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우가 답하다
“고전은 단순히 머리만을 채워주는 데 그치지 않고 마음을 길러줍니다.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동서양의 고전들을 섭렵해 간다면
여러분의 인생은 참으로 풍요로울 것입니다.”
각계 명사에게 ‘다음 세대에 꼭 전하고 싶은 한 가지’가 무엇인지 묻고 그 답을 담는 인문교양 시리즈 ‘아우름’의 마흔아홉 번째 주제는 ‘고전에서 지혜를 얻는 법’이다.
고전은 관심이 있더라도 선뜻 손이 가지 않는다.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한자에 익숙지 않은 세대에게 동양 고전은 어려움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왜 고전을 공부해야 할까? 이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저자는 고전을 읽어야 하는 당위나 필요성, 억지스러운 즐거움을 전하는 대신 자신이 고전을 향해 나아간 20여 년에 걸친 악전고투 방황기를 들려준다. 뒤늦게 동양 고전이라는 바다에 뛰어들어 길을 잃기도 하고 잘못된 목적지로 가기도 했지만, 그것은 인생에서 몇 안 되는 훌륭한 결정이었다고 저자는 자부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조선왕조실록》, 《논어》, 《대학연의》, 《한서》, 《주역》 등을 공부하고 번역하며 겪어야 했던 어려움과 뜻하지 않은 즐거움을 생생하게 전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선입관과 편견을 깨뜨리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또한 강조한다. 이 책에서 배울 수 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가르침은 새로운 것에 끊임없이 도전하고 살아온 저자의 삶의 방식이다. 저자는 독자들에게 무조건 동양 고전의 세계에 뛰어들라고 말하지 않는다. 각자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고 궁금한 것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그것에 자신을 던지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성장해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새로운 세상에 주저하지 않고 뛰어들 수 있는 용기를 배울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여는 글
서양 고전 공부에서 동양 고전 공부를 넘어
동양 고전 번역으로 간 까닭은
1장. 번역은 나의 운명
일본어식 엉터리 번역이 거의 절반
대학원에서 하이데거를 공부하며 오역과 싸우다
뜻하지 않은 경험이 넓혀준 번역의 지평
내가 생각하는 번역이란?
번역의 즐거움
2장. 모든 한국인의 고전, 《조선왕조실록》의 바다에 뛰어들다
독일 연수에서 받은 충격, 기본으로 돌아가라!
실록 읽기의 어려움과 보람
새로운 관점의 획득 - 세종을 보는 눈
실록에서 새로운 목표 《대학연의》를 찾아내다
3장. 《논어》, 가벼운 트레킹이 아니라 암벽 등반하듯 올라야 하는 책
《논어》 공부에 지표가 된 호암 선생의 한마디
모든 책은 시작과 끝을 알아야 한다
공자의 텍스트를 읽는 비법, 형이상중하
《논어》에 이어 《중용》, 《대학》을 풀고 《맹자》를 읽다
4장. 내가 생각하는 고전 읽기와 고전 번역
동서양 고전 목록을 다시 만들 것을 제안한다
잘 읽히려면 좋은 번역이 있어야 한다
5장. 제왕학 《대학연의》와 문장론 《문장정종》을 번역하다
5년의 한문 공부와 6개월간의 번역으로 탄생한 《대학연의》
진덕수의 글에 빠져 《심경부주》를 번역하다
원고지 2만 2,000장 분량의 《문장정종》 번역에 나서다
《문장정종》에서 배운 좋은 글 쓰는 법
6장. 고대 한나라 역사서 《한서》 번역에 도전하다
《한서》 번역을 위해 언론사를 떠나다
《한서》에서 《논어》를 다시 만나다
《한서》와 《실록》을 양 축으로 《논어》에 살을 더하다
7장. 마침내 유학의 최고봉 《주역》에 오르다
일을 매개로 《논어》와 《주역》의 관계를 간파하다
《논어》에서 《주역》으로 가는 길, 상도에서 권도로
양녕을 폐하고 충녕을 세운 논리 택현론이 곧 권도
마침내 《주역》 봉에 오르다
# 어렵기만 한 고전을 왜 공부해야 할까요?
닫는 글
도전하라
Author
이한우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 석사 및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뉴스위크 한국판]과 [문화일보]를 거쳐 1994년부터 [조선일보]기자로 일했고 2002~2003년에는 논설위원, 2014~2015년에는 문화부장을 지냈다. 2001년까지는 주로 영어권과 독일어권 철학책을 번역했고, 이후 『조선왕조실록』을 탐색하며 『이한우의 군주열전』(전 6권)을 비롯해 조선사를 조명한 책들을 쓰는 한편, 2012년부터는 『논어로 논어를 풀다』 등 동양 사상의 고전을 규명하고 번역하는 일을 동시에 진행해오고 있다. 2016년부터는 논어등반학교를 만들어 현대인의 눈높이에 맞추어 고전을 강의하고 있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약 5년에 걸쳐 『이한우의 태종실록』(전 19권)을 완역했으며, 그 외 대표 저서 및 역서로는 『이한우의 주역』(전 3권), 『완역 한서』(전 10권), 『이한우의 사서삼경』(전 4권), 『대학연의』(상·하) 등이 있다.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 석사 및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뉴스위크 한국판]과 [문화일보]를 거쳐 1994년부터 [조선일보]기자로 일했고 2002~2003년에는 논설위원, 2014~2015년에는 문화부장을 지냈다. 2001년까지는 주로 영어권과 독일어권 철학책을 번역했고, 이후 『조선왕조실록』을 탐색하며 『이한우의 군주열전』(전 6권)을 비롯해 조선사를 조명한 책들을 쓰는 한편, 2012년부터는 『논어로 논어를 풀다』 등 동양 사상의 고전을 규명하고 번역하는 일을 동시에 진행해오고 있다. 2016년부터는 논어등반학교를 만들어 현대인의 눈높이에 맞추어 고전을 강의하고 있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약 5년에 걸쳐 『이한우의 태종실록』(전 19권)을 완역했으며, 그 외 대표 저서 및 역서로는 『이한우의 주역』(전 3권), 『완역 한서』(전 10권), 『이한우의 사서삼경』(전 4권), 『대학연의』(상·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