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중국 고대 문화에 관한 거의 모든 분야에서 필수적인 자료로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는 간백자료(죽간, 목간, 백서)의 출토 현황 및 연구방법론, 형태론, 내용, 의의 등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에서 이 분야를 학문적으로 체계화하고 그 전체상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집필된 책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고대 중국의 사회상에 대해서도 면밀하게 검토하한다. 상장간이라 일컬어지는 죽간의 내용을 통해 고대의 상례와 장례의 모습을 그려 보고, 사법 관련 문서간이나 복서제도간을 통해 당시의 사법제도나 종교의식까지도 밝혀낸다. 이를 통해 간백자료가 단순히 사상사적 접근에만 유용한 것이 아니라 고대문화 전반의 재구성을 가능케 해 주는 것임을 알 수 있다.
Contents
서문
서장: 간백 연구 서설
제1절 20·21세기의 간백자료
1. 변경유적의 간백과 종이
2. 무덤에서 출토된 간백
1) 초간 및 초백서
2) 진간
3) 한간
4) 삼국·위진간
5) 기타
3. 우물터에서 출토된 간독
제2절 간백자료의 연구 방법
1. 본문 확정
2. 내용 고찰
제3절 중국 고고유형학의 방법론상의 문제
제4절 소결
제1장 간백 발견의 역사
제1절 문헌에 보이는 간백 발견의 사례
제2절 학술사적 시각에서 본 진시황의 분서갱유와 함양궁 방화사건
제3절 복벽서와 공벽서: 적통 논쟁
1. 복벽서
2. 하간헌왕서
3. 공벽서
제4절 무덤에서 출토된 근대 이전의 최초의 간독, 급총서
제5절 소결: 20세기 초의 간백 발견
제2장 특수한 서사재료와 보편적인 서사재료
제1절 특수한 서사재료
1. 갑골과 갑골문
2. 청동기와 금문
제2절 보편적인 서사재료: 죽간, 목간, 백서
제3절 죽간의 제작 방법과 용도 및 기능
제4절 목간의 형태와 용도 및 기능
1. 수신자 기입용, 봉함용 목간(檢)
2. 꼬리표, 운송표, 푯말(?·箋)
3. 격서, 격문(檄)
4. 다면체 목간(?)
5. 부절, 부신(符)
6. 명함(謁)
7. 신분증, 여권(傳)
제5절 소결
제3장 백서
제1절 사막에서 발견된 백서
1. 편지
2. 꼬리표·운송표
3. 기타
제2절 자탄고초백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백서
1. 도굴된 초백서와 해외 유출 경위
1) 제1기: 모색기
2) 제2기: 과학적 발굴 및 검증기
2. 형태론적 관점에서 본 초백서
제3절 마왕퇴한묘 백서: 중국 고대 문헌의 보고
1. 마왕퇴한묘의 고고학적 고찰
2. 형태론적 관점에서 본 마왕퇴백서
제4절 소결
제4장 간독의 치수와 내용의 관계
제1절 간독의 치수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제2절 전국 및 진한시대 서적간의 치수: 문사철 관련 서적
1. 전래문헌에 보이는 서적의 치수
2. 전국시대 서적간의 치수
3. 진한시대 서적간의 치수
제3절 전국 및 진한시대 서적간의 치수: 실용 서적
1. 전국시대 실용 서적의 치수
2. 진한시대 실용 서적의 치수
제4절 전국 및 진한시대 견책간의 치수
1. 전국시대 견책간의 치수
2. 진한시대 견책간의 치수
제5절 전국 및 진한시대 율령간의 치수
1. 전래문헌에 보이는 율령의 치수
2. 전국시대 율령간의 치수
3. 진한시대 율령간의 치수
제6절 소결
제5장 초간의 종류
제1절 20세기 이래 발견된 초간의 종류
1. 1950년대
1) 1951년: 오리패초간(호남성 장사시)
2) 1953년: 앙천호초간(호남성 장사시)
3) 1954년: 양가만초간(호남성 장사시)
4) 1957년: 신양장대관초간(하남성 신양시)
2. 1960년대
1) 1965년: 망산 1호 초묘죽간(호북성 강릉현)
2) 1966년: 망산 2호 초묘죽간(호북성 강릉현)
3. 1970년대
1) 1973년: 등점초간(호북성 강릉현)
2) 1978년: 증후을묘죽간(호북성 수현)
3) 1978년: 천성관 1호 초묘죽간(호북성 강릉현)
4) 1980년: 구리초간(호남성 임례현)
4. 1980년대
1) 1981년: 구점초간(호북성 강릉현)
2) 1983년: 상덕석양파초간(호남성 상덕시)
3) 1986년: 포산초간(호북성 형문시)
4) 1986년: 진가취초간(호북성 강릉현)
5) 1987년: 자리초간(호남성 자리현)
6) 1990년: 계공산 48호묘 초간(호북성 강릉현)
5. 1990년대
1) 1992년: 노하구초간(호북성 노하구)
2) 1992년: 조가강초간(호북성 황강시)
3) 1992년: 강릉전와창초간(호북성 강릉현)
4) 1993년: 범가파초간(호북성 강릉현)
5) 1993년: 곽점초간(호북성 형문시)
6) 1994년: 상박초간(홍콩 골동품 시장)
7) 1994년: 신채갈릉초간(하남성 신채현)
6. 2000년대
1) 2008년: 청화간(기증)
제2절 소결
제6장 초간: 상장간
제1절 상장간의 정의
제2절 20세기 이후 상장간의 출현
제3절 초간별 상장간의 기재 형식과 내용
1. 조가강초간
2. 오리패초간
3. 앙천호초간
4. 망산초간
5. 포산초간
6. 신양장대관초간
제4절 증후을묘에서 출토된 상장간
1. 증후을묘간의 기재 형식과 내용
2. 다양한 차량의 명칭
3. 증후을묘간에 보이는 관명과 초나라와의 관계
제5절 독봉·독서·독견
제6절 소결
제7장 초간: 사법 관련 문서간
제1절 포산초간 문서간의 구성과 내용
제2절 포산초간을 통해서 본 전국시대 초나라의 소송절차와 특징: 음후지 소송안건
제3절 전국시대 초나라의 사법제도와 통치체제
제4절 소결
제8장 초간: 복서제도간
제1절 복서제도간의 정의
제2절 복서제도간의 체재와 죽간의 배열순서
제3절 복서제도간의 내용과 특징
1. 전사
2. 명사
3. 괘획
4. 제1차 점사
5. 도사
6. 제2차 점사
제4절 복서제도간을 통해서 본 전국시대 초 지역의 종교관
제5절 소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