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 시, 연극, 영화 등 예술세계는 인간의 삶과 정서를 반영한다. 그중 빠지지 않는 소재가 있다면 사랑일 것이다. 인간에게 사랑은 숙명적이다. 후대를 남겨 자신의 유전자를 세상에 유지시킨다는 과학적인 관점에서 봐도 그렇고 역(易) 철학에서 말하는 음양의 조화라는 관점에서 봐도 그렇다. 그런데 사랑은 인간의 일생에서 덧없이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짧은 봄날처럼. 저자가 이 책을 쓴 이유도 여기에 있지 않을까 싶다.
이 책은 낮과 밤의 이치, 계절변화의 원리, 태양의 역할 등을 지구의 공전운동과 음양현상 등을 동원해 설명한다. 여기에는 과학과 수학의 원리와 역(易)이라는 동양철학까지 총망라해 있다. 인간에게 봄날이 덧없이 가는 이유를 알려주기 위해서 인간의 환경을 과학적, 역 철학적으로 접근한 것이다. 저자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봄날은 간다’라는 제목을 단 여러 시를 역 철학으로 해석하며 인생 중 봄날이 짧은 이유를 알려준다. 이처럼 이 책은 여러 학문을 바탕으로 인간의 삶과 자연의 이치를 조명하고 있다. 그렇기에 저자가 말하는 ‘봄날이 가는’ 이유와 그 ‘봄날이 짧게 느껴지는’ 이유가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문학작품을 역 철학으로 해석한 부분은 새롭게 느껴지면서도 재미있다. 여기에 평론 등을 통해 분석을 더하고 있어서 깊이도 있다. 문학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행복한 마음으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역 철학을 자연의 원리와 시적 감성을 바탕으로 쉽게 접하고 싶은 사람에게도 일독을 권하고 싶다.
Contents
책을 내면서
제1편 역易으로 보는 계절과 시
제1절 계절에 대한 역 철학적 이해
1. 음양 철학의 원천으로서의 자연
| 무위자연의 원상 |
| 태음태양력의 원리 |
- 해의 황도(黃道) 상 위치변화와 달의 백도(白道) 상 모양변화
| 계절변화의 원리 |
| 태양의 역할 |
2. 사상(四象)으로 보는 사계절의 원상(原象)
| 태극 · 양의 · 사상 · 팔괘의 기본개념 |
| 사상의 형성원리 |
근원적 음양과 현상적 음양
지구의 공전운동과 사상
3. 오행으로 보는 사계절론
| 오행의 생성원리 |
| 오행과 계절 |
| 사상과 오행의 상보성 |
1. 시작하는 글
2. 시와 시적 사유
| 시와 시적 사유에 대한 정의 |
| 시와 관련된 용어의 어원(語源) |
| 감성과 사유, 그리고 직관 |
| 시를 쓰는 마음과 도를 구하는 마음 |
3. 존재, 그리고 언어와 시
| 존재란 무엇인가? |
| 존재와 언어, 그리고 시 |
제1절 봄
춘풍사 春風辭
1. 서양의 봄과 동양의 봄
| 봄날을 노래하는 시들 |
| 엘리엇의 시(詩) 「황무지」의 역학적 의미 |
간지의 의의와 기원
간지와 음양오행
토(土)의 역할과 「황무지」의 비교
수(水)로서의 비의 작용
북유럽의 봄과 한반도의 봄
2. 정지상의 「송인」과 중국의 「양관삼첩」
백설희의 노래 「봄날은 간다」
1. 「송인」과의 비교
2. 노래의 이력(履歷)
3. 천양희 시인의 경우
4. 봄이 짧고 봄날이 슬픈 이유
백설희 이후의 봄날들
- 정일근과 기형도의 시 「봄날은 간다」
1. 시를 쓰는 이유 - 타자에 대한 그리움
| 시 쓰는 이유 |
| 타자(他者) |
타자 - 외재성과 무한성을 지니는 존재
타자와의 관계
사랑의 타자성
| 그리움 |
2. 정일근 시인의 봄날
| 고향 - 소년과 소녀가 사는 곳 |
| 삶의 의미 |
3. 기형도 시인의 봄날
| 이상(李箱)과 기형도(奇亨度) |
이상과 기형도의 문학사적 의의
이상과 기형도의 죽음 의식
1) 『주역』으로 보는 죽음론
2) 이상과 기형도의 죽음에 대한 사유 차이
| 죽음의 타자성 |
| 죽음에 대한 그리움 |
제2절 여름과 가을, 그리고 겨울
1. 산(山) - 공간적 멈춤
| 산의 정황|
| 산의 오행성과 괘상|
| 공간과 시간, 기호 |
공간과 시간
기호
| 산의 존재방식 |
| 산과 인간 |
2. 씨앗, 꽃, 열매 - 시간적 흐름
| 씨앗과 열매 |
| 씨앗과 꽃, 그리고 열매 |
-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로의 시간적 흐름
꽃의 역할
현재인 꽃과 사랑의 관계
시간의 인식
- 과거에 대한 기억과 미래에 대한 기대작용
기억의 장소성
3. ‘세한도’ - 공간과 시간의 정지 미학
| 희고 맑은 겨울 색 - ‘세한도’ |
| 겨울 - 공간과 시간의 침묵 |
| 겨울나기 |
| 결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