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리자』는 결코 세속의 천박한 처세술을 논한 책이 아니며, 원말명초의 한 올곧은 선비가 국가와 백성을 위해 얼마나 치열하게 고민했는지를 보여주는 중국판 ‘목민심서’이다.
유기는 원나라 말기의 암울하고 절망적인 시대에, 광명천지의 새로운 세상이 도래하기를 고대하며 우언의 형식을 통해 권력자들에게 반전(反戰), 반부패(反腐敗), 애민(愛民) 사상 등을 끊임없이 강조했다. 그는 또 춘추 전국 시대에 활동한 군주들의 공과(功過)와 흥망성패의 일을 냉정하게 평가함으로써, 후세의 어떤 군주도 정치를 잘못하면 망국의 길을 걷지 않을 수 없다는 무서운 경고를 했다. 그가 700여 년 전에 활동한 정치가이자 사상가였지만, 오늘날의 관점에서 볼 때도, 그의 사상은 대단히 진보적이며 개혁적임을 알 수 있다.
Contents
제1장 치국(治國)의 도(道)
난기(亂幾) 천하는 인체와 같다
덕승(德勝) 인덕 정치는 천하를 정복한다
가인의(假仁義) 인의는 빌려서라도 베풀어야 한다
미숙과최(-叔課最) 세금을 가장 많이 거둔 관리
도술(道術) 술책으로는 백성을 다스릴 수 없다
대사(待士) 유능한 선비를 예우하는 것은 국가 발전의 초석
기기호음(--j好音) 측근들이 아첨하는 말의 위험성
우경간상도(虞卿諫賞盜) 신상필벌의 원칙
정전가부(井田可復) 정전제는 부활할 수 있다
신작(愼爵) 작위는 신중하게 수여해야 한다
단사(-沙) 백성들은 흩어진 모래알과 같다
초안(招安) 중죄인에게는 엄격한 법집행이 필요하다
유치(喩治) 천하를 다스리는 자는 병을 고치는 의사와 같다
중금(重禁) 법의 엄격함과 관용
형사(刑赦) 형벌과 사면
영구지장인(靈邱之丈人) 국정 운영은 벌을 치듯 세심하게 해야 한다
관주(官舟) 관선(官船)이 눈에 쉽게 띠는 까닭
순우곤논연반(淳于-論燕畔) 무고한 백성
치포(治圃) 백성을 다스림은 채소밭을 경작하는 것과 같다
외회(畏懷) 백성의 분노
성거(城-) 국가의 역량
음칠독수 포악한 관리들의 만행은 임금의 무능 탓
규집정(規執政) 관리 선발은 능력과 공정이 우선이다
사빈미석(泗濱美石) 지도자는 언행이 일치해야 한다
연문공구마(燕文公求馬) 인재를 얻으려면 아집을 버려라
사위강용우신(士蔿諫用虞臣) 망국의 포로는 부릴 가치가 없다
서구(-狗) 현자들이 오지 않는 이유
오봉(烏蜂) 놀고먹는 사람도 쓸모가 있다
논상(論相) 일국의 재상은 함부로 교체해서는 안 된다
사탐(使貪) 사욕이 강하다고 해서 유능한 인재를 포기할 수 없다
종수유(種樹-) 인재 육성은 오랜 세월이 필요하다
제2장 삶의 지혜
우시(憂時) 쓸데없는 근심
청박득위벌(請舶得葦筏) 부질없는 욕심
현표(玄豹) 돋보이는 사람이 적이 많은 까닭
재극(梓棘) 못생긴 사람이 잘생긴 사람보다 살기 편한 이유
다의불여독결(多疑不如獨決) 한 사람에 의한 효과적인 결단
불위부지(不韋不智) 지혜롭지 못한 행동
비인학개(鄙人學蓋) 성공의 조건
목가(牧-) 어진 군주가 아니면, 그를 위해 출사할 필요가 없다
세진(說秦) 거만한 자에 대한 경고
만성(晩成) 대기만성
왕망초요(汪罔-僥) 누구나 장점은 있다
천하귀화동(天下貴大同) 편견을 버려라
포서(捕鼠) 아버지의 깊은 생각
공공거허(---虛) 사람을 칙사 대접하는 진짜 이유
당몽벽여(唐蒙--) 권력자에 빌붙어 사는 사람의 위험성
취천하자유적(聚天下者猶的) ‘과녁’의 의미
지력(智力) 사람의 힘과 호랑이 힘의 차이
대지(大智) 지혜로운 사람의 처신
제3장 올곧은 선비의 인생관
노반(魯般) 진정한 명장(名匠)이 없는 시대
월왕(越王) 월나라 왕, 구천의 착각
동릉후(東陵侯) 점(占)을 칠 필요가 없는 까닭
자여지인(子餘知人) 사람을 알아보는 능력
한원간제왕(韓垣干齊王) 왕에 대한 비방(誹謗)
의사중항렬(議使中行說) 사자(使者)의 책무
거두(去-) 화근은 정확하게 제거해야 한다
세사번복(世事-覆) 재난은 언제든 닥친다
초무(楚巫) 미신을 없애는 방법
조호(-虎) 부화뇌동
자교포장화심(子僑包藏禍心) 비열한 마음
칩부불사(蟄父不仕) 관직을 탐내지 않는 사람도 있다
가인(賈人) 언행이 일치하지 않은 상인의 최후
절조(竊糟) 좁은 식견
갱곽(羹藿) 어려운 시절을 잊지 않는 마음
칠출(七出) 칠거지악의 폐단
천지지도(天地之盜) 만물을 합리적으로 훔치는 방법
다의난여공사(多疑難與共事) 함께 일할 수 없는 사람
자휘자긍(自諱自矜) 신하의 아첨과 사기
전심(專心) 성심성의를 다해야 한다
입교(立-) 아랫사람을 다스리는 방법
과회(寡悔) 후회를 적게 하는 방법
제4장 변화무상한 세상
공손무인(公孫無人) 도척의 사람을 복종시키는 방법
고하이설(枯荷履雪) 감상(感傷)에 빠진 자에 대한 충고
식후태(食---) 자식이 죽어도 울지 않은 이유
미자하(彌子瑕) 신하의 서글픈 운명
사도(射道) 정신 집중
주일불란(主一不亂) 인원수가 많다고 유리한 게 아니다
사갈(蛇-) 선과 악의 구별
응후지진벌주(應侯止秦伐周) 명분(名分)이 있어야 한다
구호(救虎) 과오를 범했지만 심성은 참으로 어진 사람
석양 선생(石羊先生) 예측불허의 세상살이
제벌연(齊伐燕) 제나라의 연나라 정벌이 실패한 까닭
천리마(千里馬) 자기 분수를 모르는 사람
양동(良桐) 허위가 판치는 세상
풍부(馮婦) 오해가 부른 참극
극오분진(-惡奔秦) 배신자는 또 배신할 수 있다
혜녹(--) 교만한 자의 운명
구장야인(句章野人) 행운과 재앙의 관계
천도(天道) 어떤 강도의 하늘의 도에 대한 해석
논귀(論鬼) 울리자의 귀신에 대한 견해
탐이탐덕변(貪利貪德辯) 진정한 탐욕
촉고(蜀賈) 정직하고 청렴한 사람이 손해 보는 세상
제5장 어리석은 자의 종말
헌마(獻馬) 임금의 탐욕을 자극한 신하
팔준(八駿) 차별 대우에 따른 비극
응화위구(鷹化爲鳩) 자신의 처지를 모르는 사람
상호(象虎) 호랑이 흉내를 내다
진영공호구(晉靈公好狗) 개를 좋아하다 시해당한 진나라 영공
술사(術使) 술책으로 백성을 부리는 자의 종말
송왕언(宋王偃) 왕의 교만은 나라를 망친다
권용(-龍) 자업자득
양효(養梟) 무뢰배를 식객으로 거느린 춘신군의 어리석음
순경논삼상(荀卿論三祥) 순자의 상서로운 물건에 대한 견해
전구구초(田-救楚) 제나라가 홀로 살아남을 수 없는 이유
근상(--) 왕이 간신배를 총애함은 망국의 지름길이다
외귀(畏鬼) 의심의 병폐
회뇌실인심(賄賂失人心) 인심을 잃어 망한 집안
운몽전(雲夢田) 오로지 개인의 이익만을 중시하는 집권자
즉저(-且) 교만이 낳은 비극
채산득균(采山得菌) 무식한데 식견이 있다고 착각하는 사람
호추(虎-)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 사람
지지(知止) 과욕은 화를 낳는다
우부(虞孚) 제 꾀에 넘어간 우부
산거야리(山居夜狸) 자기 목숨보다 중요한 재물
현석호주(玄石好酒) 본성이 탐하는 것은 막을 수 없다
궐숙삼회(蹶叔三悔) 평생 후회만 하다가 늙은 사람
고소위(姑蘇圍) 임금과 백성 간의 불신
세농역업(世農易業) 직업을 바꾸는 일은 신중해야 한다
미호(-虎) 탐욕스럽고 난폭한 자의 최후
회망(賄亡) 뇌물 때문에 패가망신한 자
호금간(好禽諫) 어리석은 임금의 취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