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경제지 만학지 1

$37.95
SKU
979118980160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4/03
Pages/Weight/Size 152*225*35mm
ISBN 9791189801601
Categories 인문 > 인문/교양
Description
일생을 바쳐 남긴 풍석 서유구의 저술, 『임원경제지』

『임원경제지』는 조선 후기 실학자 풍석 서유구 선생이 우리의 전통문화와 생활지식을 16분야로 나누어 집대성한 백과사전이다. 서유구는 관념에 치우친 유학자들의 학문적 태도에서 벗어나 사람살이의 기본인 ‘건실하게 먹고 입고 사는 문제’를 풀고자 민중의 생활상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조선·중국·일본의 서적들을 풍부하게 참조하여 이 거작을 저술하였다.
Contents
서문
《만학지》 해제
《만학지》 서문

만학지 권제1

총서(總敍)
1. 심기 種栽
1) 심는 시기 時候
2) 종자 보관하는 법 藏種法
3) 씨로 심는 법 子種法
4) 옮겨 심는 법 移栽法
5) 분근법(分根法, 뿌리 나누어 심는 법) 分根法
6) 압조법(壓條法, 휘묻이법) 壓條法
7) 탈지법(脫枝法, 가지를 옮겨 심는 법) 脫枝法
8) 천삽법(?揷法, 꺾꽂이) ?揷法

2. 접붙이기 接換
1) 총론 總論
2) 신접법(身接法) 身接法
3) 근접법(根接法) 根接法
4) 피접법(皮接法) 皮接法
5) 지접법(枝接法) 枝接法
6) 엽접법(?接法, 눈접법) ?接法
7) 탑접법(搭接法) 搭接法
8) 과접법(過接法) 過接法
9) 행접법(行接法) 行接法
10) 꽃나무 접붙이는 법[接花膠法, 접화교법] 接花膠法
11) 먼 곳에서 접지를 취해 오는 법 遠地取接枝法

3. 물주기와 거름주기 ?壅
1) 물 주는 법 灌?法
2) 북주는 법 培壅法
4. 관리 葺理
1) 가지 치는 법(박수법) 剝樹法
2) 가지 비트는 법(열지법) ?枝法
3) 원뿌리 제거법(거종근법) 去宗根法
4) 나무거세법(선수법) ?樹法
5) 김매는 법(서예법) 鋤?法

5. 보호하기 護養
1) 나무에 뜸 뜨는 법(구수법) 灸樹法
2) 나무 시집보내는 법 嫁樹法
3) 과일나무 대전법(代田法)(대과법) 代果法
4) 새와 벌레 물리치는 법(벽금충법) ?禽蟲法
5) 치료법과 푸닥거리법(의양법) 醫禳法
6) 주의사항 宜忌
7) 바람 막는 법(어풍법) 禦風法
8) 서리 막는 법(거상법) 拒霜法
9) 과수원 울타리 만드는 법(작원리법) 作園籬法
10) 부록 울타리 만드는 나무의 종류 附 作籬諸品

6. 거두기 收採
1) 과일 따는 법(적과법) 摘果法
2) 나무 베는 법 伐木法
3) 과일 저장하는 법(장과법) 藏果法

만학지 권제2

과일류 菓類
1. 자두나무[李, 이] 李
2. 살구나무[杏, 행] 杏
3. 매실나무[梅, 매] 梅
4. 복숭아나무[桃, 도] 桃
5. 밤나무[栗, 율] 栗
6. 대추나무[棗, 조 棗
7. 배나무[梨, 이 梨
8. 팥배나무[棠梨, 당리 棠梨
9. 내(柰 재래종사과 柰
10. 사과나무[?果, 빈과개량종사과] ?果
11. 능금나무[林檎, 임금 林檎
12. 감나무[? 시 ?
13. 고욤나무[君遷子, 군천자] 君遷子
14. 번시(蕃? 蕃?
15. 석류나무[安石榴, 안석류] 安石榴
16. 앵두나무[櫻桃, 앵도] 櫻桃
17. 모과나무[木瓜, 목과] 木瓜
18. 산사나무[山? 산사] 山?
19. 은행나무[銀杏, 은행] 銀杏
20. 호두나무[胡桃, 호도] 胡桃
21. 개암나무[榛, 진] 榛
22. 잣나무[海松子, 해송자] 海松子
23. 참나무류[橡, 상] 橡
24. 산초나무[蜀椒, 촉초] 蜀椒
25. 후추나무[胡椒, 호초] 胡椒
26. 수유나무[食茱萸, 식수유] 食茱萸
27. 귤나무[橘, 귤] 橘
28. 홍귤나무[柑, 감] 柑
29. 유자나무[柚, 유] 柚
30. 비자나무[榧子, 비자] 榧子
31. 무화과나무[無花果, 무화과] 無花果
32. 부록 산과 들의 과일나무 附 山野菓品

권제3 풀열매류

풀열매류(라류) ?類
1. 참외[?瓜, 첨과 ?瓜
2. 수박[西瓜, 서과 【부록 북과(北瓜)】 西瓜【附 北瓜】
3. 포도나무[葡萄, 포도 葡萄
4. 머루나무[山葡萄, 산포도 山葡萄
5. 다래나무[??桃, 미후도 ??桃
6. 오미자나무[五味子, 오미자 五味子
7. 복분자나무[覆盆子] 覆盆子
8. 마[薯?, 서여 薯?
9. 고구마[甘藷, 감저] 甘藷
10. 연밥[蓮子, 연자] 蓮子
11. 마름[菱, 능]
12. 가시연[? 검] ?
13. 올방개[烏芋, 오우] 烏芋
14. 소귀나물[慈姑, 자고] 慈姑
Author
서유구,임원경제연구소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이며 본관은 대구이다. 대제학 보만재 서명응의 손자이며, 이조판서 서호수의 아들이다. 영조1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초계문신으로 발탁된 후 좌부승지, 성균관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을 거쳐 사헌부대사헌, 예문관대제학,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가 늦은 나이에 전라도관찰사, 수원부 유수를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경화세족 가문에서 태어나 다양한 학문을 깊이 있게 연구했으며,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가학을 이어 특히 농학(農學)에 큰 업적을 남겼다. 가문의 개방적인 학문 기풍과 방대한 장서의 열람, 뛰어난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방면에 식견과 경험을 쌓았다. 젊은 시절 정조의 치세 때에는 규장각에서 많은 편찬 사업에 참여했고, 방폐기간 동안의 여러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로 성장했다.
서유구가 지은 16개의 주제를 지(志)로 하여, 113권으로 구성된《임원경제지》는 농업, 목축, 어업, 양잠, 상업 등의 생산 전반과 의학, 음식, 주거, 선비가 알아야 할 일상 실용지식 등의 생활 전반을 담은 방대한 양의 생활 백과전서이다.

그 밖의 저술로는 정조의 명으로 조선에서 출판한 도서의 목판을 조사한《누판고》와, 전라도관찰사로 재직할 때는 기민을 구제하기 위해 고구마 재배법을 기록한 《종저보》를 간행하였다. 이 밖에도 개인 문집으로 《풍석고협집》, 《금화지비집》, 《번계시고》, 《금화경독기》와 전라도관찰사와 수원유수시절의 업무일지인 《완영일록》과 《화영일록》이 전한다.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이며 본관은 대구이다. 대제학 보만재 서명응의 손자이며, 이조판서 서호수의 아들이다. 영조1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초계문신으로 발탁된 후 좌부승지, 성균관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을 거쳐 사헌부대사헌, 예문관대제학,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가 늦은 나이에 전라도관찰사, 수원부 유수를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경화세족 가문에서 태어나 다양한 학문을 깊이 있게 연구했으며,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가학을 이어 특히 농학(農學)에 큰 업적을 남겼다. 가문의 개방적인 학문 기풍과 방대한 장서의 열람, 뛰어난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방면에 식견과 경험을 쌓았다. 젊은 시절 정조의 치세 때에는 규장각에서 많은 편찬 사업에 참여했고, 방폐기간 동안의 여러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로 성장했다.
서유구가 지은 16개의 주제를 지(志)로 하여, 113권으로 구성된《임원경제지》는 농업, 목축, 어업, 양잠, 상업 등의 생산 전반과 의학, 음식, 주거, 선비가 알아야 할 일상 실용지식 등의 생활 전반을 담은 방대한 양의 생활 백과전서이다.

그 밖의 저술로는 정조의 명으로 조선에서 출판한 도서의 목판을 조사한《누판고》와, 전라도관찰사로 재직할 때는 기민을 구제하기 위해 고구마 재배법을 기록한 《종저보》를 간행하였다. 이 밖에도 개인 문집으로 《풍석고협집》, 《금화지비집》, 《번계시고》, 《금화경독기》와 전라도관찰사와 수원유수시절의 업무일지인 《완영일록》과 《화영일록》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