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의 갈등양상을 이해하고 통합을 지향하기 위하여 그 근저에 있는 사회정체성의 기본 차원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국제비교자료와 세대비교자료를 통해 한국인의 사회정체성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한국 사회에서 갈등 혹은 사회 통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함의를 던져주고 있다. 첫째, 한국 사회에서 사회정체성이 개인적·주관적·정서적인 차원에서 평가되는 부분이 많다. 둘째, 공적인 부분에 속한 여러 사회정체성에 의한 평가가 단순하게 사회적 위신이나 권력 혹은 권위에 머물고 있지 않다. 셋째, 가족 관련 정체성에 대한 평가의 변동 폭이 다른 국가에 비해 크다.
Contents
제1장 한국 사회의 변동과 사회정체성
1절 사회정체성 연구배경과 필요성
2절 사회정체성과 세대
3절 연구목적과 내용
제2장 사회정체성: 개념과 이론
1절 사회과학의 주관성과 객관성
1. 주관성 연구의 중요성
2. 주관성과 객관성의 상호관련성
2절 사회정체성과 감성조절이론
1. 이론적 기초: 어의차이 연구
2. 감성조절이론의 핵심적 요소
3. 감성조절이론의 연구 성과
제3장 감성조절이론 연구의 자료와 방법론
1절 연구 질문
2절 자료
1. 국제비교자료
2. 세대비교자료
3절 방법론
1. 오스굿의 어의차이척도
2. 국제비교조사와 어의차이척도
3. 요인분석
제4장 사회정체성 평가 차원 국제비교
1절 평가기준에 대한 비교
2절 평가범위 비교
3절 사회정체성 평가 비교
제5장 세대별 사회정체성과 의식 차이
1절 세대별 감성적 의미
2절 세대별 사회의식
1. 정치·경제·사회의식의 세대 내 차이
2. 관계의 변화: 수직적 관계에서 수평적 관계로
3. 공간의 분리와 차이: 인터넷
4. 취향과 소비의 차이
5. 가족관
제6장 사회정체성 차이와 갈등
1절 국제비교결과
1. 사회적 공간과 사회정체성
2. 사회정체성 평가 차원
2절 세대별 사회정체성 차이
3절 사회 통합의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