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7년생. 도시샤대학 글로벌 스터디즈 연구과 교수. 요즘 생각하는 것은 이러한 것이다. 집단적으로 사유하는 것만이 아니라, 사유한다는 행위 자체가 집단을 만들 수 있다면, 어떻게 사유하고 어떤 집단을 만들어 갈 것인가. 이것이 학술(學知)의 장에서 가장 물어져야 할 것이 아닐까? 이것이 사상이라는 문제가 아닐까?
한국어로 번역된 저서로는 『전장의 기억』(임성모 옮김, 이산, 2002), 『폭력의 예감』(손지연 외 옮김, 그린비, 2009), 『유착의 사상』(심정명 옮김, 글항아리, 2015), 『시작의 앎』(始まりの知, 法政大學出版局, 2018 [문학과지성사, 근간]) 등이 있다. 번역되지 않은 저서 및 편저는 『근대일본과 ‘오키나와인’』, 편저로는 『기억이 말하기 시작한다』, 『포스트 유토피아 인류학』, 『현대오키나와의 역사경험』, 『컨프릭트로부터 묻는다』, 『아마세에』, 『군사적 폭력을 묻는다』 등이 있다.
1957년생. 도시샤대학 글로벌 스터디즈 연구과 교수. 요즘 생각하는 것은 이러한 것이다. 집단적으로 사유하는 것만이 아니라, 사유한다는 행위 자체가 집단을 만들 수 있다면, 어떻게 사유하고 어떤 집단을 만들어 갈 것인가. 이것이 학술(學知)의 장에서 가장 물어져야 할 것이 아닐까? 이것이 사상이라는 문제가 아닐까?
한국어로 번역된 저서로는 『전장의 기억』(임성모 옮김, 이산, 2002), 『폭력의 예감』(손지연 외 옮김, 그린비, 2009), 『유착의 사상』(심정명 옮김, 글항아리, 2015), 『시작의 앎』(始まりの知, 法政大學出版局, 2018 [문학과지성사, 근간]) 등이 있다. 번역되지 않은 저서 및 편저는 『근대일본과 ‘오키나와인’』, 편저로는 『기억이 말하기 시작한다』, 『포스트 유토피아 인류학』, 『현대오키나와의 역사경험』, 『컨프릭트로부터 묻는다』, 『아마세에』, 『군사적 폭력을 묻는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