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1984년에 처음으로 합영법을 제정해 해외투자를 유치하기 시작했다. 1991년도에는 다시 라진-선봉 지역에 자유경제무역지대를 선포해 해외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기 시작해 오늘에 이르렀다. 그런 정책을 펼친 이후 북한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많은 도전을 경험해야 했고 다소 변화를 겪기도 했다. 그러면서 해외투자유치 정책은 일관되게 추진해왔다. 그러나 그렇게 큰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왜 그랬을까? 아마 대부분의 북한 사람은 미국을 비롯한 적대세력들이 제재를 가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압살정책이라고도 한다. 미국이 주도하는 유엔의 제재가 2006년부터 시작됐으니 더욱 그렇게 생각할 것이다. 그렇다면 유엔 제재 이전에는 왜 많은 해외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았을까? 미국의 영향력 아래 있지 않은 나라들이라도 많이 투자했어야만 하지 않았을까? 그러나 그렇지 않았다. 무엇이 문제였을까? 북한을 둘러싼 내부적, 외부적 요인이 많이 있을 것이다.
그중에서 북한의 해외투자와 교역에 관련된 법률과 제도에 관한 문제를 가장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북한 투자 교역 미래』는 북한의 법률 환경과 제도는 과연 해외투자와 교역에 적합한 것인지, 북한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제재는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그런 기반 위에서 남북한 간에 경제협력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대북 직접투자와 교역은 과연 적절한 것인지 등을 국제경제법적 시각에서 들여다볼 것이다.
Contents
독자께 드리는 글
일러두기
제1장 / 분단-전쟁-대치-협력, 그다음
제2장 / 북한식 사회주의 경제환경
제1절 북한식 사회주의
제2절 사회주의 체제에 대한 해외직접투자
가. 사회주의 경제
나. 체제변환 여부의 문제
다. 두만강유역개발계획
제3절 이념적 경제와 경영
가. 주체사상과 경제
나. 기업관리와 지배구조
다. 관료주의와 부패
제3장 / 특수경제지대
제1절 민족 내부 간의 교역과 최혜국대우
가. 경협이라는 용어
나. 민족 내부의 거래와 최혜국대우
다. 국가성의 검토
라. 북한산에 대한 관세면제
마. WTO 체제 안에서의 최혜국대우
바. WTO 체제하의 최혜국대우 예외조항
사. 최혜국대우 의무의 예외조항 검토
아. 정치적 고려사항
자. 최혜국대우 의무 회피 - 상호성과 품목분류
차. 민족 내부 간의 거래와 관세율표
카. 남북교류의 미래
제2절 원산지 문제
가. 원산지 문제의 출발점
나. 원산지 판정에 따른 문제들
(1) 원산지 판정기준
(2) 원산지 판정 판례 예시
(3) 관세율 적용
(4) 실질적 변형의 기준
제3절 국제정치적 상황 전개
제8장 / 남북한 간 투자와 교역의 미래
제1절 개괄적 조망
제2절 북한의 과제
제3절 남한의 과제
제4절 민족의 미래
참고문헌 및 자료
찾아보기
Author
박필호
지난 33년간 외무부 본부 및 재외공관 근무,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지역사무처 행정(법률)담당관, 미국 뉴욕시 Park Law Firm PLLC 대표변호사, 유네스코 중앙아시아학술 국제연구소(IICAS-UNESCO) 소장을 역임하고 현재 단국대학교(죽전)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필리핀, 미국 등의 6개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연구한 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매디슨)에서 법학박사(SJD) 학위를 받았다. 이슬람법(Sharia)과 소비에트법도 탐구하였다.
지난 33년간 외무부 본부 및 재외공관 근무,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지역사무처 행정(법률)담당관, 미국 뉴욕시 Park Law Firm PLLC 대표변호사, 유네스코 중앙아시아학술 국제연구소(IICAS-UNESCO) 소장을 역임하고 현재 단국대학교(죽전)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필리핀, 미국 등의 6개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연구한 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매디슨)에서 법학박사(SJD) 학위를 받았다. 이슬람법(Sharia)과 소비에트법도 탐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