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비교문학자의 편지』는 근대 문학과 미술을 연구하는 강정화 교수와 대학에서 미술과 문학을 공부한 뒤 서울의 대안 공간, 미술 기관에서 일하는 신이연 기획자가 문학과 미술의 경계에 대해 서로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나누고자 주고받은 편지를 그대로 담은 책이다. 자칫 내용이 무거울 수 있는 문학과 미술의 경계를 조금이나마 편하고 가볍게 다가가고자 편지의 형식을 빌렸다. 또한 코로나 시절에 맞게 의견이 교환된 방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저자 강정화는 말한다. “많은 생각을, 또 많은 공부를 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스스로 정의하는 문학과 미술의 경계에 대해서, 그리고 앞으로 하고 싶은 공부에 대해서 찬찬히 되짚어 보는 시간이었습니다. 같지만 다른 시각을 가진 선생님의 생각을 들으며, 당연하다 여겼던 제 안의 생각들에 의심을 던질 수 있었습니다. 둘이어서 가능했겠지요.”
“문학과 미술 혹은 미술과 문학의 비교. 그것이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호쾌하게 답을 내고 싶지만, 사실 답은 없습니다. 이 책이 끝나는 순간까지도 우리에게 여전히 결론은 없을 것입니다. 그래도 바라는 바가 있다면 그 결론 앞으로 최대한 다가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앞으로도 편지 쓰기를 멈추지 않을 예정입니다. 혼자였다면 지쳤을 이 길을 신 선생님이 함께해 얼마나 다행인지 모릅니다.”
저자 신이연은 답한다. “삶의 여러 갈림길에서 공부를 택했고, 분명 이쪽 길이라고 생각했는데 끝은커녕 길이라는 것조차 희미한 벌판을 헤매고 있는 느낌이었어요. 그러다 저만치 혼자서 뚜벅뚜벅 걷고 계신 선생님을 만나게 된 것이죠. ‘혼자가 아니구나’ 느꼈습니다.”
“미술과 문학. 문학과 미술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동안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고 또 많이 배웠습니다. 반가움은 깊은 동지애로, 애틋함으로, 그리고 깊은 존경과 애정으로 변해 갔습니다. 맞아요. 정답은 없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함께 만들어 갈 미래도 여전히 열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래의 한 장면을 그릴 수 있다면 이런 것일까요. 우리처럼 겁 없는 어느 한 사람이 예술이라는 넓은 벌판 위에 선 거예요. 일단은 용기를 냈지만, 그 사람 역시 어디로 가야 할지 막막하던 중이었겠죠? 당황한 와중에 저기 한쪽에 앉아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는 우리를 발견한 거예요.”
Contents
시작하며
첫 마음을 담아
반가운 조우, 미술과 문학의 경계에서
그럼에도 ‘경계’가 필요한
미술관에 전시된 시, 문학일까? 미술일까?
결합의 조건과 차이
국립현대미술 전시를 보고
예술 속 미술과 문학
문학이 미술에 머물던 시대
미술이라는 ‘언어’
그럼에도
마지막 편지
Author
강정화,신이연
근대 문학과 미술이 함께 걸어온 길을 공부하며 그림을 보고 글을 쓰거나 그림을 보고 쓴 글을 읽고 쓰는 일을 한다. 고려대학교, 경희대학교, 동서울대학교에서 강의했고 현재 동아대학교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9년 고려대학교에서 근대 문학과 미술의 상호교류에 대한 내용으로 박사 논문을 썼다. 근대의 그 시절을 사모하는 한편 웹툰을 사랑해 만화 비평가로도 활동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문학이 미술에 머물던 시대』, 『피고 지고 꿈』, 함께 쓴 책 『걷고 보고 쓰는 일』 등이 있다.
근대 문학과 미술이 함께 걸어온 길을 공부하며 그림을 보고 글을 쓰거나 그림을 보고 쓴 글을 읽고 쓰는 일을 한다. 고려대학교, 경희대학교, 동서울대학교에서 강의했고 현재 동아대학교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9년 고려대학교에서 근대 문학과 미술의 상호교류에 대한 내용으로 박사 논문을 썼다. 근대의 그 시절을 사모하는 한편 웹툰을 사랑해 만화 비평가로도 활동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문학이 미술에 머물던 시대』, 『피고 지고 꿈』, 함께 쓴 책 『걷고 보고 쓰는 일』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