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통합형 국가모델 '오스트리아'에 관한 종합적 연구서. 합의와 상생, 융합과 재창조를 통해 유럽의 변방국가에서 대표적인 강소부국으로 탈바꿈한 오스트리아를 체제모형으로 보고, 한국 문제를 해결하는 유용한 준거 틀로 제안했다. 오스트리아는 통일, 합의정치, 경제정의, 노사평화, 복지국가 건설, 국민통합을 슬기롭게 풀어나갔는데, 이는 아직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책은 오스트리아의 성공적 체제모형 '오스트리아 모델'을 구성하는 여섯 가지 핵심 요소를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Contents
책머리에
서문 왜 오스트리아 모델인가
이 책의 구성과 읽는 방법
오스트리아 개요
제1부 오스트리아 역사를 들여다보면 오스트리아 모델이 보인다
제1장 합의정치와 창조문화의 유전자?합스부르크 시대
제2장 아무도 원하지 않는 나라?제1공화국 시대
제3장 오스트리아 모델의 형성과 재창조?제2공화국 시대
1. 오스트리아 모델의 형성기(1945~1986)
2. 오스트리아 모델의 재창조(1987~)
제2부 오스트리아 국가모델: 여섯 가지 구성요소
제1장 오스트리아 정치체제
1. 정치체제의 특징
2. 정치체제의 다차원적 구조
3. 헌법의 전개와 기본 구조
4. 연방대통령
5. 입법부: 국민의회와 연방의회
6. 입법 과정
7. 연방정부와 행정
8. 정당과 선거
9. 이익집단
10. 전망
제2장 오스트리아의 중립화 통일, 그리고 그 이후
1. 중립화 통일을 위한 협상 과정
2. 중립법과 중립정책
3. 오스트리아 중립화의 성공 요인
4. 중립화 이후의 중립정책
5. 중립의 전망
제3장 합의제 정치와 대연정
1. 개념적 논의
2. 오스트리아 정치와 대연정
3. 제1기 대연정(1945/1947~1966)의 집중 분석
4. 합의제 정치의 기반 침식
5. 합의민주주의의 미래 전망
제4장 사회적 파트너십?형성?위기?전망
1. 오스트리아 사회적 파트너십의 기본 특성
2. 사회적 파트너십의 제도화 과정
3. 사회적 파트너십의 위기
4. 전망
제5장 생태사회적 시장경제?‘지속 가능한 발전’의 모색
1. 제2공화국 경제정책의 전개
2. 오스트리아 경제의 오늘
3. 오스트리아 경제체제 유형
맺는말
제6장 사회투자형 복지국가를 향하여?도전과 개혁
1. 오스트리아 복지국가의 기본 성격
2. 오스트리아 복지국가의 전개
3. 오스트리아의 복지국가 개혁 Ⅰ: 단계 구성
4. 오스트리아 복지국가의 개혁 Ⅱ: 정책별 분석
5. 복지국가의 전개: ‘야누스의 얼굴’
6. 제3의 길
제7장 오스트리아 정체성을 찾아서
1. 오스트리아 의식의 전개 과정
2. 여론조사에서 드러난 오스트리아 정체성의 추이
3. 오스트리아인의 특질
4. 오스트리아 정체성 확립에 기여한 요인들
5. 전망과 과제
제8장 오스트리아 모델의 재창조 과정
제3부 오스트리아 모델을 만든 현대사의 두 거인
제1장 오스트리아 건국의 아버지, 카를 레너
제2장 오스트리아 현대화의 아버지, 크라이스키
에필로그 오스트리아를 사랑한 인물들, 오스트리아가 사랑하는 인물들
결론 오스트리아 모델은 대안인가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안병영
1941년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졸업하고 1970년 오스트리아 빈(Wien) 대학에서 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1972~1975)와 연세대학교 행정학과(1975-2007) 교수로 재직했고, 한국행정학회 회장(1991), 한국사회과학연구협의회 회장(1998~2000)을 지냈다. 아울러 교육부장관(1995.12~1997.8),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2003.12~2005.1)으로 두 차례 국정에 참여했다. 정년 무렵(2006) 속초/고성으로 귀촌하여 여름에 농사짓고 겨울에 글을 쓰며, ‘인생 3모작’을 실험하고 있다. 저서로 『현대공산주의연구』, 『자유민주주의를 위한 변론』, 『자유와 평등의 변증법』, 『왜 오스트리아 모델인가』 등 다수가 있으며, 수상집으로 『기억속의 보좌 신부님』이 있다. 2014년에 ‘인촌상’을 수상했다.
1941년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졸업하고 1970년 오스트리아 빈(Wien) 대학에서 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1972~1975)와 연세대학교 행정학과(1975-2007) 교수로 재직했고, 한국행정학회 회장(1991), 한국사회과학연구협의회 회장(1998~2000)을 지냈다. 아울러 교육부장관(1995.12~1997.8),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2003.12~2005.1)으로 두 차례 국정에 참여했다. 정년 무렵(2006) 속초/고성으로 귀촌하여 여름에 농사짓고 겨울에 글을 쓰며, ‘인생 3모작’을 실험하고 있다. 저서로 『현대공산주의연구』, 『자유민주주의를 위한 변론』, 『자유와 평등의 변증법』, 『왜 오스트리아 모델인가』 등 다수가 있으며, 수상집으로 『기억속의 보좌 신부님』이 있다. 2014년에 ‘인촌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