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의 종교학자, 종교인들이 함께 모여 종교와 평화의 의미와 관계, 그리고 미래를 놓고 연찬하고 토의한 성과를 담아냈다. 종교와 평화는 본질에서 동어반복이자 상생의 관계임에도 현상에서 상호모순과 적대의 관계로 현현한다는 기본 전제에서 출발하여, 이 세계를 이상향으로 만들어 가기 위해 현실에서 폭력을 줄이고 없애는 노력을 통해 평화학과 종교학이 어떻게 서로를 살리고 도와줄 수 있는지를 천착한다. 국적과 교단과 진영을 넘어서 타자(사람, 사회, 국가, 지구)의 아픔을 공감하는 것이 종교와 종교인의 존재 이유이고 평화의 알파요 오메가라는 사실이, 반일과 혐한이 교차하는 한일 관계의 토대 위 - 학자와 종교인 사이에 마련된 장(場)에 비추어 볼 때 가장 선명하게 드러났다. 그러므로 선명한 시야로써 그 너머를 지지하고 지향하는 길도 찾아내고 있는 책이다.
Contents
I. 거울: 평화를 비추는 종교적 지혜
평화구축과 종교―정토교에서 평화구축을 생각하다 | 기타지마 기신
1. 들어가며
2. “불설무량수경”에서 말하는 평화구축의 전제조건
3. 평화구축과 인간의 주체화
4. 종교적 세계의 시작과 자기중심주의의 해방
5. 현실 세계와 평화구축
6. 나가며
평화담론과 종교의 지혜―가톨릭을 중심으로 | 김용해
1. 들어가며
2. 그리스도교의 ‘평화관’과 인격주의적 인간관
3. 종교의 사명과 평화공동체 건설
4. 평화프로세스와 갈등을 극복하는 원리들
5. 평화담론과 종교의 지향적 가치들
동아시아에서 종교 갈등의 해소를 통한 평화 추구와 불교 | 류제동
1. 들어가며
2. 동아시아 평화의 맥락에서 종교의 국가적 함의
3. 동아시아 각국의 평화적 교류에서 비판불교의 중요성
4. 동아시아의 평화에서 무아(無我)의 함의
5. 나가며
원불교 영성과 환경, 그리고 남북의 평화문제 | 원영상
1. 불법에서의 환경과 국가의 의미
2. 원불교 영성의 세계
3. 환경 및 남북 평화문제에 대한 원불교 영성의 실천원리
4. 맺는 말
원효의 평화사상 | 장정태
1. 들어가며
2. 원효의 신분과 활동
3. 화쟁의 내용
4. 나가며
II. 역전: 굴절된 평화, 종교적 뒤집기
「팔굉일우」에 의한 평화 개념의 변용과 수용 | 홍이표
1.들어가며
2.「팔굉일우」 개념의 탄생과 변용 과정
3.한국 종교계의 「팔굉일우」 수용 과정과 ‘평화’
4.나가며
기독교 건축에 담긴 평화사상 | 가미야마 미나코
1. 들어가며
2. 윌리엄 메렐 보리즈의 생애와 평화사상
3. 한반도의 작품과 설계 사상
4. 작품들의 특징과 ‘하나님 나라’
5. 일본 천황제와 보리즈의 기독교 사상이 지닌 한계
6. 나가며
인류세 시대와 종교의 평화론 | 전철후
1. 인류세 시대의 지구위험
2. 인류세의 인간관
3. 평화의 개념화
4. 타자화 극복의 평화인식
5. 인간중심 ‘인(人)’권을 넘어 ‘녹색’ 인권으로
6. 공(公)이 공(共)한 평화공동체
세 가지의 다원주의―안보·평화·그리고 종교 | 이찬수
1. 들어가며
2. ‘북핵’을 문제로 삼는 이유
3. 힘에 의한 평화와 안보딜레마
4. ‘안보가 안보에게 늑대이다’
5. ‘안보’와 ‘안보들’
6. 세 가지의 다원주의: 안보다원주의, 평화다원주의, 종교다원주의
7. 한반도 안보트릴레마
8. 트릴레마의 돌파구
9. 뉴욕타임즈에 광고하고 BTS에 요청하라
10. 진짜 강한 이의 몫
11. ‘감폭력’의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