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있을 때엔 느낌뿐이지만 사회로 나오면 감정이 된다
사회적이고 정치적이며 경제적인 ‘감정’에 관한 인문학적 사유와 통찰
지금-여기 가장 문제적인 감정 키워드 10가지로
한국 사회를 진단한다
인간만이 갖는 다양한 감정. ‘감정’은 일견 개인의 심리로 생각하기 쉽지만, ‘반일 감정’, ‘감정 노동’과 같은 사회적 키워드를 생각하면 다분히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물성을 지님을 알 수 있다. 이에 특징적인 감정들과 감정과 관련된 사회 현상들을 통해 우리 사회를 진단한 책 『감정 있습니까?』(은행나무 刊)가 출간되었다.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에 소속된 문학, 법학, 철학 등 다양한 전공의 인문학자들은 감정을 외부의 자극에 대한 몸의 반응으로 정의하고, 같은 자극에라도 사람마다 느끼는 감정이 다른 것처럼 같은 자극이라도 시대마다 사회마다 다르게 재해석되어 감정으로 표현되는 것에 주목하면 그 시대상을 읽어낼 수 있다고 보았다. 더구나 요즘처럼 고도화된 사회에서는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자극들을 개별적으로 역학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보다 사회 현상으로 빚어진 감정을 읽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에 연애 감정, 혐오, 분노, 시기심, 수치심, 공포 등 한국 사회를 가장 잘 설명해줄 수 있는 감정들을 고르고 여기에 감정 코칭, 감정 방어, 감정 노동 등 현대 사회에 새로이 생겨난 감정의 모습을 보태, 감정이라는 프레임으로 현 시대 우리의 모습을 살펴보기로 한다.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는 ‘감정’을 이해하는 것은, 곧 삶과 세상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Contents
책을 내며
0장 감정 | 감정이란 무엇인가? _ 김종갑
알파고와 현대사회의 감정 문제 _ 감정을 표출하지 않으면 병이 되는가? _ 우리 사회의 감정 지형 _ 열린 감정을 위하여
2장 감정 방어 | 대도시에서 상처받지 않고 살아남기 _ 최은주
개인화된 개인 _ 대도시 삶과 관리된 감정 _ 상처받지 않을 자유 _ 합리주의와 감정 _ 감정의 발굴
3장 연애 감정 | 낭만적 사랑 따위는 없어 _ 김운하
열정과 냉정, 동경과 냉소 사이에서 _ 사랑과 감정의 취급 _ 낭만적 사랑이라는 가치의 발명과 순수의 함정 _ 감정과 이성의 소통과 조화 _ 또 다른 연애 감정의 취급?
4장 혐오 | 혐오하라, 그러면 구원을 받으리니 _ 김종갑
여성 혐오와 함께 조명된 혐오의 정치성 _ 자연적 혐오와 사회적 혐오 _ 음식과 혐오, 그리고 여성 혐오 _ 자기 자신을 긍정하라
5장 시기심 | 고통스러운 질투, 존재의 시기심 _ 정지은
누구나 시기심은 있다 _ 질투는 시기심인가? _ 질투와 시기심은 탐정을 만든다 _ 너무 쉬운 향유와 너무 어려운 결여 _ 향유의 대상으로서의 타자와 인격으로서의 타자
6장 수치심 | 부끄럽습니다만… _ 임지연
탈수치심 사회에서 수치심을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 _ 수치심의 개념들 _ 탈-수치심과 과잉-수치심 사이 _ 수치심과 증언의 역설 _ ‘붉은 뺨’을 가진 사람들의 사회로
7장 공포 | 도대체 뭐가 무서워 _ 서윤호
새로운 공포의 출현과 공포의 일상화 _ 공포란 무엇인가? _ 현대적 공포의 작동 메커니즘 _ 우리 사회의 공포 현상 _ 권력과 자본은 공포를 어떻게 다루는가: 공포정치의 일상화와 공포의 상품화 _ 신자유주의적 공포의 개인화 현상과 사회적 연대의 회복
8장 분노 | 분노의 정치학으로서의 메갈리안 현상 _ 윤지영
분노와 혐오의 차이 _ 분노하는 자?메갈리안 _ 메갈리안의 미러링 전략, 그 반사 원리에 대하여 _ 남성 중심적 질서에 대해 비춘 전복적 반사경
9장 애도 | 우울과 애도, 그 빈자리 너머 _ 김주현
상실에 대한 헌정 _ 프로이트의 애도와 우울증 _ 나르시시즘과 사디즘 _ 데리다의 끝없는 애도 _ 낸 골딘의 기억, 현존과 부재 사이
10장 감정 노동 | 얼굴 뒤에 감춰진 감정 _ 윤소영
감정과 감정 노동 _ 감정이란 무엇인가 _ 감정 노동자의 얼굴과 감정 _ 감정 노동의 양태, 현장성 _ 노동으로 승화된 감정 _ 노동일 수밖에 없는 감정
Author
몸문화연구소
2007년 건국대학교에 설립된 이래 현대 철학과 사회의 화두인 몸을 매개로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연구해 오고 있다. 문학과 철학, 미학, 정신분석학, 역사학, 의학 등 다양한 전공의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문화와 권력, 기술, 규범, 의료 관계 속에서 현상하는 인간과 몸의 문제를 이론화하고 실천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데 주력한다. 『인공지능이 사회를 만나면』, 『인류세와 에코바디』, 『생태, 몸, 예술』 등 연구 결과물들을 단행본으로 펴내고 있다. 매년 연구주제를 정하여 월 1회 학술세미나를 진행하며 치열하게 토론하고 심화한 결과들을 모아 몸문화연구총서를 발간하고 있다.
2007년 건국대학교에 설립된 이래 현대 철학과 사회의 화두인 몸을 매개로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연구해 오고 있다. 문학과 철학, 미학, 정신분석학, 역사학, 의학 등 다양한 전공의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문화와 권력, 기술, 규범, 의료 관계 속에서 현상하는 인간과 몸의 문제를 이론화하고 실천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데 주력한다. 『인공지능이 사회를 만나면』, 『인류세와 에코바디』, 『생태, 몸, 예술』 등 연구 결과물들을 단행본으로 펴내고 있다. 매년 연구주제를 정하여 월 1회 학술세미나를 진행하며 치열하게 토론하고 심화한 결과들을 모아 몸문화연구총서를 발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