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학 개론

$39.69
SKU
979119240441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 - Thu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30 - Thu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2/24
Pages/Weight/Size 152*223*35mm
ISBN 9791192404417
Categories 종교 > 불교
Contents

머리말 _8
第一章 佛敎의 意義
Ⅰ. 불교(佛敎)의 정의(定義) _20
Ⅱ. 불교(佛敎)의 목적(目的) _24
1. 상구보리(上求菩提) _25
2. 하화중생(下化衆生) _28

[육바라밀(六波羅蜜)]
1. 보시바라밀(布施波羅蜜) 2. 지계바라밀(持戒波羅蜜)
3. 인욕바라밀(忍辱波羅蜜) 4. 정진바라밀(精進波羅蜜)
5. 선정바라밀(禪定波羅蜜) 6.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

第二章 佛敎의 歷史
第一. 佛敎 以前時代 _40
1. 佛敎以前의 印度 2. 佛陀時代의 思想

第二. 根本佛敎 _47
1. 불타(佛陀)의 생애 _47
2. 근본교리(根本敎理) _52
(1) 사성제(四聖諦) (2) 중도(中道)와 무기(無記) (3) 무아(無我), 무상(無常)
(4) 오온(五蘊) (5) 법(法)과 연기(緣起) (6) 십이연기(十二緣起) |
(7) 삼법인설(三法印說)

第三. 部派佛敎(小乘佛敎) _68
1. 부파불교(部派佛敎)의 성립 _68
2. 불전(佛典)의 결집(結集) _75
3. 부파불교(部派佛敎)의 교리 _77
(1) 다르마와 아비다르마
(2) 승의유(勝義有)와 세속유(世俗有)
(3)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
(4) 유루법(有漏法)과 무루법(無漏法)
(5) 5위 75법

第四. 大乘佛敎 _81
Ⅰ. 大乘佛敎의 胎動 _81
1. 대승(大乘)과 소승(小乘)의 뜻 2. 대승불교의 기원
Ⅱ. 大乘佛敎의 발전 _86
Ⅲ. 大乘佛敎 경전(經典) _86

第三章 大乘佛敎의 思想
第一. 보살사상(菩薩思想) _94
Ⅰ. 보살(菩薩)의 의의(意義) _94
1. 보살(菩薩)의 뜻 2. 보살사상의 기원 3. 보살(菩薩)임을 자각한 신자
Ⅱ. 보살도(菩薩道) _97
1. 보살행의 전제조건 _97
(1) 신(信 : 믿음) (2) 발보리심(發菩提心) (3) 원(淸淨願) (4) 무진에(無瞋?)
2. 보살(菩薩)의 실천행(實踐行) _107
(1) 방편바라밀(方便波羅蜜) (2) 원바라밀(願波羅蜜) (3) 역바라밀(力波羅蜜)
(4) 지바라밀(智波羅蜜)

第二. 중관사상(中觀思想) _112
Ⅰ. 용수(龍樹)의 전기(傳記) _113
1. 청년시기의 용수 2. 불법(佛法)을 공부하는 용수 3. 용수(龍樹)의 저작
Ⅱ. 中觀(中道)思想의 敎理 _114
1. 연기(緣起) 2. 공(空)인 연기(緣起) 3. 연기(緣起)와 공(空)의 기능 4. 공(空)의 내용

第三. 유식사상(唯識思想) _124
1. 인도유식학의 성립 _125
2. 유식학의 중국전래 _126
3. 유식학의 한국전래 _127

第四. 여래장사상(如來藏思想) _128
Ⅰ. 여래장사상(如來藏思想)의 역사(歷史) _128
Ⅱ. 여래장사상의 교리 _129
1. 여래장의 의의(意義) 2. 여래장과 아트만
3. 공여래장(空如來藏), 불공여래장(不空如來藏)
4. 여래장과 아뢰야식(阿賴耶識)
5. 여래장사상을 정비한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第五. 정토사상(淨土思想) _137
Ⅰ. 제불(諸佛)의 정토(淨土) _138
1. 정토(淨土)의 의미 2. 타방정토설(他方淨土說) 3. 유심정토설(唯心淨土說)
Ⅱ. 정토(정토), 아미타불(阿彌陀佛) 명의(名義)와 기원(起源) _148
1. 정토(淨土)의 명의(名義) 2. 아미타불(阿彌陀佛)의 명의(名義)
3. 아미타불(阿彌陀佛)신앙의 기원

第六. 밀교사상(密敎思想) _151
Ⅰ. 밀교(密敎)의 명의(名義) _152
Ⅱ. 밀교(密敎)의 역사(歷史) _152
1. 근본불교(根本佛敎)시대 2. 초기밀교(初期密敎)
3. 중기밀교(中期密敎) 4. 후기밀교(後期密敎)
Ⅲ. 밀교(密敎)의 2대경전(二大經典) _157
1. 대일경(大日經) 2. 금강정경(金剛頂經)
Ⅳ. 밀교(密敎)의 교리(敎理) _162
1. 6대(六大) : 體大 _162
(1) 6대의 철학적 의미 (2) 6대의 종교적 의미 (3) 6대와 오륜탑파
2. 만다라(曼茶羅, Mandala) : 相大 _168
(1) 만다라(Mandala)의 의미 (2) 만다라(Mandala)의 종류
(3) 양부만다라(兩部曼茶羅)
3. 삼밀(三密) : 용대(用大) _211
(1) 삼밀(三密:用大)의 의의(意義) (2) 신밀(身密, K?ya guhya)
(3) 구밀(口密, V?g guhya) (4) 의밀(意密, Samadhi-guhya)

第四章 緣起論
第一. 業感緣起(업감연기) _218
Ⅰ. 업(業)의 의의 _218
Ⅱ. 업(業)의 종류(種類) _219
Ⅲ. 업(業)의 성질(性質) _220
Ⅳ. 업(業)의 원인(原因) : 번뇌(煩惱) _220

第二. 阿賴耶識緣起(아뢰야식연기) _223
Ⅰ. 삼성(三性)과 삼무성(三無性) _224
1. 삼성(三性) 2. 삼무성(三無性)
Ⅱ. 제법(諸法)의 분류 _227
1. 5위100법(五位百法) 2. 심왕법(心王法) 3. 심소법(心所法)
4. 색법(色法) 5.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 6. 무위법(無爲法)
Ⅲ. 식(識)의 종류(種類) _235
1. 식(識)의 뜻 2. 여덟 종류의 식(識)
Ⅳ. 전오식(前五識) _239
Ⅴ. 제6의식(第六意識) _241
1. 의식(意識)의 뜻 2. 의근(意根) 3. 의식(意識)의 특성(特性)
Ⅵ. 제7말나식(末那識) _245
1. 말나식(末那識)의 뜻 2. 말나식(末那識)의 특성(特性)
3. 말나식(末那識)의 근(根) 4. 말나식(末那識)의 4번뇌(四煩惱)
Ⅶ. 아뢰야식(阿賴耶識) _253
1. 아뢰야식의 뜻 2. 아뢰야식의 삼상(三相)
3. 아뢰야식의 사분(四分)
Ⅷ. 종자(種子) _263
1. 종자(種子)의 의미(意味) 2. 종자론(種子論)
Ⅸ. 훈습(熏習)과 현행(現行) _270
1. 훈습(熏習) 2. 현행(現行) 3. 훈습과 현행의 관계(阿賴耶緣起)

第三. 眞如緣起(진여연기) _279
Ⅰ. 진여(眞如)의 의의(意義) _280
1. 경(經),논(論)에서 말하는 진여(眞如) 2.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진여(眞如)
Ⅱ. 연기(緣起)의 근원(根源) : 아려야식(阿黎耶識) _282
1. 진여연기(眞如緣起)의 문제점 2. 아려야식(阿黎耶識)
Ⅲ. 근본불각(根本不覺) : 무명(無明) _285
1. 무명(無明)의 의의(意義) 2. 무명(無明)의 원동력(原動力)
3. 무명(無明)의 체성(體性) 4. 무명(無明)의 시초(始初)
Ⅳ. 지말불각(枝末不覺) : 염법연기(染法緣起) _289
1. 삼세(三世) 2. 육추(六?)
Ⅴ. 아려야식(阿黎耶識)의 각(覺) _296
1. 시각(始覺) 2. 본각(本覺)
Ⅵ. 각(覺)과 불각(不覺)의 관계 _313
1. 동상(同相) 2. 이상(異相)
Ⅶ. 훈습(熏習) _317
1. 훈습(熏習)의 의미(意味) 2. 염훈습(染熏習) 3. 정훈습(淨熏習)

第四. 法界緣起(법계연기) _332
Ⅰ. 화엄사상(華嚴思想)의 두 원리(相入, 相卽) _333
1. 상입(相入, mutual penetration, mutual entering)의 원리
2. 상즉(相卽, mutual identity)
Ⅱ. 연기인문육의(緣起因門六義) _340
1. 연기인문육의(緣起因門六義)의 의미 2. 인문육의(因門六義)
3. 인문육의(因門六義)와 상입(相入), 상즉(相卽)
Ⅲ. 법계연기(法界緣起) _345
1. 법계(法界)의 의의(意義) 2. 사종법계(四種法界)
3. 십현연기(十玄緣起) 4. 육상원융(六相圓融)

第五. 六大緣起(육대연기) _368

第五章 實相論
第一. 法體實有論(법체실유론) _369
Ⅰ. 삼세실유법체항유설(三世實有法體恒有說) _370
1. 삼세실유법체항유(三世實有法體恒有)의 내용
2. 이교증(二敎證)과 이리증(二理證)
3. 제행무상(諸行無常)과의 관계
Ⅱ. 과미무체설(過未無體說)과 현법가실설(現法假實說) _375
1. 과미무체설(過未無體說) 2. 현법가실설(現法假實說)

第二. 法體空性論(법체공성론) _376
Ⅰ. 공(空)의 사상(思想) _377
1. 공(空)의 의의(意義) 2. 경(經), 논(論)에서의 공(空)
Ⅱ. 중관사상(中觀思想)의 중도실살(中道實相) _388
1. 팔불(八不) 2. 공(空)의 내용 3. 중도실상(中道實相)
Ⅲ. 유식학파(唯識學派)의 유공중도론(有空中道論) _400
1. 삼성(三性) 2. 삼무성(三無性) 3. 삼성(三性)과 삼무성(三無性)의 관계
Ⅳ. 천태학(天台學)의 제법실상(諸法實相) _403
1. 삼제원융(三諦圓融) 2. 일념삼천(一念三千)

第六章 修行論
第一. 修行(수행)의 階位(계위) _415
1.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章)
2. 이장(二障)의 단(斷)과 복(伏)
Ⅰ. 자량위(資糧位) _419
1. 십주(十住) 2. 십행(十行) | 3. 십회향(十廻向)
Ⅱ. 가행위(加行位) _423
Ⅲ. 통달위(通達位) : 見道 _426
Ⅳ. 수습위(修習位) : 修道 _427
1. 2지(二智)의 증득 2. 구생기(俱生起)의 2장(二障)을 끊음(斷)
3. 십지(十地)의 차제(次第)
Ⅴ. 구경위(究竟位) : 無學道(佛果) _432
1. 4종열반(四種涅槃) 2. 보리(菩提)의 4지(四智) 3. 불신(佛身)

第二. 修行方法(수행방법) _436
Ⅰ. 염불선(念佛禪) _437
1. 염불(念佛)의 의미 2. 염불(念佛)의 기원 3. 염불(念佛)의 종류와 방법
4. 염불수행절차
Ⅱ. 간화선(看話話禪) _457
1. 간화선(看話禪)의 의의 2. 화두참구(話頭參究)의 전제(前提)
3. 화두참구(話頭參究)의 실제
Ⅲ. 주력선(呪力禪) _468
1. 주력(呪力)의 기원과 정의 2. 우리나라의 주력수행 3. 삼밀수행(三密修行)

補論 Ⅰ. 불교(佛敎)에서 본 기세간(器世間) _478
Ⅰ. 기세간(器世間)의 구조(構造) _478
Ⅱ. 욕계(欲界) _482
Ⅲ. 색계(色界) _483
Ⅳ. 무색계(無色界) _484
Ⅴ. 기세간(器世間)의 생멸과정 _485

補論 Ⅱ. 상태(狀態)의 공존(共存) : 유(有)와 무(無)의 공존(共存) _489
1. 빛은 파동이면서 입자(파동과 입자의 이중성) _490
2. 전자(電子)는 입자이면서 파동(입자와 파동의 이중성) _495
3. 상태의 공존 _497

■ 참고문헌 _506
Author
광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