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성현이 말한 것처럼, 참으로 인간의 삶은 꿈과 같다. 어느 날 나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이 세상에 태어났으며, 또 어느 날 나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삶을 마감해야 한다. 그런데 우리 인간은, 비록 동물에서 진화해 나온 동물의 한 종류이지만, 다른 동물처럼 삶을 살아갈 수 없는 존재이다. 우리에게는 ‘나’라는 자아의식이 있고, 또 그 결과 자신의 ‘죽음’이라는 실존적 문제의 고통을 겪고 살아가야만 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는 절대주의가 사라진 상대주의의 시대를 살고 있다. 흔히 말하기를, 절대주의가 사라진 이 시대를 허무주의가 지배한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우리는 이와는 달리 이 시대를 이해할 수도 있다. 과거에 절대주의가 지배했던 시대를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어떤 것을 절대적인 존재로 생각했던 시대에 나타난 폭력성을 잘 알고 있다. 비록 상대주의가 한편으로 허무주의를 낳았지만,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보면 이 상대주의는 우리 인간을 이 절대주의의 폭력성으로부터 자유롭게 해주는 측면도 존재한다. 그러므로 단순히 부정적인 것으로만 이해할 필요는 없다.
이 책은 장자 철학을 단순히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한 오늘날 현대 사회가 마주하고 있는 실제적인 문제와 연계하여 논의하려고 하였다. 그러므로 엄밀하게 말하자면 장자 철학은 한 가지 수단, 도구일 뿐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 논의하고자 한 문제의 그 궁극적인 목적은 지금 우리가 처하고 있는 많은 인생의 문제에 대해 좀 더 분명히 고찰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우리는 그 분명한 정답을 얻을 수는 없을 것이다. 우리 인생의 문제에는 어떤 객관적인 정답이란 것이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물음 자체가 무의미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어차피 인생이란 이러한 물음의 정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아닐까? 정답이 없는 물음에 대한 정답이 없는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
Contents
|들어가는 말|
제1장 꿈속에서 꿈을 꾸는구나!
제1절 꿈속에서 꾸는 꿈 | 13
1. 인식과 실천 | 16
2. 인식의 주체-마음 | 31
3. 뇌 과학의 관점 | 36
4. 양자역학의 관점 | 38
5. 종합적 검토 | 44
제2절 H. 퍼트남의 〈통속의 두뇌〉 | 49
제3절 현대의 우주론 | 63
1. 메타버스 | 64
2. 우주론 | 65
제4절 영화 〈매트릭스 1〉 이야기 | 70
1.매트릭스와 설계자 | 71
2. 깨달은 자 | 77
3. 꿈 꾸는 자 | 83
제5절 정신과 물질의 관계 | 86
1. 인간의 행위와 자유 의지 | 88
2. ‘몸’이 없는 ‘마음’, ‘마음’이 없는 ‘몸’ | 94
(1) 인승마(人乘馬)의 은유 | 95
(2) ‘마음’과 ‘몸’, 그리고 ‘윤리 도덕’ 문제 | 101
3. ‘마음’과 ‘몸’의 관계에 관한 몇 가지 전통적 관점과 검토 | 111
(1) 전통적 관점 | 112
(2) 전통적 관점의 검토와 새로운 관점의 제기 | 115
4. 남은 문제점 | 121
제2장 삶이 있으니 죽음이 있네
제1절 인간의 실존 | 129
제2절 나의 삶과 죽음 | 144
1. 타자화된 죽음 | 145
2. 나의 죽음 | 159
제3절 세계의 본질 | 168
1. 기의 세계 | 168
2. 변화의 세계 | 171
제4절 삶과 죽음의 초월 | 174
1. 초월 경지 | 174
2. 소유에 대한 착각 | 177
3. 고향으로 돌아감 | 189
제3장 이 힘든 세상을 건너는 법
제1절 인간의 삶이란 이토록 허망한 것일까? | 205
1. 인간 삶의 부조리 | 206
2. 선택의 연속 과정 | 216
제2절 인생살이의 기술 | 220
1. 죽음과 욕망 | 221
2. 국가폭력 | 228
3. 삶의 지혜 | 237
4. 인간관계 | 244
제3절 한 번 태어난 인생인데…… | 254
1. 삶의 일회성 | 254
2. 알 수 없는 미래 | 258
3. 하늘이 준 생명 | 264
제4장 쓸모 있음과 쓸모 없음
제1절 세상에 절대 기준은 있는가? | 269
1. 사실판단 | 270
2. 가치판단 | 286
3. 사실판단과 가치판단의 관계 | 299
제2절 ‘옳음’과 ‘그름’ 그리고 ‘판단’의 문제 | 304
1. 가치 절대주의 시대 | 304
2. 가치 상대주의 시대 | 312
(1) 절대적 상대주의 | 316
(2) 완화된 상대주의 | 319
3. 장자의 입장 | 323
제3절 ‘쓸모 있음’과 ‘쓸모 없음’의 논쟁 | 332
1. 유용함과 무용함 | 333
2. 아름다움과 추함 | 344
제5장 우리의 ‘앎’이란 무엇인가?
제1절 우리 지식의 원천에 관한 몇 가지 관점 | 351
1. 장자의 입장 | 351
2. 인간의 논리-귀납과 연역 | 363
3. 진리와 언어 | 367
제2절 우리 지식의 근거는 무엇인가? | 385
1. 인간의 지식에 관한 논리①: 합리론 | 386
2. 인간의 지식에 관한 논리②: 경험론 | 388
3. 인간의 지식에 관한 논리③: 합리론과 경험론의 통합 | 390
4. 인간의 지식에 관한 논리④: 현대 철학의 관점 | 393
5. 인간의 지식에 관한 논리⑤: 동양의 ‘마음’의 관점 | 397
제3절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 405
|맺는말|
Author
이경환
전남대학교 철학과, 동 대학원 철학과 졸업
중국사회과학원 철학박사 학위
전남대학교 철학과 강사
전남대학교 철학과, 동 대학원 철학과 졸업
중국사회과학원 철학박사 학위
전남대학교 철학과 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