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춘추 1/2

$16.10
SKU
978894970897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12/12 - Wed 12/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Wed 12/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5/01/02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49708973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오와 월, 그 치열한 전설적 쟁투

《오월춘추》 전반 5권은 오나라 역사를 싣고 있다. 1권은 주나라 시조 후직(后稷) 설화로부터 오태백(吳太伯)이 남으로 내려와 오나라를 세운 과정이며, 2권은 그로부터 19대 이후 수몽(壽夢)에 이르러 나라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한 내용, 3권은 왕료(王僚)와 공자(公子) 광(光)을 거치면서 권력투쟁과 오자서(伍子胥)의 등장 및 계찰(季札)의 덕행, 4권은 합려(闔廬, 闔閭)의 등단으로 인한 오나라의 발전 및 오자서와 백비(伯?)의 갈등, 5권은 부차(夫差)에 이르러 월왕 구천(勾踐)과의 투쟁 및 오나라의 멸망까지를 다루고 있다.

후반 5권은 월나라 역사이다. 6권은 우(禹)임금의 후손 하(夏)나라 소강(少康)의 서자 무여(無余, 無餘)가 등장하여 나라 면모를 갖추기 시작한 내용, 7권은 구천이 오나라에 입신(入臣)하여 고생한 이야기, 8권은 구천이 귀국하여 오나라에 대한 보복을 위해 절치부심하는 내용, 9권은 오나라를 치기 위한 온갖 음모를 꾸미면서 범려(范?), 문종(文種)과 계책을 세우는 내용, 10권은 오나라를 벌하여 승리를 거두고 나서 범려의 도피, 그리고 월나라의 쇠락 등을 기록하고 있다.

Contents
책머리에

일러두기

해제

1.《오월춘추》의 찬자撰者 문제

2. 趙曄

3.《吳越春秋》의 流轉과 板本

4.《吳越春秋》의 注釋

5.《吳越春秋》의 내용



134 오월춘추1/2



卷第一 吳太伯傳

001(1-1) 오(吳)나라의 먼 조상 태백(太伯)

002(1-2) 후직(后稷)에서 경절(慶節)까지

003(1-3) 고공단보(古公亶甫)

004(1-4) 고공단보의 세 아들

005(1-5) 구오(句吳)라는 명칭

006(1-6) 고공(古公)을 태왕(太王)으로

007(1-7) 태백으로부터 수몽(壽夢)까지



卷第二 吳王壽夢傳

008(2-1) 천자를 찾아간 수몽

009(2-2) 초(楚)나라와의 전투

010(2-3) 자반을 패배시킴

011(2-4) 초나라의 침입

012(2-5) 무신(巫臣)의 아들을 상국(相國)으로

013(2-6) 수몽의 네 아들

014(2-7) 연릉계자(延陵季子)

015(2-8) 초나라의 재차 침입

016(2-9) 간계(乾谿) 전투

017(2-10) 왕위를 양보한 계찰(季札)



卷第三 王僚使公子光傳

018(3-1) 공자(公子) 광(光)

019(3-2) 오자서(伍子胥)의 선조 오거(伍擧)

020(3-3) 태자(太子) 건(建)의 아내가 될 진(秦)나라 공주

021(3-4) 비무기(費無忌)의 참언

022(3-5) 오사(伍奢)의 두 아들

023(3-6) 아버지의 부름

024(3-7) 망명길에 오른 오자서(伍子胥)

025(3-8) 오자서(伍子胥)와 신포서(申包胥)

026(3-9) 태자 건(建)의 죽음

027(3-10) 태자 건의 아들 백공(白公) 승(勝)

028(3-11) 강가의 어부

029(3-12) 어부의 자결

030(3-13) 빨래터의 처녀

031(3-14) 공자(公子) 광(光)과 오자서

032(3-15) 용사 전저(專諸)

033(3-16) 전저(專諸)의 생선구이

034(3-17) 태자 건의 어머니

035(3-18) 누에치는 처녀들

036(3-19) 초(楚) 평왕(平王)의 죽음

037(3-20) 찬탈의 기회

038(3-21) 생선 속의 비수

039(3-22) 다시 양보한 계찰(季札)



卷第四 闔閭內傳

040(4-1) 오왕 합려(闔閭)

041(4-2) 축성의 규모

042(4-3) 간장(干將)과 막야(莫耶)

043(4-4) 금구(金鉤)라는 무기

044(4-5) 오나라로 망명 온 백희(白喜)

045(4-6) 하상가(河上歌)

046(4-7) 경기(慶忌)에 대한 두려움

047(4-8) 요리(要離)라는 인물

048(4-9) 경기(慶忌)를 처단한 요리(要離)

049(4-10) 손자(孫子)

050(4-11) 총희(寵姬)의 목을 친 손자

051(4-12) 드디어 초나라 정벌

052(4-13) 민심을 수습하는 길

053(4-14) 오왕의 딸 등옥(?玉)

054(4-15) 담로검(湛盧劍)

055(4-16) 자기(子期)와 자상(子常)

056(4-17) 취리(?李) 전투

057(4-18) 보복전

058(4-19) 신임을 잃은 초나라

059(4-20) 당(唐)?채(蔡) 두 나라의 도움

060(4-21) 자상(子常)의 잘못

061(4-22) 합려의 아우 부개(夫?)

062(4-23) 공주를 업고 건넌 인연

063(4-24) 부관참시(剖棺斬屍) 당한 초(楚) 평왕(平王)의 묘

064(4-25) 옛 어부의 아들

065(4-26) 신포서(申包胥)의 충정(忠情)

066(4-27) 오월항쟁(吳越抗爭)의 시작

067(4-28) 진(秦)나라의 초(楚)나라 구원

068(4-29) 당(唐)나라부터 멸망

069(4-30) 당계(堂溪)로 달아난 부개(夫?)

070(4-31) 풀밭에 버려진 해골

071(4-32) 궁겁곡(窮劫曲)

072(4-33) 그리운 옛 처녀

073(4-34) 처음 생선회를 만든 오왕

074(4-35) 파태자(波太子)의 아내 제(齊)나라 공주

075(4-36) 파태자(波太子)의 아들 부차(夫差)

076(4-37) 태자 결정



卷第五 夫差內傳

077(5-1) 제(齊)나라 공략

078(5-2) 뱃속의 병

079(5-3) 사신으로 나선 자공(子貢)

080(5-4) 자공(子貢)의 제(齊)나라 유세

081(5-5) 오왕(吳王)을 만나 자공(子貢)

082(5-6) 월왕(越王)을 만난 자공

083(5-7) 다시 오나라에 온 자공

084(5-8) 진(晉) 정공(定公)을 만난 자공

085(5-9) 불길한 꿈

086(5-10) 왕손락(王孫駱)과 공손성(公孫聖)

087(5-11) 처참한 죽음으로 대신한 꿈 해몽

088(5-12) 오자서의 간언

089(5-13) 간언을 무시한 오왕

090(5-14) 오자서와 피리(被離)

091(5-15) 애릉(艾陵) 전투

092(5-16) 내 눈을 빼어

093(5-17) 오왕 눈에 보이는 헛것

094(5-18) 축하와 저주의 노래가 동시에

095(5-19) 장차 그대에게도 재앙이

096(5-20) 오자서의 자결

097(5-21) 왕손락(王孫駱)의 간언

098(5-22) 당랑포선(螳螂捕蟬)

099(5-23) 고서대(姑胥臺)를 불태우고

100(5-24) 드디어 패자가 된 부차(夫差)

101(5-25) 황지(黃池)로 날아든 급보

102(5-26) 오나라의 참패

103(5-27) 길 가의 참외

104(5-28) 오왕 부차의 최후





135 오월춘추2/2



卷第六 越王無余外傳

105(6-1) 월나라 선군(先君) 무여(無余)

106(6-2) 옛날 요(堯)임금 시절

107(6-3) ≪산해경(山海經)≫

108(6-4) 도산가(陶山歌)

109(6-5) 우(禹)의 치수사업

110(6-6) 요(堯)임금의 칭찬

111(6-7) 사도(司徒)에 올라

112(7-8) 순(舜)임금의 뒤를 이어

113(6-9) 모임에 늦은 방풍씨(防風氏)

114(6-10) 회계산(會稽山)에 묻힌 우임금

115(6-11) 백익(伯益)과 계(啓)

116(6-12) 우(禹)의 제사를 담당한 무여(無余)

117(6-13) 끊어진 제사와 무임(無壬)

118(6-14) 원상(元常)의 중흥



卷第七 句踐入臣外傳

119(7-1) 월왕 구천(句踐)

120(7-2) 하늘의 역수(曆數)

121(7-3) 선군(先君)의 치욕

122(7-4) 곤액(困厄)을 당한 뒤에야 강해지는 법

123(7-5) 오나라에 입신(入臣)하기 전의 당부

124(7-6) 남아 있는 신하들의 임무

125(7-7) 이별의 노래

126(7-8) 석실(石室)에 갇힌 연금생활

127(7-9) 범려(范?)의 지조

128(7-10) 독비곤(犢鼻?)

129(7-11) 태재(太宰) 백비(伯?)

130(7-12) 불길한 점괘

131(7-13) 오자서(伍子胥)의 극간(極諫)

132(7-14) 오왕 부차(夫差)의 병

133(7-15) 직접 대변을 맛보며

134(7-16) 굴종(屈從)을 참고 견디며

135(7-17) 구밀복검(口蜜腹劍)

136(7-18) 드디어 풀려난 구천

137(7-19) 귀국의 기쁨



卷第八 句踐歸國外傳

138(8-1) 7년만의 귀환

139(8-2) 오나라가 봉해준 땅

140(8-3) 도성(都城)부터 정비

141(8-4) 복철후계(覆轍後戒)

142(8-5) 와신상담(臥薪嘗膽)

143(8-6) 갈포(葛布)

144(8-7) 형벌을 완화하고 세금을 줄이고

145(8-8) 오래 엎드린 새 높이 날리라



卷第九 句踐陰謀外傳

146(9-1) 부유해진 나라

147(9-2) 얻기는 쉬우나 부리기는 어렵도다

148(9-3) 계예(計■(石+兒))의 일갈(一喝)

149(9-4) 강태공(姜太公)과 관중(管仲)의 예

150(9-5) 구술(九術)

151(9-6) 제일술(第一術)

152(9-7) 제이술(第二術)

153(9-8) 오로지 복수심

154(9-9) 서시(西施)와 정단(鄭旦)

155(9-10) 적곡(?穀)

156(9-11) 증미(蒸米)

157(9-12) 처녀시검(處女試劍)

158(9-13) 처녀의 검술

159(9-14) 노(弩)의 명수 진음(陳音)

160(9-15) 노(弩)의 사용법

161(9-16) 진음산(陳音山)



卷第十 句踐伐吳外傳

162(10-1) 천기(天氣)의 응험

163(10-2) 부형들의 간청

164(10-3) 출정(出征) 결단

165(10-4) 격려와 위로

166(10-5) 부차는 황지(黃池)에

167(10-6) 태자를 죽이고

168(10-7) 신포서(申包胥)의 조언

169(10-8) 대부들의 임무와 결의

170(10-9) 엄한 군법(軍法)

171(10-10) 부인과의 약속

172(10-11) 대부들과의 약속

173(10-12) 군법을 어긴 자

174(10-13) 취리(?李)로 이동

175(10-14) 향와식례(向?軾禮)

176(10-15) 함매(銜枚)를 물고

177(10-16) 오자서(伍子胥)의 머리

178(10-17) 부차의 최후

179(10-18) 패자에 오른 월왕

180(10-19) 소녀지도(素女之道)

181(10-20) 다른 욕심을 품은 구천

182(10-21) 토사구팽(兎死狗烹)

183(10-22) 사라진 범려(范?)

184(10-23) 범려(范?)의 소상(塑像)

185(10-24) 멀어져 가는 대부들

186(10-25) 문종(文種)의 운명

187(10-26) 저승에서나 만날 운명

188(10-27) 문종(文種)의 최후

189(10-28) 공자(孔子)가 찾아간 월왕

190(10-29) 조상의 묘

191(10-30) 그래도 패자

192(10-31) 노(魯)나라 삼환(三桓)

193(10-32) 구천(句踐)의 죽음

194(10-33) 그 후의 월나라

195(10-34) 월나라 세계(世系)



부록

Ⅰ ≪吳越春秋≫ 佚文

Ⅱ 序跋 등 관련 자료

1. <吳越春秋序> ……………………………… 元, 徐天祜

2. <重刊吳越春秋序> ………………………… 明, 錢福

3. <四庫全書總目> …………………………… 淸, 永瑢(等)

4. <吳越春秋跋> ……………………………… 徐乃昌(節錄)

5. <四庫提要辨證> …………………………… 余嘉錫

6. <古今僞書考補證> ………………………… 黃雲眉

7. <四庫全書總目提要> ……………………… 紀?(等)

Ⅲ ≪後漢書≫(儒林傳 下) 趙曄傳

Ⅳ ≪史記≫ 중 ≪吳越春秋≫ 관련 世家?列傳

1. <吳太伯世家>

2. <越王句踐世家>

3. <伍子胥列傳>

Ⅴ ≪國語≫ 중 ≪吳越春秋≫ 관련 부분

1. <吳語>

2. <越語>(上下)

Ⅵ ≪十八史略≫ 관련 부분

Author
조엽,임동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