 사업 개요
가. 개요
나. 사업 추진방향
다. 지원기간 및 내용
2) 산업현장 근로자 작업지원 웨어러블 로봇 기술동향
(1) 웨어러블 로봇
(2) 기술개발 동향
(3) 국내외 기술동향
가. 산업현장 근로자 작업지원
나. 재활/의료분야
다. 특수목적(군사, 안전)분야
(4) 웨어러블 로봇 시장현황
가. 국내외 시장규모
나. 분야별 웨어러블 로봇 시장의 성장세 및 전망
A) 산업 분야
B) 일상생활 분야
C) 재활/의료 분야
(5) 웨어러블 로봇 미래전망
가. 산업현장 근로자 작업지원분야 웨어러블 로봇의 대중화
나. 저렴하고 가벼운 웨어러블 로봇 개발 가속화
다. 옷감근육 및 이를 활용한 근육 옷의 등장
라. 향후 웨어러블 로봇 R&D 방향
3) 인간-기계 상호적응형 BMI 기술동향
(1) 개요
(2) BMI 기술
가. 뇌전도 측정
나. 상호적응 BMI
다. BMI 시스템 훈련
라. 사용자 훈련
(3) 해외 연구동향
(4) 국내 연구동향
(5) 시사점 및 미래 전망
4) 생각만으로 기계를 조작하는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1) 뇌-기계 인터페이스
가. 개요
나. 필요성 및 중요성
(2)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동향
가. 뇌-기계 인터페이스의 동작
나. 뇌파 기반 뇌-기계 인터페이스
다. 기능자기공명영상 기반 뇌-기계 인터페이스
라.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 기반 뇌-기계 인터페이스
마. 침습적 뇌-기계 인터페이스
(3) 최신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현황
(4)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장동향
(5) 시사점
5) 인간-기계 간 신호전달을 위한 고효율 뇌신경 탐침 기술
(1) 뇌신경 탐침 기술의 배경
가. 뇌의 전기적 신호 발생
나. 뇌의 전기적 신호 측정 방법
(2) 뇌신경 탐침 관련 기술 동향
가. 유리전극
나. 금속 마이크로 와이어 전극
다. 미시간 프로브
라. 유타 전극
마. 광유전학 기능이 접목된 뇌신경 탐침
바. 유체 채널이 접목된 뇌신경 탐침
(3) 탐침 기술 연구의 최신 동향
가. 나노기술 기반 한계 극복 사례
A) 카본 나노튜브의 응용
B) 나노와이어 구조를 이용한 뇌신경 탐침 연구
C) 그래핀을 이용한 다양한 전극 구조 개발
D) 기타 구조
나. 기계적 한계 극복 사례
A) 피노믹스(Phenomics)를 이용한 영상처리 기술
(4) 향후 전망
가. 뇌신경 탐침 구조의 기술 발전 방향
A) 면역반응 및 손상 최소화를 위한 침습형 탐침 개발
B) 장기적인 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
C) 다기능 탐침 기술
D) 대면적 전극을 통한 뇌 활동 & 활성부 맵핑
나. 기술의 적용과 미래 사회
A) 신경, 능력 회복 기술에의 적용
B) 뇌 활동 분석 기술
C) 가상세계, 인공 칩 인식
(5) 결론
3. 제조·협동 로봇 산업 주요동향
1) 제조·협동 로봇산업 생태계 분석
(1) 산업 정의 및 분류
(2) 산업 특징 및 구조
(3) 해외 주요 정책 현황
가. 미국
나. 일본
다. 중국
라. 유럽
(4) 국내 주요 정책 현황
(5) 해외 시장 현황
(6) 국내 시장 현황
2) 업계 환경 분석
(1) 해외 업체 개발현황
가. 덴마크/UR
나. 스웨덴/ABB
다. 일본/FANUC
라. 중국/KUKA
(2) 국내 업체 개발현황
가. 현대로보틱스
나. 한화테크원
다. 로보스타
라. 휴림로봇
마. 맥스로텍
3) 기술 심층 분석
(1) 제조용 로봇 기술 구성
(2) 제조용 로봇 기술동향
(3) 협동로봇의 특징 및 주요 응용분야
(4) 핵심 요소 기술
가. 로봇 기구 설계
나. 로봇 제어기 설계
(5) 기술 발전 방향
4) 방송 협동로봇 사례분석
(1) 중국
(2) 국내
가. 360도 영상통신로봇
나. 시네마 로보틱스

제 4장 물류분야 유망기술 동향
-라스트마일, 로봇, ICT플랫폼-


1. 유통/물류 분야 라스트마일 서비스 주요동향
1) 국내 택배물류시장 현황과 전망
2) 라스트마일(Last Mile)
(1) 라스트마일 트렌드
가. 관리 : 라스트마일 전단계 창고, 풀필먼트 센터로 진화
A) 아마존
B) 페덱스
나. 관리 : 친환경 소규모 분산 물류 시설 도입
A) 유럽의 LAMILO 프로젝트
다. 기술 : 다양한 운송수단의 등장
라. 기술 : 물류로봇을 통한 효율성 증대
A) 중국의 활발한 무인배송 로봇 개발
마. 플랫폼 : 물류기업 및 타산업의 융합
A) 프레이토스
3) 국내외 유통분야 라스트마일 서비스 혁신 동향
(1) 국외
(2) 국내
4) 온라인쇼핑 성장 가속화 전망
2. 물류 로봇산업 현황 및 동향분석
1) 배경
2) 물류로봇 주요 기술 및 트렌드
(1) 개념
(2) 물류로봇 기술 이슈와 트렌드
(3) AGV 기술의 변화와 전망
(4) 국내 물류로봇 기술 동향 및 전망
3) 국내외 정책동향
(1) 해외
(2) 국내
4) 국내외 제품개발 및 상용화 동향
(1) 공장물류용 물류로봇 동향
가. 해외
나. 국내
(2) 물류창고용 물류로봇 동향
가. 해외
나. 국내
(3) 일반옥내용 물류로봇 동향
가. 해외
나. 국내
(4) 옥외배달용 물류로봇 동향
가. 해외
나. 국내
다. 최근 업계 개편 및 영업방식의 변화
(5) 자율주행 무인배달로봇 개발 현황
가. 중국, 징동상청
나. 미국, 뉴로
다. 영국, 스타십 테크놀러지스
라. 한국, 우아한 형제들
5) 물류로봇 수요환경
(1) 물류창고 분야
가. 물류창고의 개념과 변화
나. 물류 (로봇)자동화 동향
A) 중국, 징동(京?, JD.com)의 무인 물류센터 사례
다. 국내 물류창고의 로봇자동화 수요 및 도입여건
A) 국내 물류창고의 자동화 수준
B) 물류로봇시스템 도입 저해요인 및 시사점
(2) 공장물류 분야
가. 공장물류 자동화 기술 및 변화
나. AGV 도입의 장점
다. 공장 생산방식의 변화에 따른 AGV 특히 자율주행 AGV(AMR) 필요성 증가
(3) 국내 공장물류 자동화 수요 및 도입여건
가. 물류로봇 활용 유망 제조 분야 및 공정
나. 공장물류 로봇자동화 저해요인 및 시사점
(4) 병원 물류로봇 분야
가. 병원물류 자동화 기술 및 변화
나. 병원물류 자동화 및 물류로봇 도입 필요성
(5) 병원 물류로봇 잠재수요 및 도입여건
가. 병원물류 AGV 도입의 저해 요인
나. 병원 물류로봇의 잠재 수요 및 전망
(6) 코로나 19 진료현장 의료지원 로봇 도입사례
가. 살균 로봇
나. 발열감지 로봇
다. 운송 로봇
3. 우편집중국/물류센터 소포처리 자동화 기술 현황과 적용 사례
1) 집중국/물류센터 업무 프로세스 및 자동화 기술
(1) 업무 프로세스
(2) 업무 프로세스별 자동화 기술
가. 하차/인입
A) 트럭 바닥 컨베이어
B) 티퍼
C) 소포 싱귤레이터(Singulator)
D) 낱소포 하차 및 인입
나. 구분
다. 적재/상차
2) 유럽 물류센터 소포처리 자동화 기술 운영 사례
(1) 스위스우정 하킨(Harkingen) 소포물류센터
(2) 독일우정 뉘른베르크(Nuremberg) 소포물류센터
(3) 프랑스우정 Coliposte 모아시(Moissy) 소포물류센터
3) ETRI 소포처리 자동화 기술
(1) 소포구분 기술
(2) 소포 인입 자동화 기술
4. 주요 물류기술 트렌드 및 적용사례
1) DHL ‘Logistics Trend Radar 물류기술’ 전망
(1) 블록체인(Blockchain)
(2) 인공지능(AI)
(3) 3D프린터
(4) 로보틱스
(5) 기타 기술
2) 가트너 ‘2018 8대 공급사슬망 주요기술’ 전망
(1)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2) 고급분석(Advanced analytics)
(3)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4) 지능형 사물(Intelligent things)
(5) 대화형 시스템(Conversational systems)
(6)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obotic process automation)
(7) 몰입기술(Immersive technologies)
(8) 블록체인

제 5장 교통분야 유망기술 동향
-자율주행, 통합교통서비스(MaaS)-


1. 자율주행 산업 주요 동향
1) 자율주행 주요 이슈
2) 자율주행차 산업 동향 및 전망
(1) 산업 동향
(2) 정책·투자 동향
가. 한국
나. 미국
다. EU
라. 일본
마. 중국
(3) 시장 전망
3) 자율주행 셔틀 및 서비스 개발 동향
(1) 자율주행 셔틀 차량 플랫폼 개발 동향
가. 자율주행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차량 플랫폼 개발
나. 운전석과 운전대가 없는 자율주행 셔틀은 기본적으로 SAE 레벨4 지향
다. 해외 자율주행 셔틀 개발 현황
라. 국내 자율주행 셔틀 개발 현황
마. 다양한 형태의 자율수행 셔틀
(2)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 기술
가. 자율주행 셔틀 Use-case
나. 해외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 동향
(3) 자율셔틀 HMI 기술
가. HMI 정의
나. HMI 기술
다. 자율셔틀 HMI
4) 자율주행 SLAM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가. 개념
나. 필요성
A) 자율주행의 요소 기술
B) SLAM 기술 개발 이전의 이동로봇
C) 실환경 모델링 기술의 수요
D) 기술 필요 사례
(2) SLAM의 기술적 원리
가. 문제 정의
나. 기술적 동작 원리 및 대표적인 방법
A) SLAM 과정
B) 대표적인 SLAM 알고리즘의 전형
(3) SLAM 활용사례
가. 지상 및 실내 이동로봇
A) 주요 활용분야1. 공장 및 물류센터 환경
B) 주요 활용분야2. 실내 상업용 공간
C) 주요 활용분야3. 가정 공간
D) 주요 활용분야4. 보행로를 활용한 라스트마일 배송
나. 무인항공기 (드론)
A) 구조물 검사 및 지형 검사를 위한 활용
B) 취미·촬영 용도로의 활용
다. 수중 및 지하 공간 로봇
A) 수중 환경에서의 SLAM
B) 지하 환경에서의 SLAM
라. VR 및 AR
(4) SLAM 기술 동향
가. Bayesian 및 그래프 최적화 기반 SLAM
A) 파티클 필터 및 EKF 기반 SLAM
B) 그래프 최적화 기반 SLAM
나. 비전 기반 SLAM
A) 비전 기반 토폴로지 SLAM
다. 인공지능 융합 SLAM
(5) SLAM 기술의 미래 전망
가. 장시간 SLAM
나. 특징점 부족 환경 대처
다. 다른 로봇으로 구축된 맵의 활용
라. 불확실한 맵의 업데이트
A) 딥러닝 기반 센싱 기술
B) 딥러닝 기반 맵핑 기술
C) 딥러닝 기반 드라이빙 기술
2. 스마트모빌리티 - 통합교통서비스(MaaS) 산업동향
1)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동향
(1) 교통 통합화의 첨병, MaaS
가. MaaS 플랫폼의 정의
나. 통합이동서비스의 등장과 상용화
A) UbiGo 리빙랩
B) MaaS Finland
다. 문제 해결을 위한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2) 공유 경제의 스마트 모빌리티 구축 사례
가. 카셰어링의 서비스 변화
A) 개요
B) 산업적 효용가치
C) 시장의 변화
D) 한계점
나. 카쉐어링 시스템을 통한 스마트모빌리티 구축 사례
A) 다임러 벤츠
B) BMW
C) GM
D) 폭스바겐
E) 르노
F) 포드
G) 도요타
H) Rapid Recharge&Share(美 디어본)
I) Car Swap(美 미시건 주)
J) On-Demand Driving(英 런던)
K) Dynamic Social Shuttle(美 뉴욕 / 英 런던)
L) Share-Car(인도 방갈로)
M) PSA그룹
N) NTT도코모
O) LH행복카
다. 라이드셰어링의 서비스 변화
A) 정의
B) 라이드셰어링의 유형
라. 라이드셰어링 시스템을 통한 스마트모빌리티 구축 사례
A) 우버
B) 리프트(Lyft)
C) 그랩(Grab)
D) 디디추싱
E) 모이아(MOIA)
F) 택시파이(Taxify)
G) BlaBlaCar
H) 라이드셰어링 시스템의 한계
(3) 스마트시티 기반의 교통정보 통합 시스템 동향
가. 공유 경제 기반의 도시 재생 프로젝트 성공 사례
A) 네덜란드 사례
B) 소셜 주차 비즈니스 모델을 통한 사례
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스마트모빌리티 구축 사례
다. 대중교통과 공유서비스가 연계된 MaaS 서비스 사례
A) MaaS Global
B) Moovel Group
C) Conduent
D) 스웨덴 IRIMS 프로젝트
E) Citymapper
F) Qixxit
G) TAGO(Transport Advice on Going anywhere)
2) 주요 MaaS 도입사례
(1) 핀란드 MaaS Global의 Whim
(2) 독일 Deutsche Bahn의 Qixxit
(3) 오스트리아 Upstream의 WienMobil
(4) 싱가포르 정부의 Beeline SG
(5) 유럽의 MaaS Alliance
3) OEM Captive사의 대응과 국내 전망
3. 퍼스널 모빌리티/마이크로 모빌리티 산업동향
1) 마이크로모빌리티(MicroMobility) 정의 및 특징
2) 시장 및 주요업체 동향
(1) 시장동향
(2) 주요업체 동향
3) 성장요인과 개선사항
(1) 성장요인
가. 짧은거리 이동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동수단
나. 저렴한 이용요금 체계
다. 기존 운송산업과의 공존 가능성 및 전동킥보드 가격 하락
(2) 개선사항
가. 관련 법·제도 제정 및 정비 필요
나. 안전운행을 위한 방안 마련 필요
다. 수익성 확보 필요
라. 하드웨어 훼손 및 도난 등 관리문제 해결 필요
마. 날씨 및 고객층의 제약 극복 필요
4) 퍼스널 모빌리티의 구축 사례
(1) 공유 자전거 서비스 사례
가. 중국의 공유 자전거 서비스
나. 일본의 공유 자전거 서비스
다. 국내의 공유 자전거 서비스
(2) Personal Mobility 서비스가 연계된 MaaS 서비스 사례
가. GM
나. 폭스바겐 네덜란드
다. 포드
4. 교통정보 통합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구축
1)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의 다각화
(1) 헬스케어 MaaS
(2) 배달업
(3) 차량내 편의점 서비스
2) 교통 분야의 블록체인 서비스 융합 동향
(1) 교통 분야의 블록체인 서비스의 효용 가치
(2) 폭스바겐의 블록체인 서비스
(3) 지역화폐의 융합화 사례
(4) 블록체인과 MaaS 접목 사례
가. Arcade City
나. MVL
다. 국토부 R&D 사업

제 6장 교육분야 유망기술 동향
-에듀테크, LMS, 통신기술-


1. 글로벌 교육산업 4대 트렌드
1) 글로벌 교육산업 4대 메가 트렌드
(1) 실감화
가. ‘실감화’ 혁명이 불러올 교육 비즈니스의 기회
(2) 연결화
가. ‘공유경제’ 서비스의 부상
나. ‘온디맨드’ 서비스의 부상
(3) 지능화
(4) 융합화
2) 국내 교육산업의 주요 이슈사항
(1) 공교육 혁신
(2) 국내 교육산업의 주요 이슈사항
가. 국내 교육서비스 산업은 정책의 흐름을 따라
나. 실감화·연결화 : ‘대면 교육’에서 ‘이러닝’으로 서비스 채널 다변화
다. 실감화·연결화·지능화: 에듀테크의 성장으로 교육혁신 가속화
2. 국내외 에듀테크(Edutech) 추진방향 및 시장현황
1) 개요
(1) 뉴 비즈니스의 확산과 인재시장의 변화
(2) 이러닝에서 확장된 에듀테크(Edutech: Education + Tech)로의 발전
2) 에듀테크 국내외 시장동향
(1) 세계 에듀테크 시장현황
(2) 주요국 에듀테크 시장현황
가. 미국
나. 중국
다. 영국
(3) 국내 에듀테크 시장 현황
가. 국내시장 현황
나. 국내 기업의 대응
(4) 국내 에듀테크 기업의 해외진출
가. 해외진출 현황
나. 해외진출 성공사례
A) 이퓨쳐
B) 비상교육
C) 에누마
D) 매스프레소
E) 럭스로보
3) 에듀테크 주요 기술 및 사례
(1) 에듀테크 주요 기술
가. AI 기술 : 1:1 맞춤형 학습의 구현
나. IoT 센서 : 1:1 맞춤형 학습의 고도화
다. 로보틱스 : 인공지능 로봇 교사의 등장
라. VR/AR : 학습에 몰입을 더하다
마. Social VR : 가상공간에서 팀워크 훈련
바. Block Chain : 학위/자격 시대를 뒤집다
사. 디지털 플랫폼
아. xAPI 기반 LRS, Learning Record Store
(2) 에듀테크 기술 사례
가. 미네르바 스쿨(Minerva School) 사례
나. 영국의 LendED 플랫폼 사례
다. 선진형 IT교육모델 에꼴42(Ecole42)
라. 세계 각국 및 기업의 새로운 직무교육 사례
4) 에듀테크 추진 방향
(1) C.I.A. (커리큘럼, 지도, 평가) 전략 중심의 교육산업 확장
3. 클라우드 기반 학습관리 시스템(LMS) 동향
1) 배경
2) 학습관리시스템(LMS)
3) SaaS 기반의 LMS
4) SaaS기반 LMS 시장 동향
5) SaaS 기반 LMS 향후 전망
6) 주요 클라우드 마켓플레이스에 있는 SaaS 서비스
4. 온라인 수업(원격수업) 네트워크 통신기술
1) 고속 통신(eMBB)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1) 넓어진 주파수 대역폭
(2) 주파수 이용 방식의 변화
(3) 다중 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의 이용
(4) Massive MIMO와 빔포밍
(5) 5G 빅데이터 트래픽 초고속 전송 기술
가. 국내외 기술동향
A) 국내
B) 해외
C) 표준화 동향
나. 국내외 시장 전망
A) 국내
B) 해외
2) 대용량(mMTC) 특성을 제공하는 기술
(1) 가변적 채널 대역폭 할당
3) 초저지연 및 고신뢰 통신(URLLC)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1) 네트워크 슬라이싱
(2) 에지 클라우드

제 7장 헬스케어 분야 유망기술 동향
-디지털치료제, AI, 생체정보, 예측-


1. 디지털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산업 주요동향
1) 특징 및 분류
(1) 디지털치료제 정의 및 특징
(2) 디지털치료제 유형 및 분류
2) 디지털치료제 기술 동향
(1) 디지털치료제 개발 분야
(2)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활용
(3) 기존 신약 개발과 비교
(4) CDSS AI와 PDSS AI
(5) 성능 및 유효성 검증
(6) 질환별 디지털치료제
3) 디지털치료제 시장 동향
(1) 글로벌 시장 전망
(2) 분야별·질환별 시장 전망
4) 디지털치료제 규제 동향
(1) 미국의 SaMD 혁신규제
(2) 해외 혁신의료기기 중심 규제전환
(3) 국내 혁신의료기기 관련 규제동향
2. 신종감염병/질병 대응 인공지능(AI) 기술동향
1) 신종감염병 대응 AI 기술 동향 분석
(1) 해외 동향
(2) 국내 동향
(3) 시사점
2) 질병진단 인공지능(AI) 개발동향
(1) 인공지능 기반 의료 진단 기술현황
(2) 인공지능 기반 의료 진단 기술의 미래
(3) 인공지능 기반 의료 진단의 도전과제 및 해결방안
3. 감염병 예측/접촉자 추적기술 동향
1) 바이오인포매틱스를 통한 감염병 예측기술
(1) 바이오인포매틱스
(2) 감염병 대유행과 바이오인포매틱스
(3) 선제적인 감염병 대응 위한 정책제언
2) Mobility Big Data를 이용한 감염병 접촉자 신속 선별 및 관리방안
(1)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
(2) 모빌리티 빅데이터의 특성
(3)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이용한 통행사슬DB 구축
(4) 감염자 이동경로 분석을 통한 주요 접촉자 신속선별
(5) 주요 감염지역 통행패턴을 고려한 효율적 관리방안 제시
(6) 정책 제언
4. 실시간 생체정보 측정·분석 센서기술
1) 생체 센서
2) 생체 신호를 이용한 Bio센서 기술 현황
(1)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Bio센서 - 혈압
(2)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Bio센서 - 맥박
(3)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Bio센서 - 혈당
(4)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Bio센서 - 가스
(5) 복합 생체 신호 측정을 통한 Bio센서 개발
가. 스마트폰 혈압 측정계
나. 장갑형 디바이스
다. 피부 부착형 디바이스
라. 이어폰 심장 센서
마. 인체 기반 네트워킹

통계(도표)목록
Author
R&D정보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