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중국어는 서로 다른 계통의 언어이다. 따라서 관형어도 여러 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관형어를 사용할 때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나는 중국의 교육 현장에서 이런 어려움을 목격할 때마다, 대조언어학의 관점에서 한국어 관형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대응표현을 비교하여 지도하면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생각해 왔다. 지난 몇 년 간 한국어학을 공부하면서, 나는 교육 현장에서 부딪혔던 이런저런 문제들에 대해 많이 고민해 왔다. 그러나 한국어 관형어의 효율적인 지도 방안에 대한 관심에서 벗어난 적은 거의 없었다. 심사숙고한 끝에 지도교수님께 한국어 관형어와 중국어 대응표현을 연구 주제로 삼아 이 책을 쓰게 되었다.
Contents
책머리에
서문
Ⅰ. 서 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2. 선행 연구 검토
1.2.1. 한국어 관형어에 대한 연구
1.2.2. 한국어와 중국어 관형어 대조에 대한 연구
1.3. 연구 대상 및 방법
1.3.1. 연구 대상
1.3.2. 연구 방법
Ⅱ. 이론적 배경
2.1. 한국어 관형어
2.1.1. 한국어 관형어의 개념과 특징
2.1.2. 한국어 관형어의 구성
2.2. 중국어 관형어
2.2.1. 중국어 관형어의 개념과 특징
2.2.2. 중국어 관형어의 구성
Ⅲ. 한국어 관형사 관형어의 중국어 대응 표현
3.1. 지시 관형사 관형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3.1.1. 고유어 지시 관형사 관형어
3.1.2. 한자어 지시 관형사 관형어
3.2. 수 관형사 관형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3.2.1. 고유어 수 관형사 관형어
3.2.2. 한자어 수 관형사 관형어
3.3. 성상 관형사 관형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3.3.1. 고유어 성상 관형사 관형어
3.3.2. 한자어 성상 관형사 관형어
Ⅳ. 한국어 체언 관형어의 중국어 대응 표현
4.1. ‘체언+의’ 관형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4.1.1. ‘N1의+N2’ 구성
4.1.2. ‘N1?+N2’구성
4.1.3. ‘N1+N2’ 구성
4.2. ‘N?적’ 관형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4.2.1. ‘N1-的N2’로 대응하는 경우
4.2.2. ‘N-X-的N2’로 대응하는 경우
4.2.3. ‘N1-øN2’로 대응하는 경우
4.3. 관형명사 관형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4.3.1. 동형동의 관형명사
4.3.2. 동형이의 관형명사
4.3.3. 동의이형 관형명사
Ⅴ. 한국어 용언 관형어의 중국어 대응 표현
5.1. 관형사형 어미 ‘-(으)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5.1.1. 동사 어간+‘-(으)ㄴ’형
5.1.2. 형용사 어간+‘-(으)ㄴ’형
5.1.3. ‘이-/아니-’+‘-(으)ㄴ’형
5.2. 관형사형 어미 ‘-는’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5.2.1. 동사 어간+‘-는’ 형
5.2.2. ‘있-/없-’+‘-는’ 형
5.3. 관형사형 어미 ‘-(으)ㄹ’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5.3.1. 동사 어간+‘-(으)ㄹ’ 형
5.3.2. ‘이-/아니-’+‘-(으)ㄹ’
5.4. 관형사형 어미 ‘-던/었던’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5.4.1. 동사 어간+‘-던/-었던’
5.4.2. 형용사 어간+‘-던/-었던’
5.4.3. ‘이-/아니-’+‘-던/었던’ 형
Ⅵ. 한국어 복합 관형어의 중국어 대응 표현
6.1. ‘관형사+관형사’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6.2. ‘관형사+체언 관형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6.3. ‘용언+관형사’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6.4. ‘체언 관형어+용언’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6.5. ‘용언+용언’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Ⅶ. 결 론
참고문헌
Author
이정실
중국장춘대학 일본어학과 학사, 한국인천대학교 한국어국문학과 석사, 한국충북대학교 대외한국어교육학과 박사과정을 거쳐 현재 지린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이다.
중국장춘대학 일본어학과 학사, 한국인천대학교 한국어국문학과 석사, 한국충북대학교 대외한국어교육학과 박사과정을 거쳐 현재 지린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