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인을 치료해 온 길 위의 의사, 14년의 연구 기록
노숙인들을 비롯한 의료취약계층만을 치료해 온 길 위의 의사, 최영아 도티기념병원 내과 과장의 연구 기록을 정리한 책이다. 노숙인이 누구인지, 노숙이라는 말의 정의와 실제 의미는 무엇인지, 이들에 대한 잘못된 사회 인식의 출발점은 어디인지, 노숙인을 비롯한 의료취약계층의 규모는 어떠한지 등을 조사했다. 더불어 지난 14년간의 경험과 자료를 바탕으로 노숙인들에게 나타나는 주요 질병들을 연구하고 분석했으며, 외국의 선행 연구 자료들과도 비교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노숙인들의 진료와 재활 및 사회복귀를 위한 지원 정책과 사회적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Contents
머리말
서문
제1장 노숙인의 질병에 관한 관심
1. 노숙인은 누구인가?
2. 노숙인이라는 말의 뜻은?
3. 노숙인이라는 말의 실제 의미는?
4. 노숙인은 왜 증가하는가?
5. 노숙인 연구는 왜 필요할까?
6. 노숙인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7. 노숙인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8. 노숙인의 삶이 바뀌어야 질병이 조절된다
9. 노숙인을 위한 사회적 제도와 해결 방안은?
제2장 노숙인의 질병에 관한 이해
1. 외국에서 선행된 노숙인의 질병에 관한 연구는?
2. 우리나라 노숙인의 질병 조사 연구는?
3. 우리나라 노숙인의 질병 조사 결과는?
4. 삶을 이해해야 질병을 이해할 수 있다
제3장 노숙인의 삶에 관한 이해
1. 외국인들은 노숙인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2. 우리나라 사람들은 노숙인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3. 우리나라 노숙인들은 어떻게 생활하고 있을까?
제4장 노숙인을 위한 법과 정책
1. 노숙인 법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2. 노숙인 법의 내용과 그 의미는?
3. 의료취약계층의 규모는 어떠한가?
4. 노숙인 정책의 한계는 여전하다
5. 노숙인 집단생활시설의 한계는 무엇인가?
6. 사회복지서비스의 한계는 무엇인가?
7. 노숙인 스스로의 취약성도 문제다
제5장 노숙인 지원 정책과 사회적 해결 방안 제안
1. 의료취약계층의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2. 노숙인 의료지원시스템, 이렇게 바꿔야 한다
3. 노숙인에 대한 새로운 사회적 인식이 필요하다
4. 민관협력과 민간 네트워크가 중요하다
5. 노숙인 주거 정책을 제안한다
6. 노숙인 관련 법을 통해 사회 인식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6장 결론
1.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화해야 한다
2. 가난한 사람들의 영향력은 크다
3. 질병을 이해하려면 인간을 이해해야 한다
4. 의료취약계층을 반드시 진료해야 한다
5. 의사는 환자 곁에 있어야 한다
6. 의료취약계층 진료를 통해 의사소통 훈련을 받는다
7. 인간의 고통에 대해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8. 의료인들을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