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한국 교육의 잠을 깨우다

$16.20
SKU
979112888456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2/6 - Wed 0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2/3 - Wed 0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6/05
Pages/Weight/Size 128*188*30mm
ISBN 9791128884566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코로나 바이러스에 강제로 이끌려온 미래교육의 단면들은 어떤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왔는가? 지난 20년 간 교실 수업 혁신을 위한 정책 노력이 지속되었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체감할 수 있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런데 코로나19가 불과 석 달 만에 한국 학교의 수업 양상을 완전히 바꾸었다.

코로나19 사태로 사상 처음 온라인 개학 상황을 맞이한 교육현장은 분주하고 어수선했다. 온라인 수업 앞에 모든 것이 노출됐으며 학교 교육의 민낯이 드러났다. 강제 경험이 낳은 부정적 요소들을 준비된 시스템으로 혁신하기 위해 대학교수, 초중고교사, 입시전문가, 에듀테크 전문가, 학부모연구자, 평생학습 전문가, 지자체장, 기타 교육전문가들이 한국 교육의 나아갈 길을 제시한다.
Contents
머리말 혁신 정책 20년보다 더 나간 코로나 석 달  

Ⅰ 비대면 수업, 변화의 촉매일까

토론   3
사회 강대중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김차명 (경기도 시흥시 배곧초등학교 교사, 참쌤스쿨 대표)이예슬 (경기도 하남풍산초등학교 교사)조기성 (서울시 계성초등학교 교사, 스마트교육학회 회장)
01 언택트 시대의 교실, 다시 수업을 생각하다  
열린 교실, 민주적 교실, 맞춤형 수업  
환경 따라 학습 격차, 학생 지도에도 한계  
언택트 시대 교실, 교사-학생 행복한 연결  
02 미래교육, 계성초등학교 사례  
1인 1디바이스의 스마트교실  
교원학습공동체 조직, 수업 기술 향상  

Ⅱ 입시와 사교육에 시위 당긴 교육의 본질

토론  
사회 강대중(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유대영(보습학원 운영, 착한입시상담소 운영자)전대원(경기도 성남시 위례한빛고 교사)황성희(강원대학교 강사, 교육학 박사)
03 코로나19와 우리나라 입시  
바칼로레아 취소한 프랑스와 단순 비교  
형식적 공정성에 집착하는 입시 문화  
표준 평가에서 개별 평가로  
04 코로나19 이후의 학교 교육  
온라인 강의는 익숙, 온라인 개학은 처음  
규제 중심 학교도 IT환경 일시에 개선  
우수한 인프라, 디지털 적응력, 교사 역량  
05 재택형 온라인 수업과 학부모  
학교에서 가정으로 옮긴 교육의 장  
온라인 개학 학부모 만족, 초등 66.5% 고등 37.5%  
재수생에 밀리는 고3, 대학 가는 문 멀다
소통은 만족, 교육내용과 방법은 개발  

Ⅲ 코로나19 시대의 대학, 위기인가 기회인가?

토론  
사회 강대중(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이영(한양대학교 금융경제학부 교수, 전 교육부 차관)채재은(가천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06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학혁신 방향  
교환학생 인턴십 해외유학 국제학술활동 모두 중단  
대학 교육과정 전면적 변화 요구  
에듀테크 앞선 대학, 새로운 강자 등장  
07 코로나 사태 이후의 사회정책 방향
복지제도 개편 계기 잡았다 
복지제도의 세 기둥과 우리나라 복지제도의 역사  
우리에게 적합한 복지국가 모형과 정책조합  

Ⅳ 코로나19가 제기한 미래교육 방향

토론  
사회 강대중(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이길호(타임교육 대표, 에듀테크협회 회장)전유택(에누마 한국지사장)최진영(종로학원하늘교육 사장)
08 코로나와 교육산업  
모두가 경험한 기술
교육글로벌라이제이션의 새로운 정의  
김연아, 봉준호, 손흥민, BTS, 페이커 키우는 학교  
09 디지털 교육 실험, 에누마 사례
디지털 기술이 기초 문해와 수리 능력 해결  
디지털 교육, 재미와 통합이 과제

Ⅴ 코로나19 시대 사회안전망 촘촘한가?

토론  
사회 강대중(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김경애(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부은희(사단법인 청소년과나란히 이사장)최예린(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부교수)
10 감염병 위기 시대, 교육복지체제에 대한 질문  
학교·공공기관 문 닫자 교육복지체제 정지
연대보다 격리가 미덕  
재난 대비는 자립 역량과 건강한 정신  
11 코로나19 이후 유아교육기관의 긴급돌봄 쟁점  
비대면이 불가능한 아이들  
긴급보육의 의미 퇴색  
보육료 결제시스템의 한계  
공존을 위한 협력  

Ⅵ 시민 연대망 그리고 학교교육, 평생교육, 지역사회

토론  
사회 강대중(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김미윤(서울시 은평구 은평정책연구단 단장)박승원(경기도 광명시장)  
12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위한 교육 협력  
공공도서관 책 배달 서비스, 심리 방역 효과  
학교 행정과 지역 특성의 결합  
13 코로나19 이후 평생교육, 위기에서 배우는 법  
문제해결력, 순발력, 회복탄력성 지식 필요  
로컬택트 기반 평생학습 생태계  
자발적 시민 연대가 만드는 유연한 공동체  

맺음말 교육2020, 백일몽에서 백년대계로
Author
강대중,김경애,박승원,이영
서울대학교 교수이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제5대 원장이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조지아대학교(University of Georgia)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주 연구 분야는 평생학습 이론, 생애사 연구 방법,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정책 등이다. 평생학습이라는 렌즈로 그동안 교육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이들의 삶, 생활, 인생을 연구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탈)식민화 기관이자 참여적 학습공간으로서 박물관: 한국의 경험[Museum as a (de-)colonizing agency and par?ticipatory learning space: South Korean experience]”(공저, 2019), “이동 중 실종 혹은 또 다른 개념화: 한국에서 관점전환학습이론의 (그릇된) 전용[Lost in travel or a different conception? (Mis-)appropriation of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in the Republic of Korea]”(공저, 2017), “학습자자세, 학습관리장치, 맥락지식-평생학습이론 구축을 위한 중심 개념 탐색”(공저, 2017) 등이 있다. 저서로는 『혼란한 시대에 학습사회 강화하기(Powering a learning society during an age of disruption)』(공저, 2021), 『한국 예술가와 장인의 삶과 학습: 라이조액티비티(Life and learning of Korean artists and craftsmen: rhizoactivity)』(2015)가 있다.
서울대학교 교수이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제5대 원장이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조지아대학교(University of Georgia)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주 연구 분야는 평생학습 이론, 생애사 연구 방법,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정책 등이다. 평생학습이라는 렌즈로 그동안 교육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이들의 삶, 생활, 인생을 연구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탈)식민화 기관이자 참여적 학습공간으로서 박물관: 한국의 경험[Museum as a (de-)colonizing agency and par?ticipatory learning space: South Korean experience]”(공저, 2019), “이동 중 실종 혹은 또 다른 개념화: 한국에서 관점전환학습이론의 (그릇된) 전용[Lost in travel or a different conception? (Mis-)appropriation of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in the Republic of Korea]”(공저, 2017), “학습자자세, 학습관리장치, 맥락지식-평생학습이론 구축을 위한 중심 개념 탐색”(공저, 2017) 등이 있다. 저서로는 『혼란한 시대에 학습사회 강화하기(Powering a learning society during an age of disruption)』(공저, 2021), 『한국 예술가와 장인의 삶과 학습: 라이조액티비티(Life and learning of Korean artists and craftsmen: rhizoactivity)』(2015)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