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마상가니 1

법의 갈무리
$32.40
SKU
978899174331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9 - Tue 06/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4 - Tue 05/2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05/13
Pages/Weight/Size 155*233*35mm
ISBN 9788991743311
Categories 종교 > 불교
Contents
역자 서문
1. 들어가는 말
2. 부처님은 법을 강조하셨다
3.법(dhamma)이란 무엇인가
⑴ 경장의 주석서에 의한 설명
⑵ 논장의 주석서에 의한 설명
4. 아비담마란 무엇인가
⑴ 무비법[無比法]과 대법[對法]
⑵ 아비담마에 대한『담마상가니 주석서』의 설명
5. 왜 아비담마는 무비법(無比法, 수승한 법)인가
⑴ 아비담마는 전체적으로 설하셨기 때문이다
⑵ 아비담마는 심오하기 때문이다
⑶ 무엇보다도 아비담마는 비방편설이기 때문이다
⑷ 아비담마를 지나치게 강조하면 법을 비하하는 것이 아닌가
6. 아비담마는 부처님의 직설이다
⑴ 율장을 통한 증거
⑵ 경장을 통한 증거
⑶ 직설이라면 왜 경장과 논장은 전개가 다른가
7. 아비담마는 언제 체계화하셨는가
⑴ 아비담마는 성도 후 네 번째 칠 일에 명상하신 것이다
⑵ 아비담마는 일곱 번째 안거 때 신들에게 설하신 것이다
8. 아비담마의 기원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들
⑴ 띳사부띠 장로의 설명
⑵ 수마나데와 장로의 설명
⑶ 아비담마의 기원에 대한 17가지 질문과 답변
⑷ 또 다른 방법에 의한 아비담마의 기원
9. 아비담마는 누가 인간들에게 전하였는가
⑴ 사리뿟따 존자가 인간들에게 전하였다
⑵ 신들은 있는가
10. 부처님의 일대시교(一代時敎)와 논장의 칠론
⑴ 부처님의 일대시교 - 삼장
⑵ 아비담마 삐따까(논장)는 칠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⑶『까타왓투』(논사)는 부처님 직설이 아니지 않은가
⑷ 아비담마 칠론의 주석서는 세 가지로 구성된다
11.『담마상가니』란 무엇인가
⑴ ‘담마상가니(dhammasa?ga?i)’의 문자적인 뜻
⑵ 상가니(갈무리)는 상가하(길라잡이)이다
⑶ 어떻게 법을 갈무리하였나
⑷『담마상가니』의 구성
⑸『담마상가니』는 마띠까의 설명이다
12.『담마상가니』를 통해서 본 아비담마의 특징
⑴ 아비담마의 관심은 개념적 존재가 아니라 오직 법이다
⑵ 법(dhamma)은 해체했을 때 드러난다
⑶ 법(dhamma)이야말로 진정한 현장성이다
⑷ 아비담마는 방법(naya)이다
⑸ 논장의 칠론은 법의 고유성질[自性]을 논하지 않는다
⑹『담마상가니』는 전문가들을 위한 것이다
13. 맺는말

『담마상가니』제1권 해제
1. 들어가는 말
2.『담마상가니』제1권의 구성
3.『담마상가니』마띠까
⑴ 마띠까란 무엇인가
⑵ 마띠까의 용례
① 마띠까를 호지하는 자(m?tik?dhara)
② 마띠까는 물길[水路]이다
③ 논의의 주제는 모두 마띠까라 부른다
⑶『담마상가니』마띠까의 구성
①『담마상가니』마띠까의 개관
②『담마상가니』마띠까에 대한 주석서의 설명
③『담마상가니』두 개 조 마띠까에 대한 개관
④ 두 개 조 마띠까에 담긴 10가지 모둠의 특징
⑤ 대립구조로 구성된 두 개 조 마띠까
⑷『담마상가니』마띠까 요약
4.『담마상가니』제1편의 구성
⑴ 마음이란 무엇인가
⑵ 89가지 마음 전체에 대한 개관
⑶ 업은 89가지 마음을 이해하는 키워드가 된다
⑷ 89가지 마음과 이와 관계된 마음부수법들을 분류하는 방법
⒜ 법들을 정의하는 부문(§§1~57)
⒝ 항목의 부문(§§58~120)
⒞ 공함의 부문(§§121~145)
⑸ 유위법은 모두 조건 따라 일어난 것[緣而生]이다
⑹ 제1편 마음의 일어남 편의 요약
5.『담마상가니』제1편에 나타나는 마음은 몇 개인가
⑴ 제1품 유익한 마음(§§1~364)
① 제1장 욕계의 유익한 마음(§§1~159)
② 제2장 색계의 유익한 마음(§§160~264)
③ 제3장 무색계의 유익한 마음(§§265~268)
④ 제4장 삼계의 유익한 마음(§§269~276)
⑤ 제5장 출세간의 유익한 마음(§§277~364)
⑵ 제2품 열두 가지 해로운 마음(§§365~430)
⑶ 제3품 결정할 수 없는[無記] 법들(§§431~582)
⒜ 제1장 과보로 나타난 결정할 수 없는[無記] 마음(§§431~565)
⒝ 제2장 작용만 하는 결정할 수 없는[無記] 마음(§§566~582)
6. 맺는말 159

『담마상가니』마띠까[論母]
I. 세 개 조 마띠까(ma3-1~22)
II. 두 개 조 마띠까(ma2-1~142)
⑴ 원인의 모둠(ma2-1~6)
⑵ 틈새에 있는 짧은 두 개 조(ma2-7~13)
⑶ 번뇌의 모둠(ma2-14~19)
⑷ 족쇄의 모둠(ma2-20~25)
⑸ 매듭의 모둠(ma2-26~31)
⑹ 폭류의 모둠(ma2-32~37)
⑺ 속박의 모둠(ma2-38~43)
⑻ 장애의 모둠(ma2-44~49)
⑼ 집착[固守]의 모둠(ma2-50~54)
⑽ 틈새에 있는 긴 두 개 조(ma2-55~68)
⑾ 취착의 모둠(ma2-69~74)
⑿ 오염원의 모둠(ma2-75~82)
⒀ 마지막 두 개 조(ma2-83~100)
⒁ 경장의 두 개 조 마띠까(ma2-101~142)

제1편 마음의 일어남 편(§§1~582)
제1품 유익한 마음(§§1~364)
제1장 욕계의 유익한 마음(§§1~159)
I. 첫 번째 마음(§§1~145)
⑴ 법들을 정의하는 부문 - 용어의 분류(§§1?57)
⒜ 법의 개요에 관한 부문(§1)
⒝ 법의 해설에 관한 부문(§§2~57)
⑵ 항목의 부문(§§58~120)
⒜ 개요(§58)
⒝ 해설(§§59~120)
⑶ 공함의 부문(§§121~145)
⒜ 개요(§121)
⒝ 해설(§§122~145)
II. 두 번째 마음(§146)
III. 세 번째 마음(§§147~148)
IV. 네 번째 마음(§149)
V. 다섯 번째 마음(§§150~155)
VI. 여섯 번째 마음(§156)
VII. 일곱 번째 마음(§§157~158)
VIII. 여덟 번째 마음(§159)

제2장 색계의 유익한 마음(§§160~264)
I. 여덟 가지 까시나(§§160~203)
1. 땅의 까시나(§§160~202)
⑴ 4종禪의 방법(§§160~166)
⑵ 5종禪의 방법(§§167~175)
⑶ 네 가지 도닦음(§§176~180)
⑷ 네 가지 대상(§§181~185)
⑸ 열여섯 번의 결합(§§186~202)
2. 여덟 가지 까시나 [가운데 남은 일곱 가지]와
열여섯 번의 결합(§203)
II. 여덟 가지 지배의 경지[勝處](§§204~247)
1. 제한된 물질들(§§204~222)
⑴ 4종禪의 초선(初禪)(§204)
⑵ 4종禪의 나머지와 5종禪(§205)
⑶ 네 가지 도닦음(§§206~210)
⑷ 두 가지 대상(§§211~213)
⑸ 여덟 번의 결합(§§214~222)
2. 제한되었고 좋은 색깔이나 나쁜 색깔을 가진 물질들
― 이것 역시 여덟 번의 결합(§223)
⑴ 4종禪의 초선(初禪)(§223)
⑵ 4종禪의 나머지와 5종禪(§224)
3. 무량한 물질들(§§225~243)
⑴ 4종禪의 초선(§225)
⑵ 4종禪의 나머지와 5종禪(§226)
⑶ 네 가지 도닦음(§§227~231)
⑷ 두 가지 대상(§§232~234)
⑸ 또 다른 여덟 번의 결합(§§235~243)
4. 무량하고 좋은 색깔이나 나쁜 색깔을 가진 물질들
― 이것 역시 여덟 번의 결합(§§244~245)
⑴ 4종선의 초선(§244)
⑵ 4종禪의 나머지와 5종禪(§245)
5. 푸른 색깔의 물질들(§246)
6~8. 노란 색깔 등의 물질들(§247)
III. 세 가지 해탈 ― 열여섯 번의 결합(§§248~250)
1. 첫 번째(§248)
2. 두 번째(§249)
3. 세 번째(§250)
IV. 네 가지 거룩한 마음가짐의 禪 ― 열여섯 번의 결합(§§251~262)
1. 자애[慈](§§251~257)
⑴ 4종禪의 방법(§§251~253)
⑵ 5종禪의 방법(§§254~257)
2. 연민[悲](§§258~259)
3. 함께 기뻐함[喜](§§260~261)
4. 평온[捨](§262)
V. 열 가지 부정(不淨)의 禪 ― 열여섯 번의 결합(§§263~264)

제3장 무색계의 유익한 마음(§§265~268)
네 가지 무색계禪 ― 열여섯 번의 결합(§§265~268)
1. 공무변처(§265)396
2. 식무변처(§266)399
3. 무소유처(§267)400
4. 비상비비상처(§268)401

제4장 삼계의 유익한 마음(§§269~276)
1. 욕계의 유익한 마음(§§269~270)
2. 색계의 유익한 마음(§§271~272)
3. 무색계의 유익한 마음(§§273~276)

제5장 출세간의 유익한 마음(§§277~364)
I. 첫 번째 도 ― 스무 가지 큰 방법(§§277~360)
1. 禪(§§277~356)
⑴ [네 가지] 순수한 도닦음(§§277~342)
⒜ 4종禪의 초선(§§277~341)
① 도닦음도 어렵고 초월지도 느린 초선(§§277~338)
②~④ 도닦음은 어려우나 초월지는 빠른 초선 등(§§339~341)
⒝ 4종禪의 나머지와 5종禪(§342)
⑵ 공함[空性](§§343~344)
① 4종선의 초선(§343)
② 4종禪의 나머지와 5종禪(§344)
⑶ 공함에 뿌리박은 도닦음(§§345~349)
⑷ 원함 없음[無願](§§350~351)
① 4종선의 초선(§350)
② 4종禪의 나머지와 5종禪(§351)
⑸ 원함 없음[無願]에 뿌리박은 도닦음(§§352~356)
2~20. 스무 가지 [가운데 남은 열아홉 가지] 큰 방법(§357)
지배를 가짐(§§358~360)
II. 두 번째 도(§361)
III. 세 번째 도(§362)
IV. 네 번째 도(§§363~364)

제2품 열두 가지 해로운 마음(ma3-1-b, §§365~430)
I. 첫 번째 해로운 마음(§§365~398)
⒜ 법의 개요에 관한 부문(§365)
⒝ 법의 해설에 관한 부문(§§366~398)
II. 두 번째 [해로운 마음](§399)
III. 세 번째 [해로운 마음](§§400~401)
IV. 네 번째 [해로운 마음](§402)
V. 다섯 번째 [해로운 마음](§§403~408)
VI. 여섯 번째 [해로운 마음](§409)
VII. 일곱 번째 [해로운 마음](§§410~411)
VIII. 여덟 번째 [해로운 마음](§412)
IX. 아홉 번째 [해로운 마음](§§413~420)
X. 열 번째 [해로운 마음](§421)
XI. 열한 번째 [해로운 마음](§§422~426)
XII. 열두 번째 [해로운 마음](§§427~430)

제3품 결정할 수 없는[無記] 법들(ma3-1-c, §§431~582)
제1장 과보로 나타난 결정할 수 없는[無記] 마음(§§431~565)
1. 유익한 과보로 나타난 결정할 수 없는 마음(§§431~555)
⑴ 욕계 과보의 마음(§§431~498)
① 유익한 과보로 나타난 다섯 가지 알음알이들(§§431~454)
ⓐ 눈의 알음알이(§§431~442)
ⓑ 귀의 알음알이부터 몸의 알음알이까지(§§443~454)
② 유익한 과보로 나타난 마노의 요소(§§455~468)
③ 유익한 과보로 나타난 마노의 알음알이의 요소(§§469~497)
ⓐ 기쁨이 함께하는 경우(§§469~483)
ⓑ 평온이 함께하는 경우(§§484~497)
④ 여덟 가지 과보로 나타난 큰마음(§498)
⑵ 색계 과보의 마음(§§499~500) 1
① 4종선의 초선(§499)
② 4종禪의 나머지와 5종禪(§500)
⑶ 무색계 과보의 마음(§§501~504) 2
⑷ 출세간의 과보의 마음(§§505~555)
I. 첫 번째 도의 과보로 나타난 마음 ― 스무 가지 큰 방법(§§505~552)
⑴ 출세간禪(§§505~527) 535
① [네 가지] 순수한 도닦음(§§505~509)
② 순수한 공함(§§510~513)
③ 공함과 도닦음(§§514~518)
④ 순수한 원함 없음(§§519~522)
⑤ 원함 없음과 도닦음(§§523~527)
⑵~? 스무 가지 [가운데 남은 열아홉 가지] 큰 방법(§528)
지배를 가짐(§§529~552) 553
⑴ 열의의 지배를 가진 출세간禪(§§529~551)
① 열의의 지배를 가진 순수한 도닦음(§§529~533)
② 열의의 지배를 가진 순수한 공함(§§534~537)
③ 열의의 지배를 가진 공함과 도닦음(§§538~542)
④ 열의의 지배를 가진 순수한 원함 없음(§§543~546)
⑤ 열의의 지배를 가진 원함 없음과 도닦음(§§547~551)
⑵~? 스무 가지 [가운데 남은 열아홉 가지] 큰 방법(§552)
나머지 세 가지 지배를 가짐(§552)
II~IV. 두 번째 도부터 네 번째 도의 과보로 나타난 마음(§§553~555)
2. 해로운 과보로 나타난 결정할 수 없는 마음(§§556~565)
① 해로운 과보로 나타난 다섯 가지 알음알이들[前五識](§§556~561)
② 해로운 과보로 나타난 마노의 요소(§§562~563)
③ 해로운 과보로 나타난 마노의 알음알이의 요소(§§564~565)

제2장 작용만 하는 결정할 수 없는[無記] 마음(§§566~582)
1. 욕계의 작용만 하는 마음(§§566~576)
⑴ 원인 없는 작용만 하는 마음(§§566~575)
① 작용만 하는 마노의 요소(§§566~567)
② 기쁨이 함께하는 작용만 하는 마노의 알음알이의 요소(§§568~573)
③ 평온이 함께하는 작용만 하는 마노의 알음알이의 요소(§§574~575)
⑵ 원인을 가진 욕계의 작용만 하는 마음(§576)
2. 색계의 작용만 하는 마음(§§577~578)
3. 무색계의 작용만 하는 마음(§§579~582)

부록 - VRI(Be)본과 PTS(Ee)본의 문단 번호 대조표
Author
각묵 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