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광복·분단 70년을 맞아 ‘강대국들 간 대립?경쟁의 변화 속에서 바람직한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하는 목적에서 기획된 되었다. 이를 위해 우리가 처한 여건이 어떠한지를 보다 넓은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앞으로 우리의 국력에 부합하는 외교안보정책 및 대북정책을 수립·이행하는 데 있어서 합리적·실용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Contents
제Ⅰ장 21세기 동아시아 안보 질서와 한반도 평화
제1절. 서론
제2절. 21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복잡성 증대
1. 비전통 안보문제의 출현과 강대국간 과점(寡占)체제의 강화
2. 중국의 부상과 미중관계의 재편
3. 역내 세력균형의 관성과 상호 협력
제3절. 한반도 문제와 동아시아 국제관계
1. 한반도에 대한 주변 강대국의 전략: 봉건·근현대 시기
2. 탈냉전기 북한 핵문제의 심화
3. 북한 문제에 대한 미·중·일·러의 전략
제4절. 동아시아 안보질서와 한반도 주민의 권익
1. 누구를 위한 안보인가? - 안보 개념의 재고
2. 동아시아 안보질서 변화와 한반도의 인간안보
3. 한반도 주민의 권익 증진을 위한 제언
제5절. 결 론
제Ⅱ장 동아시아의 전략환경 변화와 한국의 과제
제1절. 서론
제2절. 한국의 대외전략 환경 진단
1. 2015년 한국 외교정책의 딜레마
2. 한국 외교정책 딜레마의 원인: 미중 및 남북한 간 복합적 갈등
제3절. 국제구조의 변화와 미중 간 경쟁
1. 국제구조의 변화: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상대적 쇠퇴
2. 미국의 재균형 전략과 동아시아 질서의 변동
3. 1951 vs. 2011: 봉쇄, 재균형, 그리고 미중관계의 전망
제4절. 미중관계와 남북관계, 그리고 한반도의 안보와 평화
1. 미중관계, 동북아 동맹구조, 그리고 한반도의 안보
2. 미중관계와 남북관계의 상호연관성 그리고 동북아의 평화
제5절.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를 위한 한국의 과제
제Ⅲ장 동북아 주요국의 이해관계와 한반도 평화
제1절. 서론
제2절. 한반도 통일로 인한 동북아 주요국의 편익
1. 미국
2. 중국
3. 일본
4. 러시아
제3절. 한반도 통일에 대한 동북아 국가들의 우려
1. 미국
2. 중국
3. 일본
4. 러시아
제4절. 동북아 주요국의 이해관계에 대한 평가
1. ‘친화적 세력균형’ 조성
2. 지역 차원의 다자 협력
제5절. 통일한국의 지향점
제Ⅳ장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쟁점과 과제
제1절. 서론
제2절. 북한 문제 주요 쟁점
1. 북핵 문제
2. 북한의 체제 안전 우려 문제
3. 북한의 개혁·개방 문제
제3절. 주요 쟁점에 대한 동북아 주요국의 이해관계
1. 북핵 문제에 대한 이해관계
2. 북한의 체제 안전 우려 문제에 대한 이해관계
3. 북한의 개혁·개방 문제에 대한 이해관계
제4절. 새로운 남북관계 패러다임 모색
제Ⅴ장 한반도 미래 구상
제1절 서론
제2절 한반도와 동북아 미래를 위한 도전
1. 한반도와 동북아 미래의 제약요인
2.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 지전략적(Geostrategy) 접근
3. 동북아 풍선의 비상(飛上)
제3절 한반도와 동북아 미래를 위한 구상
1. 신뢰와 균형의 한반도 미래 구상
2. 한반도와 동북아 미래를 위한 추진전략
제4절 한반도 미래 구상의 실현 과제
1. 새로운 통일외교안보 패러다임 마련
2.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및 북핵문제 병행 해결
3. 북한의 바람직한 변화 유도
4. 통일을 위한 전방위 외교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