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크게 나말여초(羅末麗初) 불교와 사회사상사의 혁명을 몰고 온 구산선문(九山禪門)의 원류라고 할 수 있는 중국 남종선의 도입과 관련된 전반부 논문 6편과 신라 의상 대사 및 해상왕 장보고와 연관된 ‘관음설화’ 및 ‘관음도량’을 서술한 후반부 논문 7편으로 편성되어 있다. 특히 이 책에서는 당시 한·중간 불교교류가 육로가 아닌 해로를 통한 ‘해양불교의 시대’였음을 역설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당시 재당 신라 상인 등 해양인들이 기도처로 삼았던 『법화경(法華經)』 「관음보살보문품(觀音菩薩普門品)」의 관음신앙과 관음설화의 유행에 주목하고 있다.
Contents
서문
제1부 | 남종선의 구법 및 전법
1장. 도의의 재당 구법행정에 관한 연구
- 『조당집(祖堂集)』 관련 기사의 비판적 검토
1. 서 언
2. 오대산 참배와 화북의 남종선
3. 소주 육조의 행화지 순례
4. 홍주종과 신라 도의
5. 결 어
2장. 혜소의 입당 구법과 도의와의 동행순력고
- 『송고승전』 「당주신감전(唐州神鑑傳)」과 관련하여
1. 서 언
2. 입당 후 신감 문하(神鑑門下)의 구법
3. 장강 유역 및 사천 등처(等處) 순력(巡歷)
4. 결 어
3장. 당말오대 민월 설봉문도의 오월 진출과 ‘동국승’ 영조
1. 서 언
2. 민월의 설봉산문과 조포납(照布衲) 영조
3. 설봉문도의 절동(浙東) 진출과 제운산(齊雲山) 영조
4. 설봉산문의 항주 전법과 용화사 영조
5. 오월 지역 설봉산문의 전등(傳燈) 네트워크
6. 결 어
제2부 | 법안·천태종의 교섭과 동아시아 해양불교
1장. 법안종의 등장과 해양불교의 전개
- 10세기 중국 동남 연해의 한중 불교교류
1. 서 언
2. 법안종의 형성과 동남 연해의 불교교류
3. 법안종의 금릉(金陵) 전등(傳燈)과 해양 실크로드
4. 법안종의 해양불교적 발전
5. 결 어
2장. 의통 보운(義通寶雲)의 절동(浙東) 구법과 전교
- 오월 후기 법안·천태종과 고려불교
1. 서 언
2. 고려 의통의 도해와 구법
3. 오월 불교 제종(諸宗)의 교섭과 고려승
4. 나계의 교학 중흥과 고려불교
5. 의통 보운과 명주 전교원
6. 결 어
부편(附篇) 교·상 일체적 시각에서 본 해상왕 장보고
- 9세기 동아지중해상(東亞地中海上)의 영웅
1. ‘해상왕 장보고’는 누구인가?
2. 해도인 궁복(弓福)에서 무장(武將) 장보고로
3. 재당 신라인 사회와 적산 법화원
4. 청해진의 설치와 동아지중해(東亞地中海) 제패
5. 장보고 이후의 동아지중해 세계
제3부 | 해양 불교교류와 그 설화의 세계
1장. 동아시아 해양불교의 전개와 굴절
1. 해양신앙과 해양불교
2. 9세기 해양불교의 전개
3. 10세기 해양불교 시대의 번영
4. 송대 이후 해양불교의 굴절
2장. 선묘(善妙)와 낙산 이대성(二大聖)
- 9세기 해양불교 설화의 세계
1. 서 언
2. 「의상전」의 선묘설화와 관음신앙
3. 선묘(善妙)와 낙산설화의 해양불교적 의미
4. 범일과 정취보살(正趣菩薩)
5. 결 어
3장. 중국 보타산 관음도량과 신라 상인
- 보타산 불긍거관음전(不肯去觀音殿)은 제2의 낙산 홍련암
1. 서 언
2. 일본 혜악의 불긍거관음전 연기설의 검토
3. 『고려도경(高麗圖經)』 관계기사의 검토
4. 절동(浙東)의 발전과 나당 교류
5. 조음동 불긍거관음전은 제2의 낙산 홍련암
6. 결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