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맹자, 노자, 장자 … 중국 고전 철학은 왜 따분하게만 느껴질까? 어떤 철학이나 사상을 이해하려면 발생한 배경을 파악해야 한다. 지리적 배경과 역사적 배경을 확실히 알고 나면, 왜 이 지역, 이 나라, 이 문화권에서는 이런 철학이 발달했는지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중국은 역사가 깊고, 드넓은 지역을 아우르고 있기 때문에 중국 고전 철학을 이해하려면 중국의 지리적, 역사적 배경을 함께 파악해야 한다. 이 책은 학기마다 수강 인원 초과를 기록하는 저자 김수중 교수의 〈중국철학사〉 강의를 밑거름 삼아 쓰인 책이다.
이 책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저자가 오랫동안 담당한 〈중국철학사〉 강의의 내용을 요약한 것이고, 2부는 저자가 그동안 작성한 논문 가운데 중국 고전 철학을 처음 접하는 분들의 이해를 도울 만한 것들을 모은 것이다. 1부가 사상가 중심으로 다양한 철학적 관점을 소개한 것이라면, 2부는 전통적 중국 철학에서 제기된 몇 가지 주제를 오늘의 관점에서 정리한 것이다.
Contents
제1부 고전시대 철학의 등장
1장 중국철학의 특색과 지리적 배경
1. 한 발은 안에, 한 발은 밖에
2. 중국의 지리적 특징: 닫힌 세계
3. 농경문화: 대가족 제도와 소박실재론
4. 온화한 기후와 현세주의
5. 동양과 서양: 사유 방식의 차이
2장 하상주(夏商周): 고전 삼대의 사회와 문화
1. 고전 삼대(三代)
2. 주나라 사회와 문화
3. 제자백가의 등장
참고 자료: 태양숭배와 동양문화
3장 공자(孔子): 전통의 계승과 혁신
1. 생애와 시대
2. 유가의 기원과 공자의 혁신
3. 사회정치 사상
4. 전통의 계승과 합리적 태도
참고 자료: 역지사지(易地思之): 전통 윤리의 황금률
4장 묵자(墨子): 노동자 대중의 철학
1. 묵적(墨翟)과 그 집단의 성격
2. 묵자의 근본 사상
3. 사회와 권력의 기원
4. 윤리 도덕의 배경이 되는 종교관
5장 양주(楊朱): 내 생명이 가장 귀중하다
1. 춘추전국시대의 은둔(隱遁) 사상
2. 양주의 근본 사상
3. 사상사적 배경
4. ‘위아론’의 두 가지 길
6장 맹자(孟子): 유가의 윤리학과 인간론을 세우다
1. 맹자의 생애와 사명 의식
2. 올바른 삶의 길: 윤리학
3. 인간의 본질: 성선설
4. 정치경제 사상
5. 호연지기(浩然之氣)
참고 자료: 호연지기: 선비 정신의 뿌리
7장 명가(名家): 이름과 진상
1. 명변(名辯) 사조의 등장 배경
2. 혜시(惠施)의 합동이론(合同異論)
3. 공손룡(公孫龍)의 이견백론(離堅白論)
4. 기타 변자들의 명제들
8장 노자(老子): 대지에 선 농부의 철학
1. 도가 사상의 연원과 노자
2. 노자의 근본 사상
3. 비판과 부정의 철학
4. 도(道): 진상의 추구
부록: 『노자』의 판본과 현대의 발굴 성과
1972년, 원형 보존된 미라 ‘마왕퇴의 귀부인’ 발굴
9장 장자(莊子): 해방과 달관의 철학
1. 속견(俗見)에서 진상(眞相)으로
2. 도(道)의 체득(體得)
참고 자료: 노장 사상의 재음미
10장 순자(荀子): 고전 사상의 종합
1. 순자(荀子)와 그의 철학적 특색
2. 혁신적 자연관
3. 인간관: 성악설
4. 사회관: 예악론(禮樂論)
5. 정명론: 논리 사상의 체계화
참고 자료: 순자와 아리스토텔레스
11장 한비자(韓非子): 효율적 통치를 위한 철학
1. 법가의 형성과 한비자
2. 한비자의 역사관과 인간관
3. 군주의 세 가지 통치 도구
4. 황로 사상과 법가
5. 한비자 사상의 의의와 한계
제2부 현대적 관점에서 본 중국철학의 주제들
1장 주역, 중용, 사이버네틱스 -역용(易庸) 사상의 현대적 해석 시론
1. 서론
2. 사이버네틱스의 주요 관점
3. 시중(時中)과 역동적 평형
4. 역용(易庸)과 흑상 이론
5. 맺는 말
2장 유가의 덕목들과 도덕원리
1. 서론: 덕의 윤리
2. 원시 유가의 덕목들
3. 유가의 도덕원리
4. 유가 도덕의 재음미
5. 맺는 말
3장 동양적 삶의 방식과 범주의 문제
1. 문제제기
2. 카테고리와 홍범구주
3. 존재 세계에 대한 동양의 대분류
4. 류(類)와 유추(類推)
5. 동서의 사유 패러다임과 그 배경
4장 해방 50년, 중국철학의 연구와 과제
1. 머리말
2. 시기별 전개 양상
3. 논점과 과제
4. 맺는 말
저자 후기
Author
김수중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경희대학교에 30여 년 철학과 교수로 근무하면서 중앙도서관장, 문과대학 학장 등을 지냈다. 밖으로는 북경대학교 철학과 연구교수, 한국양명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명말 태주학파의 사회사상」, 「동양철학과 매체」, 「양명학의 대동사회의식에 관한 연구」 등이 있고, 공저로 『인간이란 무엇인가』, 『공동체란 무엇인가』, 『마음과 철학(유학편)』 등이 있다. 현지 조사를 중시하고 자전거 여행을 좋아하여, 중국, 유럽, 시베리아 등 세계 각지를 답사하였다. 2017년 정년퇴임 이후에는 동두천 왕방산 기슭에서 저술에 힘쓰고 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경희대학교에 30여 년 철학과 교수로 근무하면서 중앙도서관장, 문과대학 학장 등을 지냈다. 밖으로는 북경대학교 철학과 연구교수, 한국양명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명말 태주학파의 사회사상」, 「동양철학과 매체」, 「양명학의 대동사회의식에 관한 연구」 등이 있고, 공저로 『인간이란 무엇인가』, 『공동체란 무엇인가』, 『마음과 철학(유학편)』 등이 있다. 현지 조사를 중시하고 자전거 여행을 좋아하여, 중국, 유럽, 시베리아 등 세계 각지를 답사하였다. 2017년 정년퇴임 이후에는 동두천 왕방산 기슭에서 저술에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