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초보 불교 교리박사 되다

$10.93
SKU
978897009425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13 - Thu 12/1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Thu 12/1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06/10
Pages/Weight/Size 135*195*30mm
ISBN 9788970094250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민족사 왕초보 시리즈 교리편. 불교 교리에는 인생에 대한 깊은 성찰이 담겨 있고, 이 세계와 마음의 구조에 넓은 조망이 펼쳐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불교 교리에 대한 해석과 해설이 너무 현학적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너무 가벼워서 그 깊은 맛과 넓은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왕초보 불교 교리박사 되다』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불교에 처음 입문하는 초보자도 불교교리 전반을 알기 쉽고 유익하게, 그리고 깊이 있게 자신을 성찰하면서 읽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초기불교에서부터 대승불교 및 불교 역사, 불교 신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중요한 교리를 모두 망라해서 다루었기 때문에 이 한 권의 책으로도 불교 전반을 파악할 수 있으며, 상황이나 시대에 따라 불교교리가 어떻게 달리 적용되는가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불교 용어가 갖고 있는 다의적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Contents
1장 불교의 특징과 부처님의 가르침
1 종교의 의미, 자력종교와 타력종교
2 불교의 의미와 특징
3 부처, 여래, 여래십호
4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애
5 대기설법, 차제설법, 방편

2장 불교의 기본 교리와 지식
1 연기법, 인연, 12연기
2 사법인 : 무상, 무아, 고, 열반
3 사성제, 팔정도, 삼학
4 오온, 오취온, 오분법신
5 십이처, 십팔계
6 중도
7 업과 인과
8 윤회, 육도윤회, 삼세윤회
9 삼계:욕계 · 색계 · 무색계, 삼천대천세계
10 번뇌, 108번뇌, 번뇌즉보리
11 삼매, 반주삼매, 일행삼매
12 열반, 해탈, 깨달음, 돈오

3장 대승불교의 교리와 지식
1 공의 의미와 그 여러 가지 뜻
2 화엄의 세계, 해인삼매와 화엄삼매
3 법화경, 성불
4 정토신앙의 세계
5 선과 선불교의 가르침
6 일체유심조

4장 불교역사를 따라서 읽는 교리와 지식
1 경전과 삼장, 대장경
2 아함경과 니카야는 어떤 경전인가
3 원시불교와 부파불교는 무엇인가
4 아라한, 성문사과
5 대승, 보살, 반야바라밀
6 중관, 팔부중도, 세속제와 진제, 방하착
7 유식, 마음의 구조, 진공묘유
8 만다라, 다라니, 만트라, 무드라, 탄트라
9 실크로드의 불교, 격의불교, 교상판석
10 한국불교의 흐름과 특징

5장 신행길을 따라서 읽는 교리와 지식
1 귀의와 신앙, 삼보와 삼귀의
2 계율, 구족계, 오계
3 사섭법, 육화경, 사무량심
4 바라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5 선정, 지혜, 십바라밀
6 발원, 사홍서원, 회향
Author
고명석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한국불교연구원 연구교육간사를 거쳐 대원정사에서 출판일을 했다.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연구과장을 거쳐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연구실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와 논문집에는 『100문 100답 불보살 신중편』 『불교개론』 『인도사』 『유쾌하게 읽는 불교』 『불자생활백서』(공저) 『허망 분별의 전환구조와 삼성설에 대한 연구』 『불교의 시간론』 등 다수가 있다.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한국불교연구원 연구교육간사를 거쳐 대원정사에서 출판일을 했다.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연구과장을 거쳐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연구실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와 논문집에는 『100문 100답 불보살 신중편』 『불교개론』 『인도사』 『유쾌하게 읽는 불교』 『불자생활백서』(공저) 『허망 분별의 전환구조와 삼성설에 대한 연구』 『불교의 시간론』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