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을 막론하고 다양한 교단들에서 개혁주의라는 용어가 모호한 의미로 사용됨에 따라, 도대체 개혁주의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작업이 쉽지 않게 되었다. 개혁주의에 대한 해석의 문제를 차치하고서라도, 그 용어에 대한 연대기 및 지리적인 구분 자체는 개혁주의가 매우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개혁주의의 의미에 관련된 학자들의 주장들과 복잡한 학문적 논쟁들은 개혁주의의 역사를 규명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을 말해준다. 어느 한 사람의 특정한 관점을 수용하는 것이 개혁주의 전체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그들 모두의 의견을 수렴한다면 개혁주의의 의미가 너무 방대해져서 개혁주의 역사의 연구에 대한 접근 자체가 처음부터 난관에 봉착하게 될 것이다. 다행히 이러한 난제가 개혁주의의 역사를 신학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시도 자체를 차단하는 것은 아니다. 필자는 개혁주의의 역사를 설명하기 위하여 신학의 주제, 재료, 성격의 측면에서 일관된 순서를 취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개혁주의의 역사를 한 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고려했다. 독자들은 본서를 통해 개혁주의 역사의 중심에 신학과 삶의 조화를 이루는 경건이 고요히 흐르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개혁주의의 역사는 성경과 신학을 토대로 경건이라는 나무를 배양한 역사였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말씀하셨다.
또 비유를 들어 이르시되 천국은 마치 사람이 자기 밭에 갖다 심은 겨자씨 한 알 같으니 이는 모든 씨보다 작은 것이로되 자란 후에는 풀보다 커서 나무가 되매 공중의 새들이 와서 그 가지에 깃들이느니라(마13:31-32).
10장 청교도의 율법 이해: 앤서니 버지스(1600-1663)와 윌리엄 스트롱(d. 1654) · 209
11장 청교도의 성경 교육: 로버트 에벗(Robert Abbot, 1588-1662)의 소요리 문답서 · 232
12장 청교도의 준비 교리: 조나단 에드워즈(1703-1758) (15) · 260
5부 / 17세기 정통 스콜라 개혁주의: 신학의 체계화 289
13장 개혁파 스콜라 신학 서론: 페트루스 판 마스트리흐트(1630-1706) · 291
14장 개혁파 스콜라 성경 교리: 프란시스 툴레틴(1623-1687) · 316
15장 개혁파 스콜라 언약 교리: 요하네스 콕세이우스(1603-1669) · 342
6부 / 19-20세기 개혁주의: 기독교 세계관 365
16장 북미의 개혁주의: 벤자민 B. 워필드(1851-1921)의 칼빈주의 · 367
17장 화란의 개혁주의: 카이퍼(1837-1920)와 바빙크(1854-1921)의 기독교 세계관 · 386
18장 개혁주의 성경론: 바빙크(1854-1921)와 워필드(1851-1921)의 성경론 비교 · 413
결론 430
참고문헌 434
Author
류길선
충북대학교 경영학과(B.A)를 거쳐 총신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M. Div.)를 한 후, 도미하여 미국 칼빈 신학교에서 신학 석사(Th. M, 조직신학)를 졸업하였다. 이후 미국 트리니티 신학교에서 조나단 에드워즈의 언약 신학을 전공으로 역사신학 박사학위(Ph. D)를 취득하였다.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과의 교회사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는 박사 논문을 수정하여 출판한 Federal Theology of Jonathan Edwards: An Exegetical Perspective(Lexhem Press, 2021)가 있으며, 역서로는 휘트니 G. 갬블의 『웨스트민스터 총회의 반율법주의 논쟁』(개혁주의신학사, 2021)이 있다.
충북대학교 경영학과(B.A)를 거쳐 총신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M. Div.)를 한 후, 도미하여 미국 칼빈 신학교에서 신학 석사(Th. M, 조직신학)를 졸업하였다. 이후 미국 트리니티 신학교에서 조나단 에드워즈의 언약 신학을 전공으로 역사신학 박사학위(Ph. D)를 취득하였다.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과의 교회사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는 박사 논문을 수정하여 출판한 Federal Theology of Jonathan Edwards: An Exegetical Perspective(Lexhem Press, 2021)가 있으며, 역서로는 휘트니 G. 갬블의 『웨스트민스터 총회의 반율법주의 논쟁』(개혁주의신학사, 2021)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