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학(茶山學)의 개척자인 현암 이을호 선생의 전언을 통해
독자적인 한국학의 방향을 제시한다
『현암 이을호 전서(전27권)』는 다산 정약용(1762∼1836) 연구의 권위자인 현암 이을호 선생(1910∼1998)이 일생 동안 연구한 한국의 사상과 문화에 대한 모든 업적을 망라한 것이다. 현암 이을호 선생은 일제와 광복의 시대를 거치는 동안 한국의 문화와 사상이 단절되었던 시대에서, 민족 자강의 의지로서 우리들이 걸어갈 새로운 미래 문화의 정신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일생을 바친 선각자였다. 민족 자강 운동을 펴다가 체포당한 이을호 선생은 옥중에서 1938년에 처음 간행된 다산의『여유당전서』를 연구한 것을 시작으로 다산의 학문에 심취하였다. 오로지 다산의 사상을 기초로 하여 실학사상을 밝히고, 우리 민족의 지혜와 그 혼을 발굴하여 우리의 고유한 ‘한’ 사상으로부터 근대 민족종교의 가르침에 이르기까지의 일관된 정신에 나타난 한국의 철학과 사상을 새롭게 정립하였다.
이 책은 본래 2000년에 9책으로 간행되었던 『이을호 전서』의 큰 틀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각 책을 독립시켜 각 권의 특색이 드러나도록 하였다. 특히 원문의 번역과 문장의 교열을 통해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고 서세(逝世) 후에 발견된 여러 글들을 보완하고 추모의 글도 함께 실어서 그 학문세계뿐 아니라 선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더욱 넓히는 데 참고가 되도록 하였다.
『현암 이을호 전서(전27권)』는 다산학의 시작과 완결이며, 동시에 한국철학을 재구성함으로써 우리의 주체적 사관으로 중국의 사상을 이해하는, 새로운 한국사상 정립의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되었다. 이 책을 통해 이을호 선생의 학문이 한국사상 연구의 현대적 기반과 앞으로 새롭게 전개될 한국문화의 미래적 방향을 제시하는 새로운 이정표로서 손색이 없기를 간절히 기대한다.
Contents
간행사
일러두기
학문과 사색
맹자의 민주정신과 현대지성
학문의 흰자위와 노른자위
의약분리의 시비
서재유감
본교의 앞날을 위한 관견
학생 연구활동의 조성책이 시급히 요청된다
고교판 전남대학
한국유도의 새로운 방향
경전의 대중화
호남문화의 개황
근대화과업과 교육
경애(敬愛)하는 Gregory Henderson님께
본 대로 느낀 대로
대학은 문화 창조자
두 제자
학창여묵(學窓餘墨)
수기치인(修己治人)
책은 읽을수록 맛이 달다
익명천자
나의 독서벽
배운다는 것의 즐거움
만남의 철학
안빈낙도(安貧樂道)
도서관(圖書館)
고서(古書)
맹자(孟子)와 플라톤
호독서(好讀書)
인문과학도 K군에게
배움의 길
삶의 지혜
청춘찬가
현실과 이상의 상거(相距)에서 고뇌하는 지성
지구의 운명 ‘나’에게 달렸다
본 대로 느낀 대로
한국풍류의 멋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는 생존법칙
젊은이여 인생을 이야기하자
지방문화의 활성화
온 겨레의 환호(歡呼) 속에서 맞는 공휴일(公休日)이 그립다
지구촌을 누비는 우리 동포들
전일춘추(全日春秋)
이순
호랑이 애칭으로 불리던 그이
아침논단 - 누가 내게 돌을
아침논단 - 다도해의 기적
오십이학(五十而學)한글
학창여묵(學窓餘墨) - 유의변(儒醫辯)
학창여묵(學窓餘墨) - 요산요수(樂山樂水)
학원만보(學園漫步)
우리 단군은 지금 어디 계실까
서두르지 말자
오복설(五福說)
동강 난 문화
성현의 말씀을 두려워하라
여성의 사회 참여
역정(歷程) 50년(五十年)
묵관유복(墨冠儒服)
금관(金冠)
나무 박물관(博物館)
하극상(下剋上)
돋보기
자연과 함께하는 삶
봄 뜻
대지
경칩절
철쭉이 피는 계절(季節)
다시 봄이 오는 섭리
무등예찬(無等禮讚)
서양의 변증법 논리 극복할 ‘한’사상
권두논단
생활의 주변에서
항도편신(港都片信)
여정만리(旅程萬里) 1
여정만리(旅程萬里) 2
유가만필(遊歌漫筆)
씀씀이가 더 어렵다
제3의 풍신수길(豊臣秀吉)
고려청자
이을호
원시반종(原始反終)
나그네
의이자손(宜爾子孫)
사랑아…… 어디로 갔느냐
영산강(榮山江) 문화
버려진 탑(塔)들
구공탄
정말체조(丁抹?操)와 더불어
개땅쇠
서사(書舍) 여화(餘話)
내 고향 영광
만물병육
내가 찾아본 여름철 강산
고고(孤高)의 일생(一生)
선생은 시대의 귀감이셨습니다
노처(老妻)의 투병(鬪病)
낙엽
설악산(雪嶽山) 기행(紀行)
덥혀진 차는 끓고 산동(山?)은 잠들고……
영원한 기억