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융합」 총서 시리즈는 교육, 문학, 문화, 예술, 행정, 사회 등 각 분야의 연구자들이 시도한 융합 연구 가운데 우수한 성과물만을 엄선하여 독자들의 눈높이에 맞춰 깊이 있는 지식을 전달하고자 기획되었다.
최근 융합 연구는 공존과 통합을 추구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혁신적인 과제로서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이제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융합적 탐구를 위한 학문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학문 간의 융합은 다양한 분야의 경계를 넘나들며 미래 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필수적인 역량이자, 시대의 요구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와 융합」 총서 시리즈는 융합 연구가 나아가야 하는 방향성에 대해 실제적인 해답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이 책은 그동안 「문화와 융합」 학술지를 통해 발표된 융합 연구의 학술적 담론을 재구성하여 집필되었다. 학문 간의 융합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우리의 삶에서 활용될 수 있는지를 다각도로 탐색하여 실용적인 논의들을 담고자 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융합 연구의 실체에 조금 더 가까워질 수 있으며, 유용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학문 간의 협력과 상호 소통, 통합과 공존을 이루어 갈 수 있는 융합적 연구 환경의 기반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축사
발간사
서문
1부 경계 허물기와 윤리적 공존
01장 『콩쥐팥쥐』 이야기에 나타난 재혼가족 재현의 변화
1. 『콩쥐팥쥐』 이야기와 재혼가족의 재현
2. 조선시대 재혼가족과 여성에 대한 시선
3. 이야기의 변이와 재혼가족 재현의 변화
4. 비판적 독해가 요구되는 ‘현재’의 『콩쥐팥쥐』 이야기
02장 개인사에 새겨진 시대를 증언하는 여성서사, 영화 〈벌새〉
1. 영화 〈벌새〉를 향한 이례적인 주목과 반향
2. 반복되는 폭력의 원형(原型)-가부장제
3. 타자의 철학, 책임의 윤리학으로 연결되는 여성 성장서사
4. 각성과 성장의 기반에 자리한 페미니즘
03장 광주학생독립운동과 문학의 상관성
1.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의 운동
2. 비밀결사와 문학
3. 차별에 대항한 문학
4. 일제강점기의 작가적 소명
04장 제주 우도에서 미야케지마까지 디아스포라 장소 담론
1. 장소와 공간
2. 디아스포라 문학의 경계 넘기
3. 이주하는 사람들: 국가장소 상실
4. 소멸과 탄생
5. 상생을 꿈꾸며
05장 포스트디아스포라, 한국어문학의 새로운 접경-박미하일론
1.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고려인 문학
2. 고려인 3세대 작가의 화두
3. 박미하일의 작품세계
4. 국적없는 메트로폴리스의 예술가
2부 인간탐색과 공감의 윤리
06장 박인환 시에 나타난 ‘희망’과 ‘불안’의 두 세계
1. 연대의식을 통한 ‘희망’으로서의 여정과 ‘불안’의 태동
2. 세계 속에 ‘내던져진’ 자아와 ‘불안’의 개시(開示)
3. 죽음으로의 이행을 통한 본래적 존재의 회복 의지
07장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악마』에 나타난 ‘악마’의 실체
1. 강박관념에 숨겨진 ‘타나토스’
2. 2층, 그 불안한 공간
3. 사이키의 망상이 그려낸 테루코
4. 스카톨로지, 그 죽음의 동일시
5. 악마의 실체
08장 대비적으로 고찰한 한·중 근대지식인 우울 모티프 고백소설
1. 근대문명과 지식인의 우울
2. 근대지식인들의 재일 유학시절과 귀국 이후의 모습
3. 동아시아적 관점으로 살펴본 근대지식인 재현 양상
09장 네덜란드 황금시대, 하녀의 진주 귀걸이
1. 소설적 상상력과 영화적 변용
2. 네덜란드 장르화 속 하녀
3. 회화의 소설적 재현
4. 소설의 영화적 변용
5. 상류층만의 황금시대
3부 연대와 상생의 사유
10장 인공지능(AI) 챗봇(chatbot)을 다시 생각하다
1. 언어인류학적인 관점에서 인공지능(AI) 챗봇(chatbot) 보기
2. 희곡 작품 〈피그말리온 (pygmalion)〉이 제시하고 있는 인공지능 챗봇과의 연관성
3. 〈피그말리온 (pygmalion)〉 속 일라이자(Eliza)와 인공지능 기반 챗봇의 언어인류학적 분석
4. 인공지능(AI)기반 챗봇(chatbot)의 과제
11장 아시모프의 『아이, 로봇』과 캐릭터
1. 로봇소설과 『아이, 로봇』
2. 아시모프와 로봇공학에 대한 상상력
3. 로봇을 활용하는 인간들
4. 인간과 공존하는 로봇
5. 논쟁을 유발하는 『아이, 로봇』
12장 팬데믹 사회의 감정구조와 미학적 대응
1. 팬데믹 사회의 감정들
2. 감정구조와 정동 정치에 대한 이론적 접근
3. 소설을 통해 본 팬데믹 사회의 감정구조
4. 팬데믹 이후의 삶을 위하여
13장 근대계몽기 시가를 통해 본 위생 담론과 그 표현방식
1. 은유로서의 질병
2. 근대계몽기 위생의 이미지
3. 『대한매일신보』에 나타난 위생 담론과 그 표현방식
4. 근대계몽기 위생 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