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문화중층론

관점의 전환과 새로운 해석
$54.43
SKU
9788971805992
+ Wish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2 - Thu 04/18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9 - Thu 04/11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은 배송 완료까지 주문일로부터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은 주문일로부터 7-9 영업일이 소요됩니다』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2/23
Pages/Weight/Size 188*254*60mm
ISBN 9788971805992
Categories 국어 외국어 사전 > 국어
Description
훈민정음은 15세기에 만들어진 이후 오백여 년 동안 한반도의 음성언어를 기록해 왔고, 한반도에서 생성된 한국인의 생활문화와 삶의 정서와 상상력을 담아 왔다. 따라서 훈민정음 연구는 한국인이 형성해 온 문화의 원천에 접근하는 것이며, 훈민정음에 축적된 한국인의 역사적 경험과 그 의미를 해석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그런데 훈민정음에는 다양한 학문 이론과 문화 요소가 중층적으로 융합되어 있다. 따라서 훈민정음에 내재한 이런 융합성과 중층성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새로운 관점과 연구 방법이 필요하다. 이 책의 저자가 제안한 ‘문화중층론’이 바로 그것이다. 문화중층론은 ‘문화’와 ‘중층’을 열쇳말로 삼아 문헌과 문자에 융합된 다양한 문화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합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문화론적 연구 방법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문자 훈민정음과 문헌 ??훈민정음??에 이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보편성 확보가 가능함을 보이고자 했다.

물론 ‘문화중층론’이 아직 이론체계를 완벽히 다 갖추었다고 보기는 어려울 수도 있다. 또 이러한 연구방법론만으로 훈민정음의 모든 국면을 만족스럽게 연구해 내기도 어렵다. 하지만 훈민정음에 대한 이해를 더욱 풍부하고 깊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1,100쪽이 넘는 이 책을 통해 독자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외형 구조와 서지 사항, 여기에 반영된 언어 현상, 훈민정음 창제의 사회문화적 특성들에 대한 저자의 심도 있는 탐구를 엿볼 수 있으며, 나아가 훈민정음이 동아시아의 학문적 성취에 대한 재해석과 창의적 변용을 거쳐 고도의 문자체계로 결정(結晶)된 정화(精華)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서장 - 관점의 설정과 연구 방법
1. 문자에 대한 관점의 설정
2. 훈민정음 연구를 위한 관점 전환의 필요성
3. 문화중층론의 이론적 특성
4.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5. 용어의 정의

제1부 - 『훈민정음』의 서지와 내용 구조

제1장 - 『훈민정음』 해례본의 서지와 내용 구조
1. 훈민정음의 완성과 반포
2. 『훈민정음』의 형태 서지와 내용 구조
3. 『훈민정음』 해례본의 권두서명 문제와 해결 방안
4. 해례본 병서행의 줄바꿈 문제와 해결 방안
5. 『훈민정음』 해례본의 텍스트 구조 분석
6. 마무리
제2장-훈민정음 언해본의 서지와 내용 구조
1. 훈민정음 언해본의 서지와 이본
2. 언해본 텍스트의 내용 구조
3. 훈민정음 언해본 텍스트의 편찬과 번역

제2부 - 『훈민정음』 텍스트의 언어와 해석

제1장-『훈민정음』 해례본 텍스트에 쓰인 우리말의 특성과 그 해석
1. 해례본에 나타난 자모자의 특성
2. 해례본에 예시된 우리말 표현의 특성
3. 방점 표기의 기원과 사성의 음가 기술
제2장-『훈민정음』 해례본 텍스트에 사용된 한자(어)의 빈도와 그 해석
1. 논구의 초점과 대상
2. 개별 한자의 사용 빈도와 그 해석
3. 한자어(구)의 사용 빈도와 그 해석
4. 마무리: 융합성 및 중층성과 빈도의 상관성
제3장-훈민정음 언해본 텍스트의 언어적 특성과 그 해석
1. 한자의 우리말 번역과 학술 용어
2. 문법범주에 대한 인식과 특이 문법형태의 쓰임
3. 언해본에 나타난 우리말 인식과 문체

제3부 -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보편적 가치

제1장-훈민정음 창제의 바탕이 된 세종시대의 학문 연구
1. 세종시대의 학문 연구가 갖는 의의
2. 『성리대전』 연구와 훈민정음에의 적용
3. 15세기 중엽의 성운학 연구와 조선어음 분석의 수준
4. 외래 문자학의 영향과 창의적 변용
5. 마무리
제2장-훈민정음 창제의 작업 단계 재구성과 제자론의 단계별 적용
1. 몇 가지 논점에 관한 예비적 고찰
2. 훈민정음 창제의 작업 단계 설정
3. 훈민정음 창제의 단계별 작업 내용
4. 마무리
제3장-훈민정음 제자론의 융합성과 그 해석
1. 융합의 뜻
2. 훈민정음 문자체계의 융합성
3. 마무리: 융합 요소가 갖는 의의
제4장-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본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과 제자론
1. 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보려 하는가
2. 창제 목적에 내재된 보편적 가치: 민주성
3. 제자론에 내재된 보편적 가치: 과학성
4. 제자론에 내재된 보편적 가치: 철학성
5. 마무리
제5장-『훈민정음』 해례의 제자론制字論에 대한 비판과 해명
1. 초성자 제자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해명
2. 중성자 제자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해명
3. 마무리

제4부 - 훈민정음 창제의 사회문화적 접근

제1장-세종시대의 정책과 훈민정음 창제의 배경
1. 조선 초기 민생 정책의 배경과 세종의 정책 구상
2. 국가 제도의 정비와 학문 정책의 강화
3. 민생과 훈민을 위한 문헌 편찬
4. 마무리
제2장-훈민정음 창제 주체에 대한 새로운 접근
1. 친제설, 협찬설, 친제협찬설의 대립
2. 새로운 접근을 통한 문제 해결 방안
3. 결론은 친제설
제3장-훈민정음 창제 목적의 정립定立
1. 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
2. 훈민정음 창제 목적 정립
3. 마무리
제4장-언문 반대 상소문의 정보 분석과 그 해석
1. 최만리가 올린 각종 상소문의 개요
2. 상소문의 정보 분석과 그 해석
3. 상소문에 대한 평가와 해석
4. 마무리: 상소문에 담긴 중층적 요소와 그 해석
제5장-『훈민정음』의 활용과 후대의 학문적 수용
1. 『훈민정음』 정음편의 활용
2. 훈민정음에 대한 학문적 연구
3. 마무리

종장-요약과 통합적 해석
1. 논구 성과의 요약
2. 훈민정음 창제 전후의 사건·정책·서적 편찬에 대한 종합적 해석
3. 훈민정음의 중층성과 층위 간 통합적 해석
4. 마무리와 제안

참고 문헌
English Abstract
찾아보기
Author
백두현
1955년 경북 성주(星州) 연산 마을 출생. 경북대학교에서 대학과 대학원을 마치고 1990년 2월에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성대학교 부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영남 문헌어의 음운사 연구』, 『석독구결의 문자체계와 기능』, 『현풍곽씨언간주해』, 『음식디미방주해』, 『한글문헌학』, 『현장 방언과 문헌 방언 연구』 등의 학술서와 『경상도 사투리의 말맛』, 『한글편지로 본 조선시대 선비의 삶』, 『한글편지에 담긴 사대부가 부부의 삶』 등의 교양서를 출간했다. 국어사와 훈민정음, 석독구결과 고대국어 자료, 한글 문헌과 어문생활사 등에 관련된 130여 편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다.
© Kbookstore Copyright © 2023 Kbookstor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