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남북관계 관련 언론보도는 많은 논쟁이 뒤따른다. 이념의 굴레, 취재의 한계와 극도로 제한된 정보, 첨예한 정치적 갈등이 구조화된 남북관계 분야는 어쩌면 저널리즘의 무덤이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북한학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는 남북관계 전문기자인 저자는, 이처럼 분단에서 비롯된 특수하고 부정적인 언론환경의 현상을 ‘분단 저널리즘’이라고 정리한다. 이것은 곧, “남북한이 대치하고 있는 특수한 상황 때문에 남한에서 생산되는 북한 및 남북관계 보도가 서구 저널리즘 원칙을 일탈하는 현상”으로 “북한과 남북관계를 다루는 남한 기자들이 공정성과 정확성, 객관성, 취재원 공개, 전문가 인용의 적정성 등 서구 저널리즘이 구축한 원칙을 지키기가 쉽지 않아 나타나는 언론보도의 부정적 측면”을 개념화한 것이다.
저자는 분단 저널리즘의 원인을 이념과 신념의 과도한 개입, 취재의 한계와 정보 부족, 서둘러 기사를 '생산'해 내야 하는 언론환경에서 찾는다. 그리고 분단 저널리즘 극복을 위한 10가지 노하우를 제시한다. 각각을 하나의 장에 할애하여 자신의 취재 및 보도의 경험 사례와 함께 실사구시적으로 논한다. 성공적인 취재와 기사작성의 방법을 자세하게 소개하며, 동시에 자신이 저질렀던 북한 관련 오보와 틀린 전망기사에 대해서도 솔직하게 반성하고 있다. 분단 저널리즘을 뛰어넘기 위해 발로 뛴 경험과 이론적 숙고가 함께 정리되어 있다. 또, 북한 관련 정책 입안자와 우리 사회에 던지는 제안들도 구체적이고 탄탄하다. 기자의 경험담을 역은 책이지만, 비단 기자 뿐만이 아니라 언론의 북한 및 남북관계 보도를 통해 정보를 접하고 이를 토대로 판단하는 독자들의 인식이 확장에도 기여하고 있다. 저널리스트의 현장 경험과 연구자의 안목을 갖춘 동시대의 남북관계에 대한 기록을 통해 토론하고 성찰할 것들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프롤로그
1장 당국자 크로스 체크
당국자는 내용을 잘 아는 기자를 찾는다 / 복수의 당국자를 교차 취재하라 / 여론의 관심이 지나가면 당국자는 입을 연다 / 때론 북한 당국자도 제보를 한다 / 다른 두 사건의 상관관계를 찾아 질문을 던져라 / 알고 물어보면 부인하지는 않는다 / 비밀을 보도하면 다른 비밀이 굴러 들어온다 / 북한 매체들은 대남 당국자들의 입 / 당국자들의 견해가 갈리면 노선갈등의 증거다 / 평가는 역사의 몫에 맡기는 것이 낫다 / 북한 당국자들의 속마음을 읽어라
2장 북한을 계량화하라
북한 대남정책을 예측할 수 있는 다섯 가지 이유 / 북한 대남 정책의 패턴을 수치화하라 / 북한 대남정책 그래프로 그려라 / 노동신문 톱기사도 수치와 그래프로 변환할 수 있다 / 북한의 ‘남한 당국자 비난’도 훌륭한 그래프 자료
3장 북한 사람들에 귀 대기
탈북자와 대화하려면 북한을 공부하라 / 이해와 경청으로 탈북자의 마음을 사라 / 탈북자는 보수라는 편견을 버려라 / 북한을 배우는 제자의 자세가 좋다 / 남북한의 메신저들을 주목하라 / 북한 정보의 글로벌 네트워크에 접속하라 / 북한 전문 매체 보도 옥석 가리기 / 신년 공동사설은 북한 한해 정책 청사진
4장 이론으로 북한 보기
이론의 핵심을 파악하고 요약하라 / 이론이란 프리즘으로 각국 사례 비추기 / 이론은 설명을 돕지만 예측은 틀리기 쉽다 / 위험 감수한 ‘학문적 추측’은 논의 풍성하게 해 / 대북 당국자의 박사학위 논문은 내공 덩어리 / 비교사회주의 방법론의 저널리즘적 활용
5장 역사 속 진실 찾기
북한 외교문서는 역사의 보물창고 / 박정희 정권시절, 남북 밀월기 / 외교문서는 북한 당국자들의 고백록 / 자료에 굶주린 학계가 주목하도록 만들라 / 북한도 남한을 끊임없이 공부한다 / 명분과 속내 다른 문서 속 김일성
6장 남한 사람들에 귀 대기
같은 고민하는 지식공동체에 뛰어들라 / 현장 지키는 당국자들의 현장 체험 들어라 / 소외된 이들에게 마이크를 들이대라 / 설문조사는 전문가 네트워크와 함께
7장 세계 사람들에 귀 대기
미국은 북한과 대화하고 남한 당국자 의견 듣는다 / 독일 통일 과정은 종합 참고서 / 백문이 불여일견… 통독 현장 체험하기
8장 북한 영상에서 진실 캐기
긴급 상황은 전문기자의 무대… 아는 만큼 말할 수 있다 / 신속 보도가 생명… 불확실하면 추론이라도 전하라 / 영상에 지적인 의미를 부여하라 / 북한 영상 전문기자 변영욱의 김정은 영상 감상기 / 신문과 방송, 다르지만 같다
9장 경험으로 설득하기
나와 우리의 경험 모으기 / 어딘가 적어두면 반드시 활용할 날이 온다 / 자기고백이 가장 설득적이다
10장 한국 사회에 고함
학제간 ‘통섭’으로 새 주장 찾기 / 가능한 여러 사람의 목소리를 모아라 / 정책제안은 구체적일수록 좋다
에필로그
Author
신석호
동아일보 국제부 차장, 북한 및 남북관계 전문기자이다. 종합편성 TV인 채널A의 개국멤버로 참여한 신방 겸용기자이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1993)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제정치학 석사과정을 수료(1996)했다. 1995년 입사해 기자생활을 시작한 뒤 사회부, 신동아팀, 경제부, 경영전략실 등을 거쳤다. 경제부 기자 시절인 2002년 북한공부를 시작해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에서 “북한의 경제개혁에 관한 연구: 7·1경제관리 개선조치와 종합시장 도입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북한학 석사학위(2004)를 받았다. 이어 이 학교의 후신인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북한과 쿠바의 경제위기와 개혁”으로 신문기자로는 처음으로 북한학 박사학위(2008)를 취득했다. 좋은 선후배들과 일했던 덕분에 1997년과 2001년 「한국 기자상」, 2000년 「관훈언론상」, 2006년 「씨티그룹 대한 민국 언론인상」, 2009년 「삼성언론상」을 받았다.
2002년 6월 29일 평양을 처음 방문했으며 2008년까지 모두 아홉 차례 북한을 방문해 취재했다. 박사학위 논문 집필을 위해 회사의 허락을 받아 1년 동안 국내 연수를 하던 중이던 2007년 11월 8박 9일 동안 쿠바에 다녀왔다. 저서로 『토요일에는 통일을 이야기합시다』, 『김정일과 카스트로가 경제위기를 만났을 때』등이 있다.
동아일보 국제부 차장, 북한 및 남북관계 전문기자이다. 종합편성 TV인 채널A의 개국멤버로 참여한 신방 겸용기자이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1993)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제정치학 석사과정을 수료(1996)했다. 1995년 입사해 기자생활을 시작한 뒤 사회부, 신동아팀, 경제부, 경영전략실 등을 거쳤다. 경제부 기자 시절인 2002년 북한공부를 시작해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에서 “북한의 경제개혁에 관한 연구: 7·1경제관리 개선조치와 종합시장 도입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북한학 석사학위(2004)를 받았다. 이어 이 학교의 후신인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북한과 쿠바의 경제위기와 개혁”으로 신문기자로는 처음으로 북한학 박사학위(2008)를 취득했다. 좋은 선후배들과 일했던 덕분에 1997년과 2001년 「한국 기자상」, 2000년 「관훈언론상」, 2006년 「씨티그룹 대한 민국 언론인상」, 2009년 「삼성언론상」을 받았다.
2002년 6월 29일 평양을 처음 방문했으며 2008년까지 모두 아홉 차례 북한을 방문해 취재했다. 박사학위 논문 집필을 위해 회사의 허락을 받아 1년 동안 국내 연수를 하던 중이던 2007년 11월 8박 9일 동안 쿠바에 다녀왔다. 저서로 『토요일에는 통일을 이야기합시다』, 『김정일과 카스트로가 경제위기를 만났을 때』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