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남부 문학에서 윌리엄 포크너에 버금가는 위치를 차지하는 작가. 미시시피주 잭슨에서 태어나 보험회사 간부인 아버지와 교사 어머니 슬하에서 문화적으로 풍요로운 어린 시절을 보낸 유도라 웰티는 위스콘신 대학과 컬럼비아 대학을 졸업한 뒤 고향으로 돌아와 공공산업진흥국의 홍보 기자로 일했다. 미시시피 구석구석을 돌면서 그곳 주민들의 이야기를 듣는 한편 가족 중심의 오랜 전통과 대공황의 그늘이 공존하는 남부의 풍경을 수백 장의 사진에 담았는데, 이러한 행위는 그녀의 내면에 ‘찰나의 삶을 글로써 포착해 보고 싶다’는 강렬한 열망을 불러일으켰고, 훗날 사진을 찍듯 대상을 세세하게 묘사하는 작풍에도 적잖이 영향을 미쳤다.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남부에 관한 짧은 이야기를 쓰던 웰티는 1936년 [매뉴스크립트]에 단편 「어떤 외판원의 죽음」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1941년 『초록 장막』을 시작으로 『커다란 그물』(1943) 『황금 사과』(1949) 등 걸출한 단편집을 연달아 출간해 명성을 얻었고, 가장 뛰어난 단편에 수여하는 오헨리상을 8회나 수상하면서 포크너의 뒤를 잇는 남부 작가로 입지를 다졌다. 장편소설 『낙천주의자의 딸』(1972)로 퓰리처상을 수상하고 회고록 『작가의 시작』(1984)이 32주간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에 오르면서 명성은 정점에 이르렀다.
그러나 장편소설의 대성공 이후에도 비평가들이 꼽는 웰티 문학의 백미는 변함없이 그녀가 평생에 걸쳐 쓴 단편들이다. 동료 작가이자 멘토이기도 했던 캐서린 앤 포터는 『초록 장막』에 쓴 서문에서 ‘이 책에는 거의 완벽한 단편들이 실려 있으며, 그녀의 훌륭한 재능이 장편을 써야 한다는 요구에 방해받아서는 안 된다’는 말로 웰티의 단편을 극찬했다. 인간의 감정이나 풍습의 근원인 ‘장소’를 무엇보다 중시했던 웰티는 2001년 세상을 떠나기까지 자신이 나고 자란 고향 마을에 붙박여 살며 그곳 주민들의 삶을 ‘관찰자의 눈’으로 세심하게 들여다보았고, 익숙한 풍경에 유머와 신화 등을 덧입혀 현실과 초현실을 넘나드는 이야기로 승화시켰다.
그녀의 작품에는 공동체 중심의 좁은 지역사회에서 개인이 겪는 갈등과 거기에서 비롯되는 아이러니가 때로는 풍자적으로, 때로는 비극적으로 그려진다. 오랫동안 노벨문학상 후보 1순위로도 거론되었던 웰티는 1983년 『유도라 웰티 소설집』(1980)으로 전미도서상을 수상한 데 이어 미국 정부가 최고의 예술가에게 수여하는 국가예술훈장을 받았고, 1998년에는 생존 작가로는 최초로 미국 문학의 고전을 펴내는 비영리 출판사 ‘라이브러리 오브 아메리카’에서 작품집을 출간했다.
미국 남부 문학에서 윌리엄 포크너에 버금가는 위치를 차지하는 작가. 미시시피주 잭슨에서 태어나 보험회사 간부인 아버지와 교사 어머니 슬하에서 문화적으로 풍요로운 어린 시절을 보낸 유도라 웰티는 위스콘신 대학과 컬럼비아 대학을 졸업한 뒤 고향으로 돌아와 공공산업진흥국의 홍보 기자로 일했다. 미시시피 구석구석을 돌면서 그곳 주민들의 이야기를 듣는 한편 가족 중심의 오랜 전통과 대공황의 그늘이 공존하는 남부의 풍경을 수백 장의 사진에 담았는데, 이러한 행위는 그녀의 내면에 ‘찰나의 삶을 글로써 포착해 보고 싶다’는 강렬한 열망을 불러일으켰고, 훗날 사진을 찍듯 대상을 세세하게 묘사하는 작풍에도 적잖이 영향을 미쳤다.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남부에 관한 짧은 이야기를 쓰던 웰티는 1936년 [매뉴스크립트]에 단편 「어떤 외판원의 죽음」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1941년 『초록 장막』을 시작으로 『커다란 그물』(1943) 『황금 사과』(1949) 등 걸출한 단편집을 연달아 출간해 명성을 얻었고, 가장 뛰어난 단편에 수여하는 오헨리상을 8회나 수상하면서 포크너의 뒤를 잇는 남부 작가로 입지를 다졌다. 장편소설 『낙천주의자의 딸』(1972)로 퓰리처상을 수상하고 회고록 『작가의 시작』(1984)이 32주간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에 오르면서 명성은 정점에 이르렀다.
그러나 장편소설의 대성공 이후에도 비평가들이 꼽는 웰티 문학의 백미는 변함없이 그녀가 평생에 걸쳐 쓴 단편들이다. 동료 작가이자 멘토이기도 했던 캐서린 앤 포터는 『초록 장막』에 쓴 서문에서 ‘이 책에는 거의 완벽한 단편들이 실려 있으며, 그녀의 훌륭한 재능이 장편을 써야 한다는 요구에 방해받아서는 안 된다’는 말로 웰티의 단편을 극찬했다. 인간의 감정이나 풍습의 근원인 ‘장소’를 무엇보다 중시했던 웰티는 2001년 세상을 떠나기까지 자신이 나고 자란 고향 마을에 붙박여 살며 그곳 주민들의 삶을 ‘관찰자의 눈’으로 세심하게 들여다보았고, 익숙한 풍경에 유머와 신화 등을 덧입혀 현실과 초현실을 넘나드는 이야기로 승화시켰다.
그녀의 작품에는 공동체 중심의 좁은 지역사회에서 개인이 겪는 갈등과 거기에서 비롯되는 아이러니가 때로는 풍자적으로, 때로는 비극적으로 그려진다. 오랫동안 노벨문학상 후보 1순위로도 거론되었던 웰티는 1983년 『유도라 웰티 소설집』(1980)으로 전미도서상을 수상한 데 이어 미국 정부가 최고의 예술가에게 수여하는 국가예술훈장을 받았고, 1998년에는 생존 작가로는 최초로 미국 문학의 고전을 펴내는 비영리 출판사 ‘라이브러리 오브 아메리카’에서 작품집을 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