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상사를 갈등과 투쟁의 관점에서 서술함으로써, 예교사상에 대한 역사적·전체적 조망을 얻도록 도와주며, 특히 중국역사에서 여성이 받은 억압과 핍박,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이론전개와 투쟁의 역사를 자세히 알려주는 장점이 있다.
Contents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서 론
제1장 중국 예교의 출현 및 형성·다툼의 시대 - 춘추·전국
제1절 유가(儒家)의 창시자 공자(孔子)가 확립한 종법예교(宗法禮敎) 이론
제2절 유가의 종사(宗師)인 맹자와 순자가 널리 떨친 종법예교 이론
제3절 겸애주의(兼愛主義)로 유가의 종법예교를 반대한 묵자
제4절 자연주의의 입장에서 유가의 종법예교를 반대한 노자·장자
제5절 군주가 백성과 함께 농사지을 것을 주장한 농가(農家) 허행(許行)
제6절 ‘식색(食色)은 천성’임을 주장한 고자
제7절 전기 법가인 상앙(商)은 법치로써 유가의 예치를 반대하였다
제8절 유가의 삼순(三順)주의를 찬양한 후기 법가 한비(韓非)
제2장 중국 유가예교사상의 독존적인 시대 - 한·당
제1절 예교가 구체화된 대소대(大小戴) 예기·효경·역전
제2절 삼강(三綱)으로 예교를 신학화한 동중서(董仲舒)
제3절 종법·혈통관념을 타파한 사마천(司馬遷)
제4절 조조(曹操)·노수(路粹)의 비효론
제5절 한대(漢代)에 여자에게 고압적이었던 세 권의 책
제6절 예교를 현학적으로 만든 하안(何晏)·왕필(王弼) 등
제7절 예교를 통렬히 책망한 완적(阮籍)·혜강(康)·포경언(鮑敬言)
제8절 일방적인 예교를 반대한 사안(謝安)부인과 산음(山陰)공주
제9절 ‘자손은 나와 무관하다’는 논설을 편 안지추(顔之推)
제10절 불교 대사(大師)의 예속(禮俗)을 반대하는 논설
제11절 조정과 재야에서 과감히 예교에 반기를 든 여자황제 - 진석진(陳碩眞)과 무측천(武則天)
제12절 한유(韓愈)의 절대군주론
제13절 예교와 불교의 합일을 주장한 유종원(柳宗元)·종밀(宗密) 등
제14절 당대(唐代)의 여자로서 여자를 압박한 세 권의 책
제3장 중국 예교사상이 변절·강화된 시대 - 송·원·명·청(宋元明淸)
제1절 예교를 북학화한 지원(智圓)·계숭(契嵩) 등
제2절 환관제도를 반대한 하송(夏)
제3절 예의 중요성을 논한 이구(李)·사마광(司馬光)
제4절 예교를 이학화(理學化)한 장재(張載)·정이(程)·주희(朱熹) 등
제5절 허형(許衡)·오징(吳澄)의 진부하고 신화화된 삼강설(三綱說)
제6절 만물은 욕망을 절제해야 한다는 주장을 배척한 한방기(韓邦奇)
제7절 임조은(林兆恩)의 ‘삼일교(三一敎)’와 삼강주의(三綱主義)
제8절 공개적으로 공자의 예교를 반대한 이지(李贄) - 남녀이원론(男女二元論)
제9절 ‘절개를 잃는 것이 큰일’이라는 주장을 통렬하게 비판한 서윤록(徐允祿)
제10절 군권(君權)을 크게 반대한 황종희(黃宗羲)·당견(唐甄)
제11절 노비 학대를 반대한 장리상(張履祥)
제12절 전통예교를 사수(死守)한 왕선산(王船山)·안원(顔元)
제13절 승려와 도사를 비구니와 기생과 짝지어 줄 것을 주장한 왕원(王源)·이공(李)
제14절 역사적 인물들이 여러 번 혼인했다고 추론한 정우문(程羽文)
제15절 남녀관계가 천연의 자연적인 감정이라고 생각한 황중견(黃中堅)·육규훈(陸奎勳)
제16절 원매(袁枚)의 반예교(反禮敎)·반이학(反理學)의 정감주의(情感主義)
제17절 이 시기 전후의 정감의 중요성을 강조한 사람들
제18절 공자의 도는 다만 예일 뿐이라고 주장한 능정감(凌廷堪)
제19절 남녀 지위의 교체를 주장한 이여진(李汝珍)
제20절 여성의 처지를 극히 동정한 유정섭(兪正燮)
제21절 명·청시대의 여사서(女四書)
제22절 명·청시대의 비교적 개명한 사람들의 여성문제에 대한 논의
제23절 명·청시대 부녀자의 핍박을 고취(鼓吹)한 사람들
제24절 부녀의 작은 발의 아름다움을 찬미한 이어(李漁)·방현(方絢)
제25절 기타 예론(禮論)
제4장 중국유가 예교사상이 충격을 받기 시작한 시기 - 청말·민초(淸末民初)
제1절 태평천국 농민혁명과 예교문제
제2절 왕사탁(汪士鐸)의 귀남천녀(貴男賤女)에 근거한 인구론과 우생학
제3절 중체서용(中體西用)파의 유가 예교 선양
제4절 “논어의 내용은 모두 예에 관한 것”이라고 주장한 진례(陳澧)
제5절 예(禮) 이외에는 배울 것이 없다고 주장한 왕선겸(王先謙)
제6절 대동세계(大同世界)는 반드시 남녀평등, 각자 독립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 강유위(康有爲)
제7절 전기(前期) 엄복(嚴復)과 양계초(梁啓超)의 반공(反孔), 반예교(反禮敎)
제8절 예교에는 반대했지만 공자의 학문은 높인 담사동(譚嗣同)
제9절 유신파(維新派)의 전족(纏足) 반대운동
제10절 섭덕휘(葉德輝)의 여권운동에 대한 비판
제11절 남녀평등을 일관되게 주장하고 실천한 채원배(蔡元培)
제12절 시종 예교진영(禮敎陣營)을 고수한 장태염(章太炎)
제13절 추근(秋瑾)의 “남녀평등[男女平權]” 사상 - “여자는 필경 소와 말과 같다 -
제14절 여권(女權) 만세를 높이 외친 김일(金一)
제15절 무정부주의자들의 반공(反孔), 반예교(反禮敎)
제16절 신해혁명(辛亥革命) 십년 전에 시작된 반공(反孔), 반예교(反禮敎) 운동
제17절 존공(尊孔), 존예교(尊禮敎), 존고문(尊古文)을 배척한 황원용(黃遠庸)
제18절 공자를 교주(敎主)로 높인 진환장(陳煥章) - 공자최현대화설(孔子最現代化說) -
제19절 예교(禮敎)가 사람을 금수로부터 구별시켜 준다고 주장한 요평(蓼平)
제20절 신문화운동 이전의 존공(尊孔), 독경(讀經), 충군(忠君) 운동
제5장 중국유가 예교사상이 붕괴로 치달은 시대 - 오사(五四)시기
제1절 ‘오사(五四)’시기 반공(反孔), 반예교(反禮敎)운동의 ‘총사령관’이었던 진독수(陳獨秀)
제2절 “공자주의(孔子主義)는 곧 강상명교(綱常名敎)”임을 지적한 이대초(李大釗)
제3절 “공자의 상점을 타도한 노영웅(老英雄)”으로 이름 높던 오우(吳虞)
제4절 ‘공자상점[孔家店]’과 사람 잡아먹는 예교 타도에 찬동한 호적(胡適)
제5절 반공(反孔), 반도교(反道敎)가 “민주와 과학”의 범주에 속한다고 생각한 전현동(錢玄同)
제6절 여자도 독립된 인격을 갖추어야 함을 논한 섭소균(葉紹鈞)
제6장 ‘오사’ 이후 공자와 예교를 높이는 진영과 반대하는 진영의 끝없는 투쟁(上)
제1절 앞으로의 세계에서 유가의 예악을 완전히 고쳐 쓸 수 있다고 긍정한 양수명(梁漱溟) - “공자는 실로 모든 것을 조감할 수 있었다.”
제2절 자유롭게 혼인하고 이혼하는 여성을 ‘공공의 아내’라고 비방한 노신(盧信)
제3절 동서고금을 통해 예교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 대계도(戴季陶)
제4절 전국책파의 파쇼 여성관
제5절 세계문화 중 육예(六藝)가 최고라는 마부(馬浮)의 이론
제6절 “사람을 잡아먹는 예교”라는 구호를 반대한 사유위(謝幼偉) - “모든 것이 예를 근거로 한다”는 이론
제7절 시종일관 유가의 예교를 찬양한 전목(錢穆) - 예교가 사람을 잡아먹는 것은 연애가 사람을 잡아먹는 것과 같다는 설
제8절 구식의 예교가 규범을 쇄신시킨다는 하린(賀麟)의 주장 - 삼강은 실로 오륜의 핵심이다
제9절 공자와 중국사학은 예를 핵심으로 한다는 유이징(柳徵)의 이론
제7장 ‘오사’ 이후 공자와 예교를 높이는 진영과 반대하는 진영의 끝없는 투쟁(中)
제1절 여성 중심사회를 제창한 장경생(張競生), 유인항(劉仁航)
제2절 고홍명(辜鴻銘), 반광단(潘光旦)의 남성우월주의
제8장 ‘오사’ 이후 공자와 예교를 높이는 진영과 반대하는 진영의 끝없는 투쟁(下)
제1절 시종일관 공자와 예교에 반대하는 투쟁을 한 노신(魯迅)
제2절 봉건예교에 대해 폭로한 역백사(易白沙)
제3절 여자 자신이 권리를 지키고 외쳐야 한다고 주장한 풍비(馮飛), 만박(萬璞)
제4절 상경여(向警予)의 여성해방사상 - 종법예교의 여성박해
제5절 도행지(陶行知)와 양현강(楊賢江)의 반예교적(反禮敎的) 교육사상
제6절 중국 여권운동사의 최고봉 송경령(宋慶齡) - 중국의 공자의 예교사상을 깨끗이 쓸어버려야 한다
제7절 예교화된 중국미술계의 문을 깨부순 반옥량(潘玉良)
제8절 예교문화를 다시 일으키는 것에 반대한 두국상(杜國庠)
제9절 공자사상체계의 여러 덕목이 모두 예에 종속되어 있다고 주장한 조기빈(趙紀彬)
제10절 그 밖의 주장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