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내부감사학Ⅰ(이론편)에서는 다음 사항을 强化하였다.
첫째, 감사제도 부문
주요내용은 ① 한국감사제도의 연혁, ② 감사의 특징, ③ 감사의 필요성, ④ 내부감사와 유사용어, ⑤ 내부감사의 효율성 원칙, ⑥ 경영조언자로서의 내부감사인, ⑦ 재산수호자로서의 내부감사인, ⑧ 조직이 내부감사인에게 기대하는 역할 등이다.
둘째, 지배구조 부문
주요내용은 ① 지배구조에 대한 검증절차, ② 지배구조에 대한 검증방법, ③지배구조 책무에 대한 내부감사기능 ④ 지배구조 프로세스에 대한 내부감사기능 등이다.
셋째, 위험관리 부문
주요내용은 ① 리스크관리의 치명적 결함, ② ERM(전사적 리스크관리)의 실익, ③ ERM의 실패 이유, ④ ERM의 구성요소, ⑤ ERM의 구축, ⑥ ERM에 있어서 조직의 역할과 책무, ⑦ ERM에 있어서 내부감사 조직의 역할 등이다.
넷째, 내부통제, 감사조직 및 분식회계 부문
주요내용은 ① 내부통제의 세부 주요 수단, ② 「신외감법」상 내부회계관리제도, ③ 공공 기관의 내부통제제도, ④ 공공기관의 감사제도, ⑤ 공공기관의 감사보조조직, ⑥ 분식회계의 대책 및 근절 방안, ⑦ 회계감사인의 의무 등이다.
다섯째, 4차 산업혁명 위험성 부문
주요내용은 ① 4차 산업혁명의 일반적 특징, ②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스마트 팩토리, 사물인터넷, 3D 프린팅, 자율 주행차, 빅데이터, 인공지능(AI)], ③ 4차 산업혁명의 파급 효과, ④ 4차 산업혁명의 위험과 대응, ⑤ 4차 산업혁명과 내부감사의 역할 등이다.
여섯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 부문
주요 내용은 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개요, ② 기업 사회적 책임의 종류, ③ 기업 사회적 책임의 찬반, ④ 기업 사회적 책임의 동향, ⑤ 기업 사회적 책임의 주요내용, ⑥ 기업 사회적 책임의 상호관계, ⑦ 기업 사회적 책임의 내부통제, ⑧ 기업 사회적 책임에 대한 경영진 및 감사의 역할 등이다.
아무쪼록 지난 저의 著書에서 부족한 부분과 監査現場에서 이슈가 된 사항을 이번 「내부 감사학」 Ⅰ, Ⅱ, Ⅲ에서는 감사현장에서 바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대폭 강화하였는바, 기업의 내부감사 종사자인 감사/감사위원, 감사보조자 등은 물론 내부감사의 정책 당국자 및 감독 당국자 그리고 이해관계자인 기업의 경영진, 지배주주, 채권자 등 내부감사 관계자 모두에게 많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내부감사는 형식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기업질서의 유지와 조직가치의 증진 및 개선에 있다. 잘못된 것을 찾아내서 구체적으로 제재하기 보다는 ‘이건 이렇게 하는 것이다’고 지도 또는 기준을 제시해 줌으로써 모든 사람이 따라 하게 하는 것이다. 그게 비용이 적게 든다. 누군가를 위반하게 해서 제재하는 것보다, 모두 위반하지 않게 하는 것이 최선이다. 필자는 본 책자가 이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Ⅱ. 감사제도의 형태 37
1. 영미식의 일원적 구조 37
2. 독일식의 이원적 구조 38
3. 한일식의 병립적 구조 39
Ⅲ. 감사제도의 변천 40
1. 의용「상법」상 감사제도 40
2. 제정「상법」상 감사제도 40
3. 1984년 개정「상법」 41
4. 1995년 개정「상법」 41
5. 1999년 개정「상법」 42
6. 「(구)증권거래법」상 감사 관련 제도 42
7. IMF 이후 개정 「상법」 43
8. 「신외감법」상 감사 관련 제도 44
9. 2020년 개정「상법」 45
제2절 감사제도의 본질 46
Ⅰ. 주식회사와 감사제도 46
Ⅱ. 기관구조와 감사제도 47
1. 기관구조의 의의 47
2. 기관구성의 논리 48
3. 의사결정의 논리 53
Ⅲ. 기업지배구조와 감사제도 54
1. 기업지배구조의 일반 54
2. 기업지배구조의 이론과 유형 58
3. 그간 우리나라의 기업지배구조 개선 63
4. 기업지배구조 측면에서 본 감사제도 68
Ⅳ. 이사회와 감사제도 69
1. 이사회의 기능변화 69
2. 감사위원회제도의 출현 70
3. 집행임원제도의 도입 72
4. 외국제도와의 차이점과 대응방안 77
Ⅵ. 경영감시의 수행기관 84
1. 내부 경영감시의 수행기관 84
2. 외부 경영감시의 수행기관 84
3. 주변 경영감시의 수행기관 84
제2장 내부감사의 개요 85
제1절 내부감사의 의의 85
Ⅰ. 내부감사의 정의 85
1. IIA의 내부감사 정의 85
2. 국내의 내부감사 정의 89
Ⅱ. 내부감사의 개념 혼란 90
1. 외국의 내부감사 90
2. 우리의 내부감사 90
Ⅲ. 내부감사의 개념 정립 91
Ⅳ. 내부감사와 유사한 용어 92
1. 검사 92
2. 조사 92
3. 진단 92
4. 감정 93
제2절 내부감사의 목적과 종류 93
Ⅰ. 내부감사의 목적 93
Ⅱ. 내부감사의 종류 94
1. 내부감사 수행기능에 따른 분류 94
2. 내부감사 수행형태에 따른 분류 95
3. 내부감사 수행방법에 따른 분류 96
4. 내부감사 수행형식에 따른 분류 96
제3절 내부감사의 역할과 기능 96
Ⅰ. 내부감사의 역할 97
1. 경영진에 대한 견제 역할 97
2. 회사 운영의 적법성 확보 97
3. 회사 경영의 투명성 제고 97
4. 회사 자산의 건전성 확보 97
5. 위험 관리의 유효성 확보 97
6. 부정 관리의 유효성 확보 97
7. 회사 문화의 조정자 역할 97
Ⅱ. 내부감사의 기능 99
1. 회사의 원활한 목표달성을 촉진 99
2. 내부통제 시스템의 효율성 촉진 99
3. 위험관리 시스템의 적정성 촉진 99
4. 부정관리 시스템의 적정성 촉진 99
5. 정보시스템 운영의 안전성 촉진 99
6. 경영진 경영활동의 합리성 촉진 99
7. 조직체 업무운영의 효율화 촉진 100
제4절 내부감사의 운영 및 행동 100
Ⅰ. 내부감사의 운영원칙 100
1. 지속성 원칙 100
2. 독립성 원칙 100
3. 명료성 원칙 101
4. 공정성 원칙 101
5. 전문성 원칙 102
제1절 주변 감사 환경의 변화 114
Ⅰ. 기업의 리스크 환경 변화 114
1. 위험 전파의 신속화 114
2. 위험 크기의 거대화 114
3. 잠재적 위험은 예측과 측정 곤란 115
4. 다양한 위험의 모형화 통제 곤란 116
Ⅱ. 이해관계자의 이익보호 요구 증대 117
1. ?감사의 역할도 최근에 수요자 중심의
고객만족으로 전환 추세 117
2. ?감사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이해관계
자의 이익보호 요구 확대 117
Ⅲ.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 증가 117
1. ?기업목표인 이윤추구와 윤리경영을
동시에 중요시하는 시대 117
2. ?기업의 비재무적 평가와 사회적 책임을
중요시하는 시대 118
Ⅳ. 최고위층의 감사측면 마인드의 증가 118
1. 위기관리와 대응계획 119
2. 부정 방지 와 윤리 의식 119
3. 각종 규제 및 정책 준수 119
4. 소셜미디어 전략 및 정책 120
5. 전문인재 인사 및 관리 120
6. 신생기술 이해 및 습득 120
7. 내부통제 구축 및 운영 121
8. 전사적 리스크 관리 121
9. 글로벌 리스크 관리 121
제2절 내부감사의 패러다임 변화 122
Ⅰ.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는 감사제도 및
감사역할 요구 122
1. 외국자본의 국내 지분 보유 강화에 따른
감사 마인드와 역할의 국제화 122
2. 기업의 글로벌화 및 시장개방 가속화에 따른
감사 관련 제도의 국제화 122
Ⅱ. 감사인의 전사적인 시각의 통찰력과 전문성 요구 122
1. 감사는 경영진과 함께
기업 전체를 보는 시각 필요 122
2. 경영환경 변화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통찰력 보유 123
3. 비즈니스 수행 역량과
전문 산업지식 보유 및 배양 123
Ⅲ. 전사적인 관점의 「리스크 중심 감사」로 전환 123
1. 경영진의 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리스크」인식에 대한 검증 및 지원 123
2. 경영진의 「전사적 통합 리스크 관리체제」
구축에 대한 검증 및 개선 123
Ⅳ. 감사는 장기적으로 기업가치 증진에 기여 123
1. 업무프로세스 및 자가진단의
지원 감사로 변화 123
2. 위험관리 및 경영진단 중심의
경영감사로 전환 123
Ⅴ. 내부감사의 고객에 대한 서비스 강화 124
1. 내부감사인의 열린 생각과 자세의 변화 124
2. 내부감사인의 고객 중심으로 사고 전환 124
3. 감사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이익 보호 124
제3절 내부감사 업무의 진화 124
Ⅰ. 내부감사 업무의 변화 124
Ⅱ. 내부감사 방법의 변화 124
Ⅲ. 내부감사 비중의 변화 125
Ⅳ. 내부감사인 자격의 변화 125
제4절 주요국의 감사제도 126
Ⅰ. 개 요 126
Ⅱ. 미국의 감사제도 127
1. 미국 감사제도의 개요 127
2. 미국 감사제도의 法源 128
3. 미국 감사제도의 특징 130
4. 미국 감사제도의 주요 내용 132
Ⅲ. 독일의 감사제도 134
1. 독일 감사제도의 개요 134
2. 독일 감사제도의 특징 135
3. 독일 감사제도의 주요 내용 136
Ⅳ. 일본의 감사제도 140
1. 일본 감사제도의 개요 140
2. 일본 감사제도의 특징 141
3. 일본 감사제도의 주요 내용 142
제4장 내부감사의 대상 148
제1절 내부감사 대상의 개요 148
제2절 지배구조 149
Ⅰ. 지배구조의 역사 150
Ⅱ. 지배구조의 정의 150
Ⅲ. 지배구조의 역할과 책무 152
1. 이사회 152
2. 경영진 154
3. 리스크 오너 156
Ⅳ. 지배구조에 대한 검증활동 157
1. 개요 157
2. 지배구조에 대한 검증절차 158
3. 지배구조에 대한 검증방법 158
4. 지배구조 책무에 대한 내부감사기능 161
5. 지배구조 프로세스에 대한 내부감사 기능 161
Ⅸ. 효과적인 부정관리체제 구축 방안 376
1. 정직과 높은 수준의 윤리 문화 377
2. 부정위험에 대한 저감노력 강화 378
3. 부정위험에 대한 대응능력 강화 378
4. 「통합 GRC 체제」의 도입 추진 385
제5장 내부감사의 범위 388
제1절 내부감사의 일반적 범위 388
Ⅰ. 내부감사 범위의 개요 388
Ⅱ. 이사 직무집행의 범위 388
1. 이사 직무집행의 업무 범위 388
2. 이사 직무집행의 인적 범위 389
Ⅲ. 회계감사와 업무감사 389
Ⅳ. 적법성감사와 타당성감사 390
1. 감사 범위 개요 390
2. 감사 범위에 관한 학설 391
3. 감사 범위에 관련한 문제 395
제2절 내부감사의 자회사 범위 397
Ⅰ. 모회사와 자회사 감사 개요 397
Ⅱ. 모회사와 자회사 감사 구분 397
Ⅲ. 모회사와 자회사 감사 한계 397
제3절 감사와 경영감시기관과의 관계 398
Ⅰ. 현황 398
Ⅱ. 내부감시기관과 조직 399
1. 이사회 399
2. 준법감시인 404
3. 준법지원인 406
4. 내부회계관리자 409
Ⅲ. 외부감시기관과 조직 411
1. 주주총회 411
2. 단독주주 및 소수주주 412
3. 외부감사인 415
4. 검사인 419
Ⅳ. 맺는말 420
제6장 내부감사 조직 및 보조 조직 422
제1절 내부감사 조직의 개요 422
제2절 내부감사 조직의 형태 423
Ⅰ. 현황 423
Ⅱ. 내부 감사기관 종류 423
1. 독임제감사제도 423
가. 기존일반감사제도
나. 기존공공감사제도
다. 특례상근감사제도
라. 금융상근감사제도
2. 감사위원회제도 430
가. 감사위원회제도 개요
나. 일반감사위원회제도
다. 특례감사위원회제도
라. 금융감사위원회제도
마. 공공감사위원회제도
3. 임의선택 감사제도 437
Ⅲ. 각 내부감사제도의 장·단점 437
1. 독임제감사제도/
이원적 구조 감사제도의 장·단점 437
2. 감사위원회제도/
일원적 구조 감사제도의 장·단점 438
Ⅳ. 내부감사제도 간의 상호 보완 438
1. 감사위원회제도/ 일원적 구조 감사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보완 438
2. 독임제감사제도/ 이원적 구조 감사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보완 439
Ⅴ. 내부감사제도의 선택적 운영 문제 440
Ⅵ. 맺는말 442
1. 내부감사제도의 보완성 442
2. 내부감사제도의 유연화 443
3. 내부감사회제도의 도입 443
제3절 감사보조조직 443
Ⅰ. 현황 443
Ⅱ. 감사보조조직의 필요성 444
Ⅲ. 감사보조조직에 관한 법적 문제점 445
Ⅳ. 감사보조조직의 일반적인 형태 446
1. 감사직속의 독자적인 보조조직을 두는 형태 446
2. 경영진 소속의 내부통제부서를 활용하는 형태 446
3. 회사 외부의 감사전문가를 활용하는 형태 447
Ⅴ. 감사보조조직에 관한 외국 입법례 447
1. 감사보조조직에 관한 일본의 입법례 447
2. 감사보조조직에 관한 미국의 입법례 448
제1절 내부감사 아웃소싱의 개요 553
Ⅰ. 내부감사 아웃소싱의 의의 553
Ⅱ. 일반적인 아웃소싱의 역사 553
Ⅲ. 내부감사 아웃소싱의 필요성 554
제2절 내부감사 아웃소싱의 대상 및 종류 555
Ⅰ. 내부감사 아웃소싱의 대상 555
Ⅱ. 내부감사 아웃소싱의 종류 556
1. 감사업무 일부 아웃소싱 556
2. 감사업무 전부 아웃소싱 556
제3절 내부감사 아웃소싱의 장·단점 558
제4절 내부감사 아웃소싱 계약 시 고려사항 558
1. 서비스 제공자의 능력 558
2. 서비스 제공자의 독립성과 객관성 559
3. 서비스 제공자의 관리·감독 560
4. 의사소통과 서비스의 문서화 562
5. 서비스 수행결과의 평가 562
6. 비상시의 대책 563
제9장 내부감사 관련 주요 이슈 565
제1절 내부감사 조직의 독립성 565
Ⅰ. 현황 565
Ⅱ. 내부감사 조직의 독립성 566
Ⅲ. 내부감사 조직의 독립성 관련 문제점 566
1. 감사후보 추천과 관련된 문제점 567
2. 감사 선임·해임과 관련된 문제점 567
3. 감사 보수 결정과 관련된 문제점 568
4. 감사부문 예산과 관련된 문제점 569
5. 감사관련 규정개폐와 관련된 문제점 570
6. 감사보조조직과 관련된 문제점 570
7. 감사부서의 감사보고 라인 관련된 문제점 571
Ⅳ. 문제점 해결 방안 572
1. 감사후보 추천절차의 개선 572
2. 감사 선임 및 해임 관련 방법의 적정화 573
3. 감사 보수 결정 관련 방법의 적정화 573
4. 감사규정 및 예산에 관한 권한의 명확화 574
5. 감사보조조직의 설치 및 운영의 적정화 574
6. 감사부서의 감사결과 보고라인의 합리화 576
제2절 내부감사 조직의 전문성 576
Ⅰ. 현황 577
Ⅱ. 내부감사 조직의 전문성 문제 577
1. 내부감사조직 사전적 전문성 문제 577
2. 내부감사조직 사후적 전문성 문제 578
3. 내부감사보조조직 관련 전문성 문제 580
4. 감사제도에 맞는
국가공인 전문자격증제도 부재 580
Ⅲ. 문제점 해결 방안 581
1. 내부감사조직의 적극적 자격요건
강화 및 확대 581
2. 내부감사조직의 사후적 전문성 강화 583
3. 내부감사보조조직의 전문성 강화 584
4. 국가공인 내부감사사제도의 도입 585
제3절 내부감사 상근의 필요성 586
Ⅰ. 현황 586
Ⅱ. 상근감사의 의의 586
Ⅲ. 외국의 입법 및 운용 사례 587
1. 미국 587
2. 일본 588
제4절 내부감사 환경의 열악성 596
Ⅰ. 현황 596
Ⅱ. 내부감사 환경의 열악성 문제 596
1. 내부감사가 비생산적 조직이라는 인식 문제 596
2. 낙하산 또는 임직원 순환 배치식
감사의 선임 문제 597
3. 감사 수행 결과 평가 및
인센티브 제공 부재 문제 597
Ⅲ. 문제점 해결 방안 598
1. 지배주주 및 경영진의
내부감사에 대한 인식 전환 598
2. 감사 또는 감사위원 선임의
객관성 및 독립성 확보 598
3. 감사의 낙하산 방지를 위한
「기업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의 제정 599
4. 감사수행에 대한 평가시스템 구축 및
인센티브 제공 600
5. 지배주주 및 경영진의
인재활용에 대한 리더쉽 제고 600
Ⅳ. 분식회계의 사례 629
Ⅴ. 분식회계의 대책 632
1. 분식회계 관련자에 대한 제재 강화 632
2. 분식회계 관련 회사 및 감사인에 대한
과징금 제도 도입 634
3. 부실감사 회계법인 대표이사 등에 대한
제재 근거 신설 634
4. 회계감사기준 위반 등에 대한 조치 정비 635
5. 회계법인에 대한 보고의무 강화 635
6. 회계처리기준 위반에 대한
감사/감사위원회의 처리절차 강화 635
7. 상장법인 등에 대한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 도입 635
8. 외부감사인 지정 사유의 확대 635
9. 외부감사인 선임 절차의 독립성 강화 635
10. 회사의 재무제표 대리 작성 요구 등 금지 635
11. 유한회사에 대한 외부감사 도입 636
12. 기타 법규 및 제도 개선 사항 636
Ⅶ. 분식회계의 근절방안 649
1. 의식구조의 변화 650
2. 운영측면의 개선 650
3. 감독측면의 개선 653
제6절 4차 산업혁명의 위험성 655
Ⅰ. 4차 산업혁명의 개요 655
Ⅱ. 4차 산업혁명의 일반적 특징 656
1. 4차 산업혁명의 특성 656
2. 4차 산업혁명의 영향 656
3. 4차 산업혁명의 전망 658
Ⅲ.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 658
1.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659
2.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660
3. 3D 프린팅(3D Printing) 660
4. 자율주행차(SelfDriving Car) 661
5. 빅데이터(Big Data) 662
6.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662
Ⅳ. 4차 산업혁명의 파급 효과 663
1. 경제적 측면 664
2. 사업적 측면 664
3. 국가적 및 세계적 측면 665
4. 사회적 및 개인적 측면 665
Ⅴ. 4차 산업혁명의 위험과 대응 666
1. 인공지능 블랙박스 관리 666
2. 자동화를 위한 거버넌스 및 제어 전환 667
3. 변환하는 사이버 보안위험으로부터 보호 668
4. 무기화되는 잘못된 정보에 대처 668
5. 가치창출을 위한 데이터 리스크 관리 669
6. 초연결시대의 조직 회복탄력성 강화 670
7. 이머징 기술에 대한 규제 변화 탐색 670
8. 조직문화 리스크 관리를 통한
디지털 변환 실행 671
9. 디지털 책임 및 윤리성 확보 672
Ⅵ. 4차 산업혁명과 내부감사의 역할 672
1. 3차 방어선으로서의 내부감사 673
2. 리스크 스피드에 맞춘 내부감사 674
3. 빅데이터를 활용한 내부감사 674
4. 사물인터넷과 내부감사 676
5. 사이버 리스크와 내부감사 676
제7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 677
Ⅰ. 기업 사회적 책임의 개요 677
1. 기업 사회적 책임의 정의 677
2. 기업 사회적 책임의 필요성 678
Ⅱ. 기업 사회적 책임의 종류 679
1.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679
2. CSV(Creating Shared Value) 680
3.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680
Ⅲ. 기업 사회적 책임의 찬반 681
1. 기업 사회적 책임에 대한 찬성론 681
2. 기업 사회적 책임에 대한 부정론 682
3. 검토 의견 683
Ⅳ. 기업 사회적 책임의 동향 685
1.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의 동향 685
2. CSV(Creating Shared Value)의 동향 686
3.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의 동향 687
Ⅴ. 기업 사회적 책임의 주요 내용 688
1.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의 주요 내용 688
2. CSV(Creating Shared Value)의 주요 내용 690
3.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의
주요내용 692
Ⅵ. 기업 사회적 책임의 상호관계 695
1. CSR과 CSV의 상호관계 695
2. CSR과 ESG의 상호관계 696
3. ESG 성과와 재무적 성과의 관계 697
Ⅶ. 기업 사회적 책임의 내부통제 697
1. 개요 697
2. 기업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 내부통제 698
3. 기업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 결론 699
Ⅷ. 기업 사회적 책임에 대한 경영진 및 감사의 역할 699
1. 이사회 및 경영진의 역할 699
2. 감사위원회 및 감사의 역할 701
Author
김용범
한국은행 과장
은행감독원 선임검사역
금융감독원 수석검사역, 팀장
″ IT업무실 실장
″ 검사국 국장
대구은행 상근감사위원
DGB 캐피탈, 비상근감사
건양사이버대학교 겸임교수
고려신용정보 감사 및 감사위원장
고려신용정보 고문
상장회사감사회 부회장 겸 운영위원
[ 수 상 ]
한국은행 총재표창 2회
은행감독원 원장표창 3회
재정경제부 장관표창
감사 대상(기관, 금융감독원장 표창) 수상
자랑스러운 감사인상(감사원장 표창) 수상
[ 자 격 증 ]
Audit Master (최고감사인) 취득
[주요 저서]
현대 내부감사
내부감사학 강의
한국은행 과장
은행감독원 선임검사역
금융감독원 수석검사역, 팀장
″ IT업무실 실장
″ 검사국 국장
대구은행 상근감사위원
DGB 캐피탈, 비상근감사
건양사이버대학교 겸임교수
고려신용정보 감사 및 감사위원장
고려신용정보 고문
상장회사감사회 부회장 겸 운영위원
[ 수 상 ]
한국은행 총재표창 2회
은행감독원 원장표창 3회
재정경제부 장관표창
감사 대상(기관, 금융감독원장 표창) 수상
자랑스러운 감사인상(감사원장 표창)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