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와 일본 1

무솔리니와 박정희 그리고 한일협정
$40.25
SKU
979119717311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6/03
Pages/Weight/Size 150*225*35mm
ISBN 9791197173110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필자가 박정희와 일본의 관계에서 주제로 삼으려 했던 대상은 두 가지였다. 첫째는 1961년 5·16 쿠데타 후 일본으로부터 엄청난 뒷돈을 받고 한일회담을 벌여 1965년 한일협정을 체결하기까지의 다사다난했던 시기였다. 둘째는 일제 치하에서 일본화한 박정희가 어떻게 살아남았으며 1972년 10·17 유신쿠데타 후 어떻게 대한민국의 일본화를 시도했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그런데 집필 과정에서 한일회담과 한일협정에 관련한 첫째 주제에 대한 내용이 많아져, 두 번째 주제는 별도의 책(『박정희와 일본 II』)에서 다루게 되었다.
Contents
책을 펴내며

제1부 무솔리니와 박정희

프롤로그: 지도자를 어떻게 볼 것인가
제1장 무솔리니
1. 파시즘이란 무엇인가
2. 무솔리니의 부활: “무솔리니는 우리가 밥 굶지 않게 해 줬다.”
3. 무솔리니의 변신
4. 파시즘의 탄생과 ‘로마 진군’ 쿠데타
5. 무솔리니의 20년 집권①: ‘이탈리아 파시스트 제국’ 선포
6. 무솔리니의 20년 집권②: 히틀러의 등장과 제2차 세계대전
1) 무솔리니와 히틀러/ 2) 제2차 세계대전①_독일의 소련 침공/ 3) 제2차 세계대전②_일본의 진주만 기습
7. 무솔리니의 20년 집권③: 이탈리아 내전(內戰)
제2장 박정희
1. 박정희의 부활: “박정희는 우리가 밥 굶지 않게 해 줬다.”
2. 박정희의 변신①: 교사 → 만주군
3. 박정희의 변신②: 만주군 → 해방 후 광복군 → 남조선경비대원
4. 박정희의 변신③: 남조선경비대원 → 공산주의자
5. 박정희의 변신④: 공산주의자 → 극우 반공주의자
제3장 박정희의 쿠데타와 18년 집권
1. 제1차 쿠데타 미수: 1952년 5월, 이승만 제거 미수
2. 제2차 쿠데타 미수: 1960년 5월 8일, 이승만 제거 미수
3. 제3차 쿠데타 미수: 1961년 4월 19일, 장면 제거 미수
4. 제4차 쿠데타 미수: 1961년 5월 12일, 장면 제거 미수
5. 5·16 쿠데타: 1961년 5월 16일, 장면 제거 성공
1) 5·16 쿠데타 성공/ 2) 제3공화국 약사(略史): 1961~1970년/
6. ‘유신(維新)’ 쿠데타: 1972년 10월 17일, 오직 한 사람을 위한 날
1) 1971년의 대한민국_(1) 1971년 4월: 교련 철폐 시위와 언론 화형식/ (2) 1971년 4월 27일: 제7대 대통령 선거/ (3) 1971년 8월 10일: 광주대단지(廣州大團地) 사건/ (4) 1971년 10월 15일: 위수령 발동
2) 유신(維新) 전사(前史): 1971년 10~12월_(1) 학생 세력 소탕: 강제 징집과 ‘서울대생 내란음모 사건’/ (2) 1971년 12월 6일: 유신 쿠데타 전주곡 ‘국가비상사태’ 선포
3) 유신(維新) 쿠데타: 1972년 10월 17일_(1) 공작명 ‘풍년사업’/ (2) 유신 쿠데타, 오직 한 사람을 위한 야만 시대의 시작/ (3) 수적천석(水滴穿石),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 이세규라는 물방울 이야기

제2부 박정희와 한일회담

제1장 박정희 군정(軍政)_1961.5.16.~1963.12.16.
1. 5·16 쿠데타와 미국 그리고 일본
1) ‘혁명공약’과 ‘빨갱이 만들기’/ 2) 케네디와 박정희/ 3) 케네디와 이케다 하야토/ 4) 기시 노부스케, 스기 미치스케 그리고 박정희/ 5) 박정희의 일본 방문: “요시다 쇼인을 존경합니다”/ 6) 박정희의 미국 방문: “대한민국은 언론의 자유를 향유하고 있음을 선언한다”
2. 5·16 쿠데타와 군정
1) 절대 권력기관 중앙정보부_(1) “권력이란 부패하기 쉽고, 절대 권력은 절대 부패한다”/ (2) “집은 구했어·”/ (3) ‘부패’와 ‘억압’의 총본산 중앙정보부
2) 정치자금 ‘만들어 쓰기’_(1) 중앙정보부와 4대 의혹 사건/ (2) 4대 의혹 사건①: 증권파동 사건/ (3) 4대 의혹 사건②: 워커힐 사건/ (4) 4대 의혹 사건③: 새나라자동차 사건/ (5) 4대 의혹 사건④: 파친코 사건
3) 일본 정치자금 ‘받아 쓰기’_(1) CIA 『특별보고서』: ‘6천 6백만 달러’ 또는 어림잡아 ‘37조 원’/ (2) ‘민정 이양(民政移讓)’과 혁명공약 ‘제6항’의 변조 및 삭제/ (3) 민주공화당의 전신 ‘재건동지회’/ (4) 박정희의 번의(·意) 쇼: 2·18 성명→2·27 선서→3·16 성명→4·8 성명
4) 박정희, 김종필 그리고 일본_(1) 김종필-오히라 메모/ (2) 박정희와 기시 노부스케 인맥
3. 제5대 대통령 선거
1) 윤보선은 왜 패배했는가_(1) 박정희의 ‘민족적 민주주의’/ (2) 윤보선의 ‘사상논쟁’/ (3) 중앙정보부장 김형욱의 선거 공작/ (4) ‘YTP’ 공격, ‘청사회’의 활약
2) YTP의 정체: KKP → MTP → YTP_(1) ‘KKP’와 윤재욱, 이범석, 조경규: 1960년 8월 6일~1961년 5·16 쿠데타/ (2) MTP와 박정희, 박창암, 이용택, 김종필: 1961년 5·16 쿠데타 이후~1963년 7월 24일/ (3) 민주공화당 청년조직, 청사회=YTP
제2장 한일회담과 6·3 항쟁
1. 군정기(軍政期)의 학생운동
1) 한미행정협정 체결 촉구 시위(1962.6.6.~6.9.)
2) 자유수호 궐기대회(1963.3.29.)와 군정 연장 반대 시위(1963.4.19.)
2. 6·3 세대는 누구인가
3. 학생운동의 동력(動力): 이념 서클_1) 서울대의 민족주의비교연구회(민비연)/ 2) 고려대의 민족사상연구회(민사회)와 민주정치사상연구회(민정회)/ 3) 연세대학교의 한국문제연구회(한연회)
4. 6·3 항쟁①: 한일회담 반대운동(1964.3.24.~4.23.)
1) 1964년 3월의 학생운동(1964.3.24.~28.)_(1) 한일회담 반대 투쟁의 봉화가 오르다: 1964년 3월 24일/ (2) 학생데모 전국으로 파급: 1964년 3월 25~28일
2) 박정희 정권의 부정부패와 학원 공작_(1) “박정희 정권은 일본으로부터 1억 3천만 달러를 받았다”: 김준연 의원 폭로 / (2) 국(國)·공유지(公有地) 부정 불하 사건: 만주국과 박정희 그리고 황종률/ (3) 김형욱 중앙정보부의 학원 공작①: 학원 사찰/ (4) 김형욱 중앙정보부의 학원 공작②: 괴소포 사건과 YTP의 재등장
3) 1964년 4월의 학생운동(1964.4.17.~23.)_(1) 4·19혁명 4주년과 학생시위/ (2) 「학원사찰 및 학원분열에 대한 보고서」 작성/ (3) 학원사찰 성토대회
5. 6·3 항쟁②: 박정희 정권 퇴진운동(1964.5.20.~6.3.)
1) 민족적 민주주의 장례식(1964.5.20.)/ 2) ‘무장군인 법원 난입 사건’과 ‘송철원 린치 사건’(1964.5.21.)/3) ‘난국타개 학생총궐기대회’(1964.5.25.~26.)와 집단 단식농성(1964.5.30.)/ 4) “주관적인 애국충정은 객관적인 망국행위임을 직시하고 박 정권은 하야하라”(1964. 6.2.)
6. 6·3 항쟁③: 비상계엄(1964.6.3.~7.29.)
1) 1964년 6월 3일_(1) 학생시위와 비상계엄 선포/ (2) 이윤식(李允植)의 죽음/ (3) 「현 시국에 관한 대통령 특별교서(特別敎書)」
2) 1964년의 구속 학생 명단 및 재판과정

제3부 박정희와 한일협정

제1장 한일협정 조인 반대 운동_1965년 2월 18일~6월 22일
1. 1965년 1월: 다카스기 신이치(高杉晉一)의 망언(1월 7일)
2. 1965년 2월: 시나(椎名) 외상의 방한(2월 17일)과 한일기본조약 가조인(2월 20일)
3. 1965년 3월: ‘3·24 제2선언문’과 ‘격문(檄文)’ 작성
4. 1965년 4월: 한일협정 가조인 무효투쟁
1) 3대 현안(懸案) 요강(要綱) 가조인(4월 3일), 평화선과 학생데모/ 2) 서울법대 시위(4월 10일)와 동국대생 김중배 사망(4월 15일)
5. 1965년 5~6월: 한일협정 조인 반대 투쟁_1) 박정희의 방미(5월 16일)와 한일협정 조인(6월 22일)
제2장 한일협정 비준 반대 및 무효화 운동_1965년 6월 23일~8월 14일 이후
1. 1965년 6~7월: 한일협정 비준 반대 투쟁①_1) 여대생과 의대생도 투쟁에 나서다/ 2) 고등학생도 투쟁에 나서다
2. 1965년 7~8월: 한일협정 비준 반대투쟁②_1) 한비연 결성과 비준 반대 투쟁(7월 13일~8월 13일)
3. 1965년 8월: 한일협정 무효화 투쟁과 위수령 발동_1) 한일협정 비준(8월 14일)과 학생들의 성토·시위(8월 15~25일)/ 2) 무장군인 고려대 난입(8월 25일)과 위수령 발동(8월 26일)/ 3) 무장군인 재차 난입(8월 26일)과 학원방위 총궐기대회(8월 27일)
4. 1965년 9월: 6·3 항쟁의 종언_1) 서울대 상대 ‘군화 화형식’과 고려대 ‘학원방위총궐기대회’(9월 6일)/ 2) 민족주의비교연구회(민비연) 해체(9월 11일)와 2차 민비연 사건(9월 15일)
·자료: 민비연 사건 공소장
제3장 한일협정의 문제점
1. 한일병합과 일본_1) ‘유효정당론’, ‘유효부당론’, ‘무효부당론’/ 2) 샌프란시스코 대일강화조약과 독도
2. 한일협정, 무엇이 문제였나_1) 한일회담과 한일협정/ 2) 한일협정의 문제점①: 기본조약의 문제점/ 3) 한일협정의 문제점②: 재산청구권·경제협력 협정의 문제점
3. 한일협정, 한국 그리고 일본: 박정희의 ‘승부 조작’과 일본의 ‘먹칠’

책을 마치며

참고문헌
인명 색인
Author
송철원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건국대학교 교수, 대한교과서(주) 상임고문, (주)에듀티브이 회장을 역임했다. 지금은 (사)현대사기록연구원 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건국대학교 교수, 대한교과서(주) 상임고문, (주)에듀티브이 회장을 역임했다. 지금은 (사)현대사기록연구원 원장으로 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